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부산광역시 남구의 중학교)]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용호중 전경(홈페이지).png|width=100%]] }}}|| || {{{#ffffff 학교 전경}}} || ||<-2> {{{#ffffff {{{+4 '''용호중학교''' }}}}}}[br]{{{#ffffff '''龍湖中學校'''}}}[br]{{{#ffffff '''Yongho Middle School'''}}} || ||<-2> [[파일:용호중학교교포.png|width=100]] || || {{{#ffffff '''교훈'''}}} || {{{#ffffff '''근면·창조·봉사'''}}} || || {{{#ffffff '''개교'''}}} || 1984년 10월 29일 || || {{{#ffffff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 {{{#ffffff '''성별'''}}} || [[남녀공학]][* [[1999년]]에 [[남자중학교|남중]]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 || || {{{#ffffff '''형태'''}}} || [[공립]] || || {{{#ffffff '''교장'''}}} || 제15대 서수정[* [[https://naver.me/G6yqygEU|학교장 인사말]]] || || {{{#ffffff '''교감'''}}} || 김호연 || || {{{#ffffff '''교훈'''}}} || 근면, 창조, 봉사 || || {{{#ffffff '''교화'''}}} || [[개나리]] || || {{{#ffffff '''교목'''}}} || [[소나무]] || || {{{#ffffff '''학생 수'''}}} || 567명 (남 284명 / 여 283명) [*기준 2023년 5월] || || {{{#ffffff '''교직원 수'''}}} || 42명 (남 6명 / 여 36명) [*기준 2023년 5월] || || {{{#ffffff '''관할 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부산광역시 남부교육지원청]] || || {{{#ffffff '''주소'''}}}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동명로(부산)|동명로]] 185-17 ([[용호동(부산)|용호동]]) || || {{{#ffffff '''홈페이지''' }}} || [[http://school.busanedu.net/yongho-m/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ffffff '''학교알리미''' }}} || [[https://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GS_CD=S020000623|[[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남구 동명로 185-17, 너비=100%, 높이=100%)]}}}|| [목차] [clearfix] == 개요 == 1984년 개교한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용호동(부산)|용호동]]에 위치한 [[남녀공학]] [[공립]] 일반계 중학교.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84년 10월 29일 || 개교 설립인가 || || 1985년 3월 1일 || 초대 황우석 교장 취임 || || 1985년 3월 5일 || 제1회 입학식(707명 11학급) || || 1988년 2월 12일 || 제1회 졸업식(692명) || || 1995년 3월 6일 || 환경보전 시범학교 운영 || || 1995년 11월 2일 || 제1회 용호 종합 학예제 || || 1999년 3월 1일 || 남녀공학제 실시 || || 2000년 3월 1일 || 사회과 연구학교 운영 || || 2001년 3월 1일 || 교실수업개선 시범학교 운영 || || 2002년 12월 10일 || 학교체육활동유공학교 교육감표창 || || 2003년 12월 31일 || 봉사활동유공학교 교육감표창 || || 2004년 3월 1일 || 학습부진아지도 자율시범학교 지정 || || 2005년 1월 6일 || 국제이해교육 연구시범학교 지정 || || 2005년 2월 2일 || 장애인용 편의시설 설치 || || 2005년 3월 1일 || 국제이해교육 연구시범학교 운영 || || 2005년 5월 27일 || 도서관 및 과학실 현대화 사업 완료 || || 2005년 6월 28일 || 교사휴게실 및 체육준비실 설치 완료 || || 2005년 8월 18일 || 본관교사 내부도장공사 완료 || || 2005년 9월 2일 || 교사회의실 및 학교연혁실 설치 || || 2005년 11월 15일 || 도서관 활성화사업 우수학교 교육감표창 || || 2006년 4월 21일 || 과학교육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 || || 2006년 10월 31일 || 학교 홈페이지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 2006년 12월 29일 || 주5일 수업제 토요 휴업일 운영 교육감 표창 || || 2006년 12월 29일 || 홈페이지 관리 우수학교 교육감표창 || || 2007년 7월 12일 || 제12회 용호 학예제 개최(KBS홀) || || 2007년 9월 1일 || 제 9대 박희자 교장 취임 || || 2008년 3월 1일 || 신축교사 이전 || || 2008년 9월 1일 || 제10대 김영자 교장 취임 || || 2009년 11월 26일 || 제7회 안전문화대상(학교안전부문) 수상 || || 2009년 12월 31일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장 표창 || || 2010년 3월 1일 || 학교스포츠클럽 선도학교 운영 || || 2011년 3월 1일 || 에너지 교육 연구학교 운영 || || 2011년 9월 1일 || 제11대 신미영 교장 취임 || || 2012년 3월 1일 || 에너지 교육 연구학교 운영 || || 2014년 9월 1일 || 제12대 조순재 교장 취임 || || 2015년 9월 1일 || '자유학기제 희망학교' 운영 || || 2017년 9월 1일 || 제13대 하계우 교장 취임 || || 2020년 3월 23일 || 과학의 날 기념 과학교육유공학교 교육감 표창 || || 2021년 3월 2일 || 제37회 입학식(190명, 누계 14,985명 입학) || || 2021년 9월 1일 || 제14대 장옥란 교장 취임 || || 2022년 2월 10일 || 제35회 졸업식(181명, 누계 14,272명 졸업) || || 2022년 3월 2일 || 제38회 입학식(188명, 누계 15,173명 입학) || || 2022년 2월 8일 || 제36회 졸업식(213명, 누계 14,485명 졸업) || || 2023년 3월 2일 || 제39회 입학식(196명, 누계 15,369명 입학)[*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만에 전교생이 강당에 모여 신입생들의 입학을 축하하는 자리였다.] || || 2023년 9월 1일 || 제15대 서수정 교장 취임 || == 학교 상징 == === 교표 === [[파일:용호중학교교포.png]] 동그라미 3개는 용이 여의주를 3개나 얻었다는 것으로 용호중학교의 학생은 뜻한 바 무엇이든 성취한다는 뜻이다. 전체 구도는 정삼각형으로 안정을 의미하고, 바탕색은 푸른 바다색으로 넓고 변함이 없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하여 용호중학교의 교표는 용이 힘차게 승천하는 기상을 나타내어 용호중학교의 웅비와 영원한 발전을 상징한다. === 교가 === >[[파일:용호중학교(부산) 교가.jpg]] >[[http://school.busanedu.net/yongho-m/ss/schulSymbol/selectSongSymbolInfo.do?mi=695134|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교가 사진 > >가사 > ♬ 보아라 용호의 보배를 장산봉 기슭에 서로 도우면서 > ♬ 새보람을 창조하는 근면한 우리의 자랑을 > ♬ 하늘처럼 높푸른 영롱한 꿈은 영글어 > ♬ 바다처럼 넓은 찬란한 착한 기약들 > ♬ 보아라 고장의 자랑 겨레의 영광으로 > ♬ 받들어 길이 길이 아 빛내자 용호중학교 입학직후 1학년들은 음악시간에 교가를 부르는 수행평가를 한다. === 교목 === [[파일:용호교목.png]] * [[소나무]] 춘하추동 변함없는 절개와 어떠한 고난도 이겨내는 강인함과 영원한 발전을 뜻한다. === 교화 === [[파일:용호교화.png]] * [[개나리]] 강한 적응력과 번식력을 가진 봄에 가장 빨리피는 꽃으로 남보다 앞서는 진취적 기상을 뜻한다. == 학교 시설 == === 용맥관 === [[파일:yongmac.jpg]] 사진은 2015학년도 반배정 고사 때의 용맥관. 용맥관이라는 이름의 [[체육관]]을 겸한 다목적 [[강당]]. 3층에 있으며 보통 전체조례나 [[학예제|학교 행사들은]] 여기서 개최되는 경우가 많다. 매주 평일 저녁에 [[배드민턴]]을 치러 오는 배드민턴 클럽 동호회에서 강당을 사용한다. === 운동장 === 운동장 면적이 매우 좁아서 2009학년도 1학기까지 구교사 운동장[* 現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운동장. 운동장이 너무 좁아 체육수업과 체육대회를 구교사 운동장에서 진행했다.]을 함께 사용하였다. 축구 골대 2개와 조그만 체육창고 1개가 있는 운동장. 대부분의 학교와 마찬가지로, 잔디는 없으며 흙으로 된 운동장이다. 심지어 철봉 같은 운동기구도 없다.[* 정문 쪽 농구장 쪽에 있긴 하지만 들어갈시 벌점 5점이며(현재는 벌점제도가 사라졌다), 학생들이 체육 수업을 할 때에도 거의 쓰지 않는다. 쉬는 시간 및 점심시간에도 농구, 축구를 하느라 전혀 쓰지 않는다.] === 방송실 === 학사의 정문[* 이 문으로 통행을 하면 '''[[벌점]] 5점'''을 받으나,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이후로는 등교 루트로 쓰인다.]과 경비실의 옆에 위치한 곳이다. [[방송부]]에서 관리하며, 방송부원 및 관계자 외 출입 금지로 이것을 어기면 '''[[벌점]] 10점'''을 받는다.[* 문 앞에 붙은 공고문을 보면 "기기의 안전 및 오작동 방지"라는 이유가 있지만, 사실상 다른 학생들의 장난을 막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2019년도 초반 방송기기들을 싹 갈아치워서 아직 설정이 덜 되어있고 불안정하긴 하다.] 2층 교무실 안에 위치했었다. 2층 연구동 복도를 지나다 보면 방송실이라고 써있는 문이 있는데, 들어가면 방송실이 아닌 교무실이 나왔었고, 다른 학교에 비해 굉장히 좁았었다. 이는 2개로 나뉘어있던 교무실을 합치면서 방송부 스튜디오를 없애고 교무실을 넓혔기 때문이다. 2015년 12월 30일 1층 경비실 옆으로 이전이 완료되었다. 하지만 이전공사를 '''학기중'''에 진행하였고, 1층에 위치한 모든 교실에서는 수업시간에 벽 쪼개는 소리만 들어야 했다. === 컴퓨터실 === 칠판쪽에 TV 모니터가 있으며 컴퓨터는 ㄷ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본체는 펜티엄 하스웰 G3240에 [[인텔]] 내장 그래픽이 장착되어 있는 J사의 브랜드PC를 사용하며, 학습용 컴퓨터 치고는 꽤 준수한 성능에 드는 편. 그에 반해 모니터는 연식이 좀 된 S사의 CRT 모니터를 쓴다. === 급식실 === [[급식실]]은 2층에 위치해 있다. 급식실 앞에는 급식 관련 정보와 "고래를 위하여"라는 시가 기재되어있으며, 급식실에 들어서면 학생들은 두 줄로 나뉘어 양쪽 끝 벽에 붙어 배식받을 준비를 한다. 교사들은 우측에 따로 분리된 교사 전용 급식실에서 배식받으며, 국그릇이 따로 제공되며 자유롭게 추가 배식을 받을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지정 좌석제로 운영되었지만, 2023년 6월 1일부로 지정좌석제가 폐지되었다. 입구 기준으로 왼쪽은 여학생들, 오른쪽은 남학생들이 앉아 급식을 먹는다. == 학교 행사 == === [[체육대회]] === 이날 아침 6시 쯤에 외부에서 방송기기가 도착한다. 그래서 추운 10월임에도 불구하고 방송부원들은 6시에 와서 대기해야 한다. 그러나 정작 기계는 7시가 다 되어서야 오는 경우가 많다(...). --방송부가 갈려나가는 날-- 종목은 전에 한 축구나 배구대회를 포함하여 미니 이어달리기, 줄다리기, 학년별 게임과 반대항 이어달리기가 있다. 끝나고 경품 추첨을 했는데 예산과 시간이 부족해지면서 아예 삭제. 원래 점심을 먹고 미니게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었는데 그것도 삭제되었다. 그리고 응원 대결도 있는데 문제는 모든종목이 끝나고 응원대결을 한다. 원래는 [[반티]]를 입게 했지만 2015년을 기준으로 1,2학년은 [[학교 체육복]]만 입게하고 3학년만 [[반티]]를 허용했는데 그야말로 개성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2019년부터 전학년 반티 허용이지만 상의만 허용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미개최, 2021년과 2022년에는 규모를 줄여서 개최하였다. 진행된 종목은 승부차기, 이어달리기 계주이며 한 시간에 한 학년만 참여하였고, 나머지 학년들은 강당과 농구장에서 여러가지 체험을 하고 스탬프를 받아 반별 개수를 합산하여 최종 순위에 반영시키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체육대회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축구, 배구, 농구대회는 물론 줄다리기도 개최하지 않았으며, 밀집도 제한을 위해 응원의 규모도 축소되었다.] 2023년부터는 정상적으로 돌아왔다. === [[학예제]] === 시기는 겨울방학이 시작되기 몇주전인 12월 중순이다. 3학년들과 1, 2학년의 발표는 따로 진행한다. 3학년들은 따로 3학년 학예제를 한다.[* 모든 반이 주제를 하나씩 정하여 연극, 댄스 등을 발표하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1, 2, 3위를 한 반이 본학예제에 참가한다.[* 물론 자신이 속한 학급이 본학예제에 못 올랐더라도 개인 자격으로 예선을 통과해 참가할 수 있긴 하다.] 1, 2학년들은 무조건 예선을 통과해야 학예제 무대에 오를 수 있다. 체육대회 못지않게 방송부가 갈려나가는 날이다. 아침에 일찍와서 준비해놓고 남아서 정리하고 가는 등. 또, 이날을 기점으로 방송부원들에게 봉사시간 10시간이 주어진다. 조명담당이 일하는 몇 안되는 행사.[* 방송부원 왈 --클럽 조명마냥(...)-- 잘 조절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교내방송을 통해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부산 확진자가 늘어나고 교내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조용히 취소되었다. == 교통 == * '''[[도시철도]]가 지나가지 않는다.'''[* 가까운 곳은 [[파일:Busan2.svg|width=20]][[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대연역]]인데, [[용당동(부산)|용당동]]과 인접하고 있어 [[경성대·부경대역]]이랑 '''멀다.''' 일반 철도역은 '''가까운역이 없다.''']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용호사거리(07-138)'''}}}}}}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0|{{{#ffffff 20(남구국민체육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2|{{{#ffffff 22(남구국민체육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4|{{{#ffffff 24(백운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7|{{{#ffffff 27(백운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39|{{{#ffffff 39(남구국민체육센터)}}}]]}}}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31|{{{#ffffff 131(오륙도스카이워크)}}}]]}}}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2|{{{#ffffff 남구2(오륙도선착장)}}}]]}}}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8|{{{#ffffff 남구8(용호동벽산아파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용호사거리(07-137)'''}}}}}} {{{#!wiki style="text-align: left" * 용호사거리 진입 전에 있는 정류장으로 부산진시장, 부산역 방면 버스 정류장이다.}}}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2|{{{#ffffff 22(성북고개)}}}]]}}}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7|{{{#ffffff 27(충무동)}}}]]}}}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2|{{{#ffffff 남구2(동천초등학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8|{{{#ffffff 남구8(삼익비치아파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용호사거리(07-136)'''}}}}}} {{{#!wiki style="text-align: left" * 상술된 2개 노선을 제외한, 용호사거리 통과 후에 있는 버스 정류장이다.}}} || ||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일반|{{{#ffffff 일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0|{{{#ffffff 20(서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24|{{{#ffffff 24(서면)}}}]]}}}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39|{{{#ffffff 39(기장(교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99ff; font-size: .95em" [[부산 버스 131|{{{#ffffff 131(금정공영차고지)}}}]]}}}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2|{{{#ffffff 남구2(오륙도선착장↔동천초등학교)}}}]]}}}||}}}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c3c6c8 '''용호중학교(정류장번호 미상)'''}}}}}} ||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부산 버스 남구9|{{{#ffffff 남구9(경동아파트↔마마아파트)}}}]]}}} ||}}} 참고로, 남구9번을 제외하고는 용호사거리 정류장에 하차하여 약 5분 가량 [[동명로(부산)|동명로]]를 따라 올라가야 학교에 도착한다. 이로인해 등교가 힘들다는 학생들이 많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김원효]] - [[개그맨]] * [[렌(가수)|렌]] - [[뉴이스트]]의 멤버[* [[플레디스]]에 캐스팅되어 상경하기 전인 2010년 상반기(2010-1학기)까지 재학했다.] * [[유재명]] - [[배우]] * [[정형돈]] - [[개그맨]][* [[대천중]]으로 전학.] == 고등학교 진학 == * 2015학년도 졸업생들의 경우 굉장히 이례적이었던 일이 있었는데, 3학년에서 [[부산일과학고등학교]] 2명에 [[한국과학영재학교]] 1명에 2학년에서 두 명이 [[한국과학영재학교]]로 조기 진학했다. * 2021학년도 졸업생의 경우 [[한국과학영재학교]] 1명, [[부산예술고등학교]] 3명, [[부산일과학고등학교]] 4명,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에 3명이 진학했다. 다만 타 학교와는 달리 플랜카드나 현수막을 통한 축하가 하나도 없었기에 학생들 사이에서 불만이 일기도 했다. * 2022학년도 졸업생의 경우 3학년에서 [[한국과학영재학교]] 3명, [[부산일과학고등학교]] 1명에 2학년에서 1명이 [[한국과학영재학교]]로 조기 진학했다. == 여담 == * 2023년 기준 체육복의 색깔은 3학년 빨간색, 2학년 흰색, 1학년 노란색이다. --재질이 부직포라 운동장 모래먼지가 휘날리는 날에는 [[곤색]]에서 [[황토색]]으로 변한다...-- * 개교 당시에는 용호여중과 같이 개교했기 때문에 본래는 [[남자중학교]]였다. 1999년에 용호여자중학교가 [[용문중학교(부산)|용문중학교]]로 교명을 변경시키고 남녀공학제를 실시함으로써 용호중학교도 동시에 남녀공학제를 도입했다. * 본래의 용호중학교 교사(학교건물)는 지금의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자리에 있었으나, 바로 옆에 지어지고 있던 학교[* 용봉초등학교로 개교될 예정이었다.]의 건물이 수요 예측 실패로 개교가 취소되면서 [[폐건물]]이 될 처지에 놓이자 2008년에 그 건물로 이전하고, 기존에 쓰던 건물은 신축 및 리모델링을 해서 초량동에 있던 부산디자인고등학교[* 현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2014년 교명 변경]가 [[북항재개발]]로 이전해왔다. * 학교가 가파른 곳에 있어 아래쪽에서 걸어오기 힘들다. 이렇게 가파른 이유는 산에다가 학교를 지었기 때문인데, --그래서 폭우가 오면 학생들은 휴교를 기대하지만 아직 산이 무너진 적은 없는 것 같다.--[* 이 학교는 역대급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에 상륙하기 전날 폭우가 엄청 왔을 때도 --용호동의 [[용문중학교(부산)|다]][[분포중학교|른]] [[오륙도중학교|학교]]와 달리-- 휴교하지 않았다.] * 새로 온 교사들이 모르는 점 중 하나가 햄버거나 음식 같은 것을 교실에서 먹을 수 없다. 오토바이 타고 교문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예 기대를 하지 않는 것이 정신적으로 도움이 된다. 다만 후문에서 교문 윗쪽으로 몰래 받을수 있는 방법도 있다. * 매월 마지막 화요일은 청포도데이(경'''청''', '''포'''용, '''도'''움), [[청포도#s-3|청포도사탕]]을 먹는다. [[분류:남구(부산)의 중학교]][[분류:198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