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height=15]]]][br]{{{#000 '''{{{+2 용산삼각선}}}'''[br]龍山三角線 | Yongsan Triangular Junction}}}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30201 || || '''노선명''' ||경부선 용산삼각선 (京釜線 龍山三角線) || || '''종류''' ||[[지선철도]], 일반철도 || || '''영업거리''' ||0.5㎞ || || '''궤간''' ||1435㎜ || || '''역수''' ||2 || || '''기점''' ||[[노량진역|삼각선 (경부선)]][*A 경부선 서울기점 4.0km 지점, 노량진역 방면] || || '''종점''' ||[[이촌역|삼각선 (경원선)]][*B 경원선 용산기점 0.8km 지점, 이촌역 방면] ||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열차자동정지장치|ATS-S1,S2]], [[열차자동방호장치|ERTMS Lv.1]][* 경원선 도입부 한정] || || '''개업일''' ||불명 || || '''운영노선''' ||화물열차, 임시열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용산삼각선.jpg|width=90%]] || || 용산삼각선의 모습 || '''용산삼각선'''(龍山三角線, Yongsan Triangular Junction)은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단선 철도이다. 경부선 [[한강철교]] 북단에서 분기하여 [[이촌역]] 이전에서 경원선과 합류한다. [[서울 지하철 1호선]]이나 경부선 [[용산역]]-[[서울역]] 구간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 선로의 고장시 우회 선로로도 이용된다. 이 외에도 경부선을 경유해서 서울역 방향으로 가지 않고 바로 경원선으로 가는 임시 열차나 화물 열차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수도권 전철 1호선]] 중 [[이문차량사업소]]에 소속되는 [[연천역]] 셔틀열차 편성의 [[갑종회송]]이나 [[경원선]] 인근 부대로 가는 건설화물 열차가 있으며, 임시열차의 경우 장성역(상무대)에서 출발하는 군용 열차가 신탄진(자운대)에서 병력을 태운 뒤 이 노선을 따라 경원선으로 우회한 뒤 경춘선 상천역(맹호부대), 춘천역까지 운행된다(춘천역에서 버스를 통해 강원도 각 부대로 이동). 매우 오래된 노선으로, 최소 1965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한강철교 A/B선의 속도 제한과 상행 열차 진입 시 A선에서 B선으로 [[평면교차]]가 필요한 점, [[삼각선]] 특유의 작은 곡선반경, 한때는 한강대로 인근 구간의 [[절연구간]]이 있었던 점 등 이러저러한 제한사항이 많은 선로이다. 일단 통과하는 용산발 동인천, 구로(일부 회송) 열차를 기다렸다가 출발하며, 속도도 30km/h로 제한되어 있다. 그렇다고 경원선으로 합류하는 것도 편하지 않다. 용산삼각선은 경원선 상행 선로로 이어지는데, 역시 여기도 하행 선로로 평면교차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경원선 합류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에 [[한강대교]] 북단 굴다리로 들어가는 진입부가 있기 때문에 건넘선을 놓을 공간이 부족했고, 결국 용산삼각선과 경원선 상행 선로를 X자에 가깝게 교차시켜 하행 선로까지 연결해 놓았다. 덕분에 이 X자 부분의 선로전환기는 대단히 복잡한 형태로 되어 있었다. 모든 방향으로 다 갈 수 있는 DS분기(Double-Slip Switch)는 아니다. 왜냐하면 하행선에서 건너오는 열차는 상행선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용산삼각선으로만 빠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물론 그럴 일도 없다). 결국 여기서도 속도 제한이 많이 걸렸는데, 이 복잡한 분기기에 본선에 [[절연구간]]까지 있어서 통과 속도가 심각하게 낮았다. 결국 2017년경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절연구간을 없애면서 상행 선로로만 이어지도록 만들고, 건넘선은 [[이촌역]] 방면으로 약 600 m 이동하여 새로 설치했다. 열차편성의 앞 뒤를 바꿀때 경유하는 선로이기도 하다. 수도권 내에서 교류 25,000V 전용 열차가 [[스위치백]] 없이 [[경부선]] 계열 철도에서 [[중앙선]] 계열 철도로 이동할 수 있는 유일한 선로이다. 만약 [[교외선]] 전 구간이 전철화된다면 유일하지 않게 된다. 그러할 경우 [[서울역]]~[[능곡역]] 구간을 [[경의선]], 능곡역~[[의정부역]] 구간을 교외선, 의정부역~[[광운대역]] 구간을 [[경원선]], 광운대역~[[망우역]] 구간을 [[망우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최단 거리로 이동하는 데에는 용산삼각선이 필수적이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전 구간 [[서울특별시]] 소재이다.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2> 삼각선(경부선)[*A] || ─ ||─ || ─ || ─ || [[경부선]] ||<|2> [[용산구]] || || 0.5||<-2> 삼각선(경원선)[*B] || ─ ||─ || ─ || ─ || [[경원선]] || [[분류:경부선의 지선철도]][[분류:경원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