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용산구의 법정동)] [목차] == 개요 == || [[파일:용산행정.jpg|width=100%]] || [[파일:용산법정.jpg|width=100%]] || || 용산구의 '''행정동''' || 용산구의 '''법정동''' ||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하위 행정구역을 정리한 문서다. == '''[[후암동]]'''(厚岩洞)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하고, 1985년 법정동 도동2가를 흡수하였다. 인구는 '''16,148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독일문화원, [[서울특별시교육청남산도서관]], [[서울특별시교육청용산도서관]]이 있으며, 노후된 주거지구이다. 최근에는 이 일대를 재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브라운스톤아파트 근처에 후암시장이 있다. 후암초등학교 근처의 두텁바위로에서 [[서울특별시교육청남산도서관]]이 있는 소월로로 가려면 37.5도나 되는 급경사의 계단을 올라가야했는데 엘리베이터를 갖춘 전망대가 생기면서 이용자의 불편이 줄어들었다.[* 참고로 대복 바로 옆에 [[바하이교]] 한국본부가 있다.] 학교는 삼광초, 후암초가 있다. == '''[[용산동(서울)|용산2가동]]'''(龍山二街洞) == 관할 법정동은 용산동2가·4가이다. 인구는 '''8,993명.'''[*A] 용산동4가는 전체가 미군기지여서 별거 없고, 용산동2가는 일명 '''[[해방촌]]'''으로 불리는 지역이다. 범위는 남쪽의 한신아파트에서 북동쪽으로 용암초등학교, 북서쪽으로 [[용산고등학교]]까지가 해당한다.[* 학교 뒤편에 [[국군홍보단]]과 [[국군복지단]]이 있다.] 가는 방법에는 [[녹사평역]] 2번 출구에서 [[녹사평대로]]를 따라가다가 한신아파트 앞에서 신흥로를 따라 올라가거나, 용산중학교(후암동종점 정류장)에서 신흥로36길을 따라가면 나오는 108계단을 올라가면 [[해방촌]]이 나온다. 해방촌을 제외한 나머지는 미군 부지와 남산이 차지하고 있다. [[녹사평역]]과 [[남산서울타워]]도 행정구역상 이곳 소속이다. 학교는 용암초, [[보성여자중학교(서울)|보성여중]], [[용산중학교(서울)|용산중]], [[보성여고]], [[용산고]]와 [[외국인학교]]인 센테니얼 크리스천 스쿨이 있다. == '''[[남영동]]'''(南營洞) == [[파일:용산구 남영동 마스코트.jpg|width=200]] 남영동의 마스코트 남영이[* 자치단체는 아니지만 자체적인 마스코트를 갖고 있다. 남영동 주민센터 페이스북 계정의 프로필로 사용되는 중] 관할 법정동은 갈월동·남영동·동자동·용산동1가이며, 이중 동자동은 1985년 법정동 도동1가를 흡수하였다. 인구는 '''6,963명'''.[*A] [[서울역]]에서 [[남영역]]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라인의 동쪽이 해당된다. 행정구역상 용산구에 속하는 민자역사, 경의선, 인천공항철도, 4호선 [[서울역]]이 남영동 소속이다. 경찰청 인권센터(구 남영동 [[대공분실]])가 [[남영역]] 옆에 있다. 동의 남동부는 대부분 미군 부지이며 [[전쟁기념관]]이 동의 남쪽 끝에 있다. [[숙대입구역]]도 주요한 역이다. 남영동 관할 법정동 중 동자동에는 서울 5대 [[쪽방]]촌 중 하나인 [[https://zomzom.tistory.com/4169| 서울 용산구 동자동 쪽방촌]]이 있다. 쪽방촌 주변에는 저렴한 [[게스트하우스]]들이 몇 곳 들어서 있다. 또한 동자동 쪽방촌을 중심으로 인접 갈월동, 후암동에도 쪽방이 몇 곳 분포해 있다. == '''[[청파동]]'''(靑坡洞) == 관할 법정동은 서계동·청파동1가·2가·3가(일부)이다. 인구는 '''19,042명'''.[*A] 서부역에서 [[남영역]]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라인의 서쪽이 해당된다. 참고로 청파동3가 서쪽에 뜬금없이 효창동 월경지가 있다. 지번으로는 효창동 1번지와 2번지. 만리시장, 국립극단, [[숙명여자대학교]], [[천주교 서울대교구]] 청파동 성당, [[삼일교회]], [[통일교]] 본부가 있다. 이 외에는 중소규모의 봉제산업이 발달해서 거주지에서 옷감 짜는 공장들을 꽤 많이 볼 수 있다. 서계동과 [[숙명여자대학교]] 주변은 [[재개발]] 요구가 계속 나오고 있지만 몇 년째 그대로인 상태이다. 학교는 신광초[* 사립초등학교이며, 신광여중고와 같은 재단], 청파초, [[배문중]], [[선린중]], 신광여중, [[배문고]], [[선린인터넷고]], [[신광여자고등학교|신광여고]]가 있다. 주목할 만한 [[랜드마크]]로 수십년 넘는 건물을 그대로 쓰는 개미슈퍼와 만리시장 고개에서 조금 더 남쪽으로 내려가면 있는 성우이용원이 있다. 성우이용원은 [[일제강점기]]부터 있던 유서 깊은 이발소로, 2013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2019년에 재단장하여 옛모습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또, 옛 신광여중고교에는 [[일본제국|일제]]가 [[태평양전쟁]] 당시 [[연합군]] 포로를 수용하는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573020?sid=104|경성 연합군포로수용소]]로 썼다. 2022년 청파동 2가 2023년 서계동 청파동 1가가 모두 신속통합 재개발에 선정되었다. == '''[[원효로(서울)|원효로1동]]'''(元曉路一洞) == 관할 법정동은 [[문배동]]·신계동·원효로1가·2가이다. 인구는 '''17,179명'''.[*A] [[용산e-편한세상|용산 e편한세상]](867세대), 용산 더프라임(559세대), 용산구보건분소, [[서울용산경찰서]], [[http://www.danggogae.org|천주교 당고개순교성지]](용산 e편한세상 옆), 용산등기소, 신계역사공원, [[오리온그룹]] 본사가 있다. 학교는 남정초가 있다. 현 [[녹사평역]] 근처, [[이태원동]]으로 구청을 옮기기 전까지 현재의 용산 꿈나무 종합타운 건물에 용산구청이 자리잡고 있었다. == '''[[원효로(서울)|원효로2동]]'''(元曉路二洞) == 관할 법정동은 산천동·신창동·원효로3가·4가·청암동이다. 인구는 '''13,714명'''.[*A] [[원효대교]] 북단을 통해 [[여의도]]로 이동할 수 있다. 리버힐 삼성아파트(1,102세대), 용산문화원, [[천주교 서울대교구]] [[용산성당]]이 있으며, 국립전파연구원이 있었으나 [[광주전남혁신도시]]로 이전하였다. 학교는 [[원효초]], [[성심여중]], [[성심여고]][* [[성심여중]]ㆍ[[성심여고]]와 같은 [[가톨릭]] [[성심수녀회]] 재단 소속인 성심국민학교(여학교)도 함께 있었으나 1982년 폐교되었다.]가 있다. 원효로4가와 청암동의 경우 구 경계상 [[마포구]] 염리동, [[도화동(서울)|도화동]]과 생활권이 접해 있어서 사실상 마포구 생활권으로 취급받는데, 아파트단지에서 [[용산역]][* 청암자이, 산호아파트에서 [[마포역]]에 가려면 언덕 하나만 넘으면 되지만 [[용산역]]에 가려면 [[용산 전자상가]] 진입문제 때문에 빙빙 돌아가야 한다. 생활편의시설이 공덕 쪽에 집중된 것도 있고.]보다 [[마포역]], [[공덕역]]이 더 가까우며, 먹자골목도 마포 쪽이 더 가깝다. == '''[[효창동]]'''(孝昌洞)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0,757명'''.[*A] [[효창공원앞역]]의 북쪽에 해당하는 곳으로 [[효창공원]], [[효창운동장]], 백범[[김구]]기념관이 있다. 학교는 금양초, 서울자동차고가 있다. == '''[[용문동]]'''(龍門洞) == 관할 법정동은 [[도원동]]·[[용문동(서울)|용문동]]이다. 인구는 '''11,459명'''.[*A] [[효창공원앞역]]의 남쪽에 해당하는 곳으로 도원 삼성래미안(534세대), 용문시장이 있다. [[경의선]]이 지하화되며 [[경의선 숲길]]이 조성되었다. 가수 [[강남(가수)|강남]]의 집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에 6층짜리 집으로 다시 지었다. == '''[[한강로동]]'''(漢江路洞) == 관할 법정동은 [[용산동(서울)|용산동3가·5가]]·한강로1~3가이다. 인구는 '''21,175명'''.[*A] 동의 동쪽은 미군기지, 서쪽은 [[경부선]]으로 경계지어지며 그 가운대 [[한강대로]] 주변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용산역]], [[용산 전자상가]], 용사의 집, [[용산소방서]], 용산우체국, 용산세무서, LS타워, [[롯데시네마 용산]]이 있다. [[용산역]] 근처에서 [[용산 참사]]가 일어났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문제로 골머리를 앓는 용산차량기지 부지도 이곳에 있다. [[용산 센트럴파크]](1,140세대), [[파크타워]](888세대), [[용산 시티파크]] 1~2단지(629세대) 동 전반에 고층 아파트가 점차 들어서고 있다. [[통일교]] 본부교회인 천복궁도 이곳에 있다. [[대원방송]]국도 이 곳에 있다. 지리올림피아드를 주관하는 대한지리학회, 팔이나 다리가 잘린 사람들을 후원하는 절단장애인협회가 있다. 학교로는 용산초, 한강초, [[용산철도고]]와 특수학교인 서울맹학교가 있다.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행정동으로는 여기 소속이다. == '''[[이촌동|이촌1동, 이촌2동]]'''(二村洞) == 관할 법정동은 이촌동이며, 이촌1동은 동부이촌동, 이촌2동은 서부이촌동으로도 불린다. 인구는 '''1동 24,988명, 2동 7,965명'''[*A]으로 이촌1동은 용산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다. 1동과 2동은 [[한강대교]]를 경계로 하며, 두 지역의 색깔이 완전히 다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 '''[[이태원동|이태원1동, 이태원2동]]'''(梨泰院洞) == 관할 법정동은 이태원동이다. [[이태원역]]과 이태원로 주변은 이태원1동, [[경리단길]] 주변과 그 위쪽으로는 이태원2동이다. * '''이태원1동''': 인구는 '''6,084명'''[*A]으로 용산구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적다. 이태원 상권을 형성하며 [[용산구청]], [[용산구보건소]]도 이곳에 있다. 동북쪽은 남산힐레지던스같은 고급 빌라가 있으며 이건희 회장의 자택을 비롯한 한국 최고의 [[부촌]]이 자리잡고 있는데 [[한남동]]과 이어져있다. 반면 남쪽은 주택과 아파트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태원 앤틱가구거리가 [[이태원역]]에서 보광로를 따라 청화아파트(578세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관까지 이어져 있다. 이외에 갤러리 골목([[녹사평역]] 근처 위치), 백해영갤러리([[이태원역]] 북쪽 언덕에 위치), 이태원의 여러 클럽/라운지, 재즈클럽인 올댓재즈, 해밀턴호텔이 있다. 학교로는 [[천주교 서울대교구]] 이태원 성당 건너편에 보광초가 있다. 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조지아]] 대사관, [[벨기에]], [[태국]] [[대사관]]저가 있다. [[용산구]]에서 외국인이 제일 많은 동네는 [[한남동]]이지만 인구대비 외국인비율은 이태원1동이 25.8%로 제일 높다. 학교는 보광초가 있다. [[파일:external/thumbnail.egloos.net/c0209256_584cb90c5a3df.jpg]] [[이태원동|이태원2동]] [[경리단길]]의 모습[* 2007년에 촬영된 사진이다. 현재 중앙경리단은 국군재정관리단으로 바뀌였고, 대성교회 앞에는 은행건물이 들어섰다.] * '''이태원2동''': 인구는 '''8,653명.'''[*A] 육군중앙경리단에서 하얏트호텔 앞까지 회나무로, 일명 '''[[경리단길]]'''이 관통하고 있다. 남산야외식물원, 표갤러리(하얏트호텔 근처 위치), 이태원우체국, 주한 [[키르기스스탄]] 대사관, [[덴마크]] 대사관, [[알제리]] 대사관, [[필리핀]] 대사관, [[케냐]] 대사관, [[에티오피아]] 대사관, [[아르헨티나]] 대사관, [[피지]] 대사관이 있다. 학교는 이태원초, [[서울디지텍고]]가 있다. == '''[[한남동]]'''(漢南洞)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9,136명.'''[*A] 남산 및 [[하얏트|그랜드하얏트 서울]]부터 [[한남역]]까지가 모두 한남동에 해당된다.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부촌]](富村) 중 한 곳이나 동 내에서도 빈부격차가 큰데, [[한남 더힐]](600세대)과 [[나인원 한남]](341세대)을 비롯한 초고급 아파트단지부터 [[한남역]] 앞 달동네까지 한 동 안에 공존하고 있다.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리움미술관]], 각국의 대사관들이 있다. 학교는 한남초와 [[국제학교]]인 서울독일학교, [[서울용산국제학교]]가 있다. == '''[[서빙고동]]'''(西氷庫洞) == 관할 법정동은 동빙고동·서빙고동·용산동6가·주성동(일부)이다. 인구는 '''12,544명.'''[*A] 조선시대의 얼음 창고인 서빙고에서 유래된 곳. [[신동아아파트]](1,326세대), [[국립중앙박물관]]이 있다. 여담으로 한강 남쪽에 [[월경지]]를 두고 있다. 서울에서 유일하게 건물이 있는 한강 월경지이다. 학교는 서빙고초, 한강중이 있다. == '''[[보광동]]'''(普光洞)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2,488명'''.[*A] 우사단10길이 보광동과 한남동을 남북으로 가른다. 재개발과 재정비가 예정된 지역이다. '''그냥 갈 수 없잖아 수퍼''' 간판이 나온 장소이기도 하다. [[오산중학교(서울)|오산중]], [[오산고등학교(서울)|오산고]], [[한국폴리텍Ⅰ대학|한국폴리텍대학 정수캠퍼스]]가 있다. 과거 [[삼성여객]] 차고지가 있던 곳이다. [[분류:용산구]][[분류: 용산구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