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두산 베어스)] ||
[[파일:external/opds.joins.com/htm_200812171841460107000001070100-001.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우동수11.png|width=100%]]|| [[1998년]]~[[2000년]]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의 클린업 트리오. '''[[타이론 우즈]]-[[김동주(타자)|김동주]]-[[심정수]]로 이어졌던, 당대는 물론 현재도 [[KBO 리그]] 최강의 클린업 트리오 중 하나'''라 불린다. == 구성원 == ||
[[파일:/pds/201002/26/35/a0028335_4b871d380b063.jpg|width=100%]]|| * 3번 타자: [[타이론 우즈|타이론 '''우'''즈]] * 4번 타자: [[김동주(타자)|김'''동'''주]] * 5번 타자: [[심정수|심정'''수''']] [[1998년]]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신인드래프트]]에서 [[김동주(타자)|김동주]]를 뽑은 [[OB 베어스]]는 그 해 외국인 선수 트라이아웃이 실시되면서 [[타이론 우즈]]를 데려온다. 거기에서 기존에 기용되던 [[심정수]]까지 각성하면서 최강의 클린업 트리오가 탄생하게 되는데, 바로 '''우동수 트리오'''이다. == 역사 == === 1998년 시즌 === 원래 OB 베어스에는 [[김상호(1965)|김상호]]-[[심정수]]-[[김형석]]으로 이루어진 클린업이 있었다. 심정수는 1995년 첫 풀타임 시즌 때 장타력을 인정받으며 이후로 계속 클린업에 기용되었지만, 부상 및 개인사 등으로 1996~97년 시즌은 부진했다. 거기에 김상호와 김형석은 노쇠화가 찾아왔으며 이중 김형석은 1997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중심타선의 약화로 1997년 OB는 5위를 기록하고 만다. 1997년 시즌 이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1루수 [[타이론 우즈]]와 유격수 [[에드가 캐세레스]]를,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고려대 출신 특급 신인 [[김동주(타자)|김동주]]를 데려오며 전력보강에 힘쓴 OB는 98년 시범경기와 개막전 시리즈 때까지는 캐세레스-우즈-김동주 순으로 클린업을 기용했다. 그러나 캐세레스의 타격능력이 기대치보다 실망스럽자 4월 중순 심정수를 다시 클린업에 기용하면서 트리오가 완성되었다. [[김인식]] 감독이 가능성 있는 선수를 점찍으면 2년은 끝까지 밀어주는 스타일 때문에 클린업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우즈는 변화구를 제대로 치지 못해서 교체설이 있었으며 김동주는 상반기가 끝났을 때 김인식 감독을 제외한 모든 코치들이 2군에 보내야 한다는 것을 무시하고 감독이 붙박이 1군 출전을 밀어붙였다. 그 결과 김동주는 [[추신수]]의 2015년 시즌처럼 후반기에 엄청난 반전을 일으키며 신인왕 후보까지 오른다.[* 이 시즌 김동주가 기록한 희생플라이 13개는 KBO 역대 최다 기록이다.] 우즈는 이 해 KBO 최다 홈런기록을 갱신한 데 이어 [[이승엽]]과 홈런왕 경쟁까지 하면서 외국인 선수 돌풍을 본격적으로 일으켰다. 심정수 또한 전년도까지의 부진을 떨쳐내고 대활약하며 일약 우동수 트리오는 급부상하게 된다. 이 해 우동수 트리오는 399안타 85홈런을 합작해냈고, OPS는 .858을 기록하였다. === 1999년 시즌 === 이 해 [[심정수]]는 [[OPS]] 10할을 기록하는 등의 맹활약을 선보였다. 당시 프로야구에서 드림리그를 제치고 통합 1등의 승률을 자랑하였다.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 [[한화 이글스]]에 스윕을 당해버리며 아쉽게도 시즌을 끝내게 된다. [[1999년]] 시즌에는 424안타 87홈런을 합작해내었다. OPS는 .954를 기록. === 2000년 시즌 === [[타이론 우즈|우즈]] 역시 잘했던 시즌이었고, [[김동주(타자)|김동주]]도 자리를 잘 잡아 '''3년차에 타율 .339 OPS 1.017'''이라는 괴물같은 성적을 남겼다. 다만 전년도 맹활약의 반동이었던지 [[심정수]]만 OPS 10할을 못 찍었던(...) 다소 아쉬운 시즌. 이 해 우동수는 전설같은 기록을 남겼는데, [[2000년]] 한 해에만 '''99홈런을 합작'''해내었고 결국 [[2000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도 진출했지만... [[김동주(타자)|김동주]]가 손가락 부상으로 시즌아웃 돼서 결국 미완의 트리오로 남았고, 그럼에도 김동주는 출전을 강행하며 부상 투혼을 보였지만 [[현대 유니콘스]]에 패하고 말았다. 결국 준우승으로...[* 당시 현대가 얼마나 [[사기 캐릭터]]였냐 하면 [[박경완]], [[박재홍(야구)|박재홍]], [[박진만]], [[전준호(1969)|전준호]], [[이숭용]], [[정민태]] 등의 '''[[삼청태현]] 레전드가 같은 시기에 전성기를 보내고 있었다.''' 한 팀에서 '''[[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만 5명이나 나왔고'''([[박종호(1973)|박종호]], [[박진만]], [[박재홍(야구)|박재홍]], [[박경완]], [[임선동]]), 이중 백미는 [[정민태]], [[임선동]], [[김수경(야구)|김수경]]의 '''1~3선발이 18승으로 공동 다승왕을 차지한 것'''. 괜히 00현대라 불리며 KBO 역대 최강의 팀중 하나로 꼽히는 게 아니다.] [[2000년]] 시즌에는 448안타 99홈런을 합작. OPS는 .988을 기록. === 이후 === 하지만 [[2000년]] 시즌이 끝나고, 2차 선수협 사태에 참가하여 구단에 찍혔던 [[심정수]]가 [[현대 유니콘스]]의 [[심재학]]과 보복성 [[트레이드]] 되었다. 스탯 면에서 [[심재학]]이 상당히 딸렸기 때문에 당시 두산 팬들은 "심정수를 왜 트레이드 시키냐"고 분노, [[곰들의 대화]] 커뮤니티를 쓸어버리고 시위를 벌이는 등의 행동을 하였지만 두산 프런트는 이것을 무시하였다.[* 참고로 [[OB 베어스 항명파동]] 때도 그랬고 2012년 [[오재일]] 데려올 때도 그랬는데, 오재일의 경우 변명의 여지 없이 두산의 완벽한 승리가 된 트레이드로 평가받으며, 심지어 [[박계범]]을 보상선수로 데려오기도 했다(...).] 심재학은 '''심죄악'''이라고 대차게 까이기도 했다. 하여튼 그리하여, 심정수가 빠져버린 우동수 트리오는 '''우동학 트리오''' (혹은 우재주 트리오)로 재구성되었다.[* 좌타-우타 지그재그 배치로 심재학이 4번 타자, 김동주가 5번 타자로 출장한 적도 있었기에 우재주 트리오라는 명칭이 붙었다.] 그러나 팬들의 반발과 푸대접에 항의라도 하듯 각성한 심재학은 2001년 시즌 커리어하이를 찍고 우동학 트리오 중에서 맹활약을 하여 [[2001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큰 기여를 함으로써 2001년까지는 오히려 두산이 이긴 트레이드로 보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2002년 시즌부터 심재학은 하락세를 걷기 시작한 반면 심정수는 더욱 상승세를 타고 있었고, 그 다음 해 [[심정수]]는 커리어하이를 찍으며 무려 53홈런을 때려낸다. == 기록 == ||<-13> {{{#ffffff 역대기록}}}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OPS}}} || ||1998|| [[OB 베어스]] || 1356 || .294 || 399 || 85 || 143 || 265 || 217 || '''.538''' || .320 || .858 || ||1999||<|2> [[두산 베어스]] || 1333 || .318 || 424 || 87 || 198 || 300 || 231 || '''.549''' || .394 || .954 || ||2000|| 1402 || .319 || 448 || 99 || 226 || 308 || 244 || '''.587''' || '''.411''' || .988 || 여기서 주목할 것은 제일 절정에 달했던 [[2000년]]. 통합 [[OPS]]가 무려 .988이다.[* 사실 우즈와 김동주 둘 다 OPS가 10할이 넘어갔는데 심정수 혼자 9할대라 그렇게 나왔다. 심정수 혼자 OPS 9할인 건 연초 선수협 사태에 참여한 것과 관련있을 듯. --심정수가 준비만 잘 했어도 통합OPS가 10할이 넘는 전무후무한 클린업이 만들어질 수 있었다--] 게다가 전원이 타출장 3-4-5를 찍었다! 여기서 개인별 성적을 비교하자면 * [[타이론 우즈]] : ||<-13><:> {{{#ffffff 역대기록}}}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OPS}}} || {{{#ffffff wRC+}}} || ||1998|| [[OB 베어스]] || 452 || .305 || 138 || '''{{{#red 42}}}'''[br](1위) || 65 || '''{{{#red 103}}}'''[br](1위) || 77 || '''.619'''[br](2위) || .394 || '''1.013'''[br](4위) || '''{{{#red 181.2}}}'''[br](1위) || ||1999||<|2> [[두산 베어스]] || 454 || .297 || 135 || 34 || '''83'''[br](3위) || 101 || 90 || .566 || .406 || .972 || 146.1 || ||2000|| 479 || .315 || 151 || '''39'''[br](2위) || '''77'''[br](5위) || '''111'''[br](2위) || 91 || '''.605'''[br](3위) || .414 || '''1.020'''[br](3위) || '''166.6'''[br](3위) || * [[김동주(타자)|김동주]] : ||<-13> {{{#ffffff 역대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OPS}}} || {{{#ffffff wRC+}}} || ||1998|| [[OB 베어스]] || 457 || .265 || 121 || 24 || 29 || 89 || 69 || .473 || .310 || .783 || 111.8 || ||1999||<|15> [[두산 베어스]] || 399 || .321 || 128 || 22 || 41 || 84 || 62 || .564 || .394 || .958 || 144.7 || ||2000 || 469 || '''.339'''[br](2위) || '''159'''[br](3위) || 31 || 51 || '''106'''[br](4위) || 78 || .603 || .414 || '''1.017'''[br](4위) || '''{{{#red 168.2}}}'''[br](1위) || * [[심정수]] : ||<-13><:> {{{#ffffff 역대기록}}}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ffffff OPS}}} || {{{#ffffff wRC+}}} || ||<:>1998|| [[OB 베어스]] || 477 || .294 || 140 || 19 || 34 || 73 || 71 || .491 || .346 || .836 || 133.2 || ||1999||<|2><:> [[두산 베어스]] || 480 || '''.335'''[br](5위) || 161 || 31 || 53 || '''110'''[br](5위) || 79 || .606 || .408 || '''1.014'''[br](5위) || '''158.7'''[br](4위) || ||2000|| 454 || .304 || 138 || 29 || 69 || 91 || 75 || .551 || .400 || .951 || 149.9 || == 위상 == ||
[[파일:우동수.png|width=100%]]|| 최전성기이자 마지막 시즌이던 [[2000년]] 시즌에는 무려 '''99홈런'''을 합작해내었다. 이 때문에 두산을 비롯한 여러 팀 팬들에게 회자되는 클린업 트리오이기도 하다. 이 3명은 [[프로야구 40주년 레전드 올스타 40인]]의 "우타 거포 계보"에 '''3명 모두 이름을 올렸다.'''[* 나머지 한 명은 [[장종훈]].] 다만 김동주를 제외하고 시상식을 진행하기가 영 힘든데, 그 이유는 심정수와 우즈는 미국에 있기 때문. 김동주는 사생활 관련 문제로 현재까지도 계속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인데다 구단과의 갈등도 있어서 힘들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간신히 시상식을 진행했다. === [[VS놀이|VS]] [[이마양]] 떡밥 === ||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0071300617_0.jpg|width=100%]]|| [[2010년]] 중반 [[롯데 자이언츠]]의 홍대갈 트리오가 우동수, 이마양을 뛰어넘을 거라는 설레발성 기사에 쓰인 자료. 하지만 실제로는 가르시아는 부진+ 출장정지 징계를 먹었으며 홍성흔은 [[윤석민(투수)|사구를 맞는 바람에]] 위 괄호에 쓰인 예상치보다 떨어지는 스탯을 기록했다. 또한 가르시아가 위의 추정치 대로 성적을 냈다고 쳐도 우동수, 이마양 6명 중 누구와도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로 성적이 한참 떨어지기 때문에 우동수나 이마양과 같은 급으로 치는 야구팬들은 거의 없다.[* 남의 팀 클린업과 비교할 것도 없이 99년 롯데의 [[박정태]]-마해영-[[펠릭스 호세]] 클린업이 홍대갈 보다 더 뛰어나다고 보는 사람도 많다. 이쪽은 박정태의 홈런 갯수가 달릴뿐, 호세와 마해영의 성적은 우동수, 이마양과 비교해도 충분히 훌륭한 스탯이다. 호세가 [[도핑]] 의혹이 있다는게 흠이지만(...)] 사실 클린업이라는 관념 때문에 3-4-5번 타자를 묶어서 그렇지, 같은 10롯데에서도 가르시아를 빼고 조성환을 넣어 2-3-4번 트리오로 묶는 것이 더 나을 지경. 2010년 롯데의 클린업은 1년 전 두산의 김현수-김동주-최준석 정도. 3, 4번에 비해 5번이 어느 정도 뒤쳐지는 것도 비슷하다.[* 실제로 09 김현수는 10 홍성흔에 홈런과 타점은 뒤졌지만 타율과 OPS는 더 나은 성적을 거뒀고, 09 김동주는 10 이대호의 임팩트보단 못해도 OPS 1위와 타율 4위를 기록하는 등 리그 최고의 베테랑 타자였으며, 09 최준석은 홈런을 제외한 거의 모든 스탯에서 10 가르시아를 압도적으로 눌렀다. 이대호의 7관왕의 업적은 물론 대단한 일이나 클린업의 라인업은 이마양과 함께 최고의 클린업으로 거론되는 10년 전의 OB/두산 클린업은 커녕 1년 전 두산에조차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야구팬들은 이마양과 VS를 시키는 경우가 많다. 우동수가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쪽은 [[목동드립|대구 탁구장]] 드립을 쳤고, 이마양이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쪽은 세이버 스탯을 파고들면 잠실 구장 크기와 상관없이 우동수가 훨씬 처진다고 보고 있다.[[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b=kbotown2&id=9521|#]] 사실 활약한 시기가 엇비슷하지만 또 약간 다르기 때문에[* 우동수는 98년~00년까지, 이마양은 02년~03년간 있었고, 양자간 겹치는 해가 없다.] 단순한 1차 스탯으로는 비교하는 게 큰 의미가 없다. 하지만 이런 논쟁은 통계를 조금 더 들여다본다면 똑같은 결론으로 끝난다. ||
[[파일:역대 클린업.jpg|width=100%]]|| 이마양 클린업이 우동수, 나이테, LCK 클린업을 '''모든 스탯상으로 압도'''하며, 오히려 '''이마양보다도 더 강력했던 역대 클린업 삼대장'''인 87삼성 [[장효조]]-[[김성래]]-[[이만수]] 트리오, 93삼성 [[양준혁]]-[[김성래]]-[[강기웅]] 트리오, 97삼성 [[이승엽]]-[[양준혁]]-[[신동주(야구)|신동주]] 트리오의 위엄만 재확인시켜주는 꼴이 되면서 논쟁은 끝이 난다. 그중에서 역대 최강의 스탯을 자랑하는 87년 삼성의 [[장효조]]-[[이만수]]-[[김성래]]의 스탯은 다음과 같다. ||
[[파일:이만수 - 장효조 - 김성래.jpg|width=100%]]|| [[장효조]] .387/.461/.493 '''타율 1위, 출루율1위''', [[이만수]] .344/.431/.579 '''타점 1위, 장타율1위''', [[김성래]] .332/.413/.569 '''홈런 1위''' 위의 '''클린업 세명이서 wRC+ 186.2를 기록하며 리그 WAR 1,2,3위를 차지'''하면서 발롱도르 득표 1,2,3위를 차지한 축구의 [[오렌지 삼총사]]와 다름없는 맹활약을 펼쳤다. 다만 저런 좋은 성적을 가지고도 우승을 못했다(...).[* 정규리그에서는 압도적인 1위였으나 [[1987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해태를 만나면서...]]] 이외에 93과 97 삼성도 해태 때문에 우승을 못했다. == 여담 == * 상당히 센 타선이었는데 '''우승 경험이 한 번도 없다.''' 사실 포스트시즌은 우동수가 활동할 때 계속 진출했지만 상운이 없었다. [[1998년]]은 준PO [[LG 트윈스|잠실더비]]에서 탈락, [[1999년]]에는 PO에서 [[한화 이글스|한화]]에게 싹쓸이, [[2000년]]에는 KS까지 진출했는데 만난 팀이 [[현대 유니콘스|플레이어블 캐릭터]]... 중요한건 위 팀들은 전부 당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대신 세 명 모두 우승 경력은 존재한다.[* 김동주와 우즈는 우동수가 해체된 이듬해인 2001년에 우승했고, 심정수는 이미 1995년에 우승 경험이 있었고 현대-삼성 시절에 4번이나 우승을 더 했다. 2001년 두산은 우동학 트리오로 우승.] ||
[[파일:external/image.fmkorea.com/0bd5bff30d18a605fc82a4aad30140f6.jpg|width=100%]]|| 삼성에도 [[우동균|우]][[조동찬|동]][[김상수(타자)|수]] 트리오가 있다.[* 그러나 김상수는 2018년 데뷔 첫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하고 2019, 2020년에 더 업그레이드된 타격을 선보이면서 재평가받고 있다.] == 관련 문서 == * [[김인식]] * [[2000년 한국시리즈]] * [[두산 베어스]] [각주] [[분류:두산 베어스]][[분류:클린업 트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