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Apple Originals 드라마]][[분류:미국 드라마]][[분류:2022년 드라마]][[분류:오피스 드라마]] ||<-4> [[Apple Originals|{{{#!wiki style="margin:0 0 7px 0" [[파일:Apple Original Logo White.svg|height=15]]}}}]]{{{#fff [[파일:우린폭망했다 한글로고.webp|width=190]](2022)}}} || ||<-4>{{{#!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위크래쉬드포스터.png|width=100%]]}}} || ||<-2> '''장르''' ||<-2>[[미니 시리즈]] || ||<-2> '''방송 기간''' ||<-2>시즌 1: [[2022년]] [[3월 18일]] ~ [[2022년]] [[4월 22일]] || ||<-2> '''방송 횟수''' ||<-2>시즌 1: 8부작 || ||<-2> '''제작''' ||<-2>[[Apple Studio]][br]패러독스 프로덕션 || ||<|3> '''제[br]작[br]진''' || '''제작''' ||<-2>리 아이젠버그 외 || || '''감독''' ||<-2>존 레쿼, 글렌 피카라 || || '''극본''' ||<-2>리 아이젠버그, 드류 크레벨로 || ||<-2> '''출연''' ||<-2>[[자레드 레토]][br][[앤 해서웨이]] 외|| ||<-2> {{{#!wiki style="word-break:keep-all" '''독점 스트리밍'''}}} ||<-2>{{{#!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Apple TV+|[[파일:Apple TV+ 로고.svg|width=40]]]] [[https://tv.apple.com/kr/show/wecrashed/umc.cmc.6qw605uv2rwbzutk2p2fsgvq9?ctx_brand=tvs.sbd.4000|▶]]}}} || ||<-2> ''' 지원 ''' ||<-2>{{{#ffffff [[4K UHD|[[파일:4K logo Backup.svg|width=35]]]] | [[Dolby Atmos|[[파일:Dolby Atmos Light Logo Backup.svg|width=50]]]] | [[돌비#Dolby Vision|[[파일:Dolby Vision Light Logo Backup.svg|width=50]]]] | [[자막|[[파일:CC Light Logo Backup.svg|width=35]]]] | [[자막#청각장애인 대상 자막|[[파일:SDH Light Logo Backup.svg|width=42]]]] | [[AD#Audio Description의 줄임말|[[파일:AD Light Logo Backup.svg|width=35]]]]}}} || ||<-2><|2> ''' 시청 등급 '''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TV-MA_icon_us.svg|width=25]]]] {{{#ffffff '''TV-MA'''}}} ||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2세 이상 시청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이야기, 그리고 그 모든 중심에는 사랑이 있다. '[[WeWork|위워크]]'는 10년도 안 되어 단 하나의 공유 사무실에서 470억 달러 가치의 국제 브랜드로 성장했으나, 채 1년도 안 되어 400억 달러를 잃었다. 과연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Apple TV+]] [[Apple Originals|오리지널 시리즈]] 드라마. 공유 오피스 업체 [[WeWork|위워크]]의 [[흥망성쇠]]를 다룬 드라마이다. == 공개 전 정보 == == 시놉시스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ZFrW1knWwA)]}}}|| || {{{#37D0FD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8ZgiGzwUFE)]}}}|| || {{{#37D0FD '''공식 예고편'''}}} || == 출연진 == * [[자레드 레토]] - 아담 뉴만 역 * [[앤 해서웨이]] - 레베카 뉴만 역 * 카일 마빈 - 미겔 맥켈비 역 * [[아메리카 페레라]] - 엘리시아 케네디 역 * [[김의성]] - [[손 마사요시]] 역[* [[김의성]]의 첫 할리우드 진출작. 오디션으로 배역을 따냈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watch?v=aCpSsBsuUiM&t=1641s|#]] 캐스팅 발표 당시만 해도 자세한 정보가 없었고 이후 펀드 매니저 역이라고 기사가 났을 때만 해도 큰 비중은 없을 거라는 추측이 많았는데 예상을 깨고 상당한 비중의 실존인물을 연기하게 되었다. ] == 에피소드 목록 == ||<|2>
{{{#61B3E7 '''회차'''}}} ||<|2> {{{#61B3E7 '''방영일'''}}} ||<|2> {{{#61B3E7 '''부제'''}}} ||<-2> {{{#61B3E7 '''제작'''}}} ||<|2> {{{#61B3E7 '''비고'''}}} || || {{{#fff '''감독'''}}} || {{{#fff '''각본'''}}} || || '''{{{#61B3E7 '''1'''}}}''' ||<|3> [[2022년]] [[3월 18일]] || 시작[br](This Is Where It Begins) ||<|3> 존 레쿼, 글렌 피카라 || 리 아이젠버그, 드류 크레벨로 || || || '''{{{#61B3E7 '''2'''}}}''' || 마샤 마샤 마샤[br](Masha Masha Masha) || 엘리노어 버지스 || || || '''{{{#61B3E7 '''3'''}}}''' || 여름 캠프[br](Summer Camp) || 에바 앤더슨 || || || '''{{{#61B3E7 '''4'''}}}''' || [[2022년]] [[3월 25일]] || 4.4 ||<|2> 코리 핀리 || 진젤 프라이스 || || || '''{{{#61B3E7 '''5'''}}}''' || [[2022년]] [[4월 1일]] || 더 멀리[br](Hustle Harder) || 엘리사 카라식 || || || '''{{{#61B3E7 '''6'''}}}''' || [[2022년]] [[4월 8일]] || 배짱[br](Fortitude) ||<|2> 틴지 크리슈난 || 마크 스타센코 || || || '''{{{#61B3E7 '''7'''}}}''' || [[2022년]] [[4월 15일]] || '위'의 힘[br](The Power of We) || 에바 앤더슨, 엘리너 버제스 || || || '''{{{#61B3E7 '''8'''}}}''' || [[2022년]] [[4월 22일]] || 돈을 가진 자[br](The One With All the Money) || 샤리 스프링거 버만, 로버트 풀치니 || 엘리사 카라식, 진젤 프라이스, 마크 스타센코 || ||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wecrashed/s01, tomato=67, popcorn=77)]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005128, user=7.3)]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wecrashed, critic=65, user=7.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wecrashed, user=3.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code=27989, presse=3.0, spectateurs=3.7)]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드라마), code=4367910, user=7.3)] [include(틀:평가/Filmarks(드라마), code=11100/15439, user=4.0)]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70559, user=<별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4984509, user=7.5)]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新創玩家-wecrashed-12395, user=3.9)]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02835, light=100)]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ZAyvQ, user=3.5)] [include(틀:평가/TMDB(드라마), code=117821, user=80)]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드라마), code=wecrashed, user=6)] == 기타 == * [[WeWork]]를 패러디한 WeCrashed라는 원래 제목을 음차하는 대신 '폭망'으로 다소 과장되게 번역한 점은 꽤 호불호가 갈리는 편인데 대체로 위워크 이야기인 것을 알고 본다는 점, 그리고 드라마 자체의 분위기와 배우들의 느낌 등등이 진지한 편인데 무슨 개그프로마냥 폭망했다! 같은 짓을 해놓은것에 대해서 대부분의 시청자들은 좋게 보지 않는 실패한 번역으로 결론이 나고 있다.[* [[Apple TV+]]에서 서비스하는 작품 중 원제를 음차하거나 맥락에 맞게 번역하지 않은 작품들이 많은데, 이는 호불호가 갈린다.] * 제목은 폭망했다지만 정작 위워크 창업자 뉴먼은 쫒겨나는 과정에서 수천억 원에 지분을 전량 매각한 뒤 1조 원이 넘는 규모의 부동산 임대업을 운영하며 호의호식하고 있다. [[IPO]] 실패 후 진짜 망한 쪽은 스톡옵션 값어치가 똥값이 된 위컴퍼니 소속 직원들과 막대한 투자 손실을 입은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