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권용중의 용사일록 == === 개요 === || [youtube(EFkvQdXaan8)] || 龍蛇日錄.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문경시]] 산양면 송죽리 못골의 안동 권씨 집성촌에 기거하던 선비 천연재 [[권용중]] (1552년 ~ 1598년)이 1592년 4월 15일부터 1597년 12월까지 약 5년 8개월간 쓴 [[일기]]. === 내용 === 임진왜란 발발 당시 문경 지방의 선비였던 권용중이 형이자 의병대장이었던 권의중(1547년 ∼ 1602년)의 곁을 지키며 1592년 4월 15일부터 1597년 12월까지 약 5년 8개월간 활동한 주요 내용을 소상히 기록한 [[진중일기]]이다. 일기에는 지역의 사족들이 모여서 의병을 모의하고 조직을 갖추는 일, 백성을 회유해 각자 무기를 갖추고 자기가 사는 지방은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독려하는 일, 문경을 중심으로 한 인근 지역의 전투성과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지역 선비들이 모여 의병을 조직하고 백성과 함께 무기를 갖추고 전투를 벌인 내용을 적어놓았다. 임진왜란에 이어 [[정유재란]]이 1598년 12월까지 계속됐으나 기록은 1597년까지만 있어 저자 권용중은 1598년 초에 숨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문경시]]에서는 문경시 산양면 신전리 개성고씨 문중의 성재 고상증 선생이 문경 지방의 의병 활동을 소상히 기록하여 남긴 임란 일기 [[용사실기]](龍蛇實記)와 서로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모두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이 두 책을 통해 임진왜란 때 문경 지방의 의병 명단, 날짜별 상황, 의병대장, 의병활동 상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됐음을 기념하여 문경의병 기념비를 세웠다.[[http://blog.naver.com/mungyeongsi/221070195690|문경시청 문화여행 블로그 : 문경여행에서 찾은 영신숲 문경 의병기념비]] === 외부 링크 === * [[http://kookbang.dema.mil.kr/kookbangWeb/view.do?parent_no=10&bbs_id=BBSMSTR_000000000120&ntt_writ_date=20170517|국방일보 : 문경서 임진왜란 의병일기 용사일록 발견…의병대장은 권의중]] *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993647|경북일보 : 임진왜란 문경 의병일기 '용사일록' 발견]]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716898|중앙일보 : 임진왜란 의병일기 경북 문경서 발견]] == 김완의 용사일록 ==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의 부관이었던 [[김완]](金浣, 1546년 ~ 1607년)이 1592년(선조 25년)에서 1598년까지 7년간 직접 전투에 참여하며 체험한 일들을 기록한 [[일기]].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1592년의 일록에는 [[거북선]]의 구조와 기능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고, 이후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의 전쟁 상황, 특히 해전의 전황과 일본에 끌려간 우리 동포들의 생활상 및 탈출 현황이 자세히 적혀 있다. 1595년의 일록에는 군량미 조달 상황이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1597년의 기록에는 바다에서의 격전 상황과 이후 왜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 마가코라고구라(曲高羅小倉)에 끌려가 겪은 역경과 탈출 시도, 그리고 다른 포로들의 생활상과 동포애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김완의 문집인 [[해소실기]](海蘇實紀)에도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김완의 용사일록 원본에는 원종공훈녹권(原從功勳錄券)이 같이 붙어있다. 특히 [[거북선]]의 구조와 기능이 자세히 적혀 있어 전사적 사료 가치가 매우 크지만 무엇보다도 [[칠천량 해전]] 당시의 [[원균]]을 깔 때 아주 좋은 소스가 되기 때문에 자주 인용된다.[[http://xuecheng.egloos.com/4266330|어느 역사 인물의 행적에 관한 증언]] [[분류:조선의 일기]][[분류:문경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