[include(틀:토막글)]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수도권 광역전철 노선/미개통)] ||<-2> '''{{{+2 용문-홍천 광역철도}}}'''[br]龍門-洪川 廣域鐵道 /[br]Yongmun-Hongcheon Metropolitan Railway || ||<-2> [[파일:용문-홍천 광역철도.jpg|width=100%]] || || '''소유자''' || 미정 || || '''운영기관''' || 미정 || || '''노선번호''' || 미정 || || '''노선명''' || 용문-홍천 광역철도 || || '''종류''' || [[광역철도]] || || '''영업거리''' || 미정 || || '''궤간''' || 1,435㎜ ([[표준궤]]) || || '''역 수''' || 5(예정) || || '''기점''' || [[용문역(중앙선)|용문역]] || || '''종점''' || [[홍천역]] || || '''전기''' || 미정 || || '''신호''' || 미정 || || '''선로 수''' || 1(복선노반 단선) || || '''개업일''' || 미정 || || '''운영노선''' || 미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양평군]] [[용문역(중앙선)|용문역]]과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역을 잇는 단선철도 노선이다. [[경강선]] 및 [[경춘선]], [[춘천속초선]]의 중간에 지어지며 [[원주춘천선]]과 합류할 예정이다. 계획안에 의하면 [[44번 국도]]를 그대로 따르는 노선으로 추정된다. 개통하게 된다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동차가 운행할 가능성이 크다. == 연혁 == *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용문홍천선이 추진할 노선에, [[원주춘천선]]이 추가검토계획에 포함되었다. * 경기도 양평군에서 [[http://www.kwnews.co.kr/nview.asp?aid=221051300106|용문산 경유]]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선형이 크게 휘어져 사업비와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 2022년 10월에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인데,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7/0000923175?sid=100|#]] * 2022년 10월 26일, 지역 주민들이 상경 집회를 열 계획이라고 한다. 예타 면제를 대놓고 주장하고 있다. [[https://www.news1.kr/articles/4843376|#]] * 이후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는 2023년 3월로 연기되었고, 국비 100%로 지원되는 일반철도로의 전환도 검토하고 있으나 사업비 증대 문제가 걸림돌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4/0000025227?sid=100|#]] * 2023년 9월 말에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https://n.news.naver.com/article/087/0000994453|#]]] 약 1개월 가량 늦은 10월 12일에야 공개되었다.[* [[https://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1208142|#]]] 국토부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B/C '''0.35~0.45''' 정도로 매우 낮게 분석되었다. [* 덤으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2023년 10월 중으로 '''신청'''한다고 했으니 최종적인 예비타당성 결과를 받으려먼 좀 더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분류:미개통 철도 노선]][[분류:경기도의 철도]][[분류:강원도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