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 라이트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2>
{{{#ffffff '''{{{+2 우먼 인 윈도}}}''' (2021)[br]''The Woman in the Window''}}}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1 우먼 인 윈도 포스터.jpg|width=100%]]}}} || || '''{{{#000000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범죄]], [[미스터리]], [[드라마]], [[스릴러]]}}} || || '''{{{#000000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A.J.핀 - 소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431125|우먼 인 윈도]]》}}} || || '''{{{#000000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조 라이트]]}}} || || '''{{{#000000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트레이시 레츠}}} || || '''{{{#000000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엘리 부시[br]안소니 카타가스[br][[스콧 루딘]]}}} || || '''{{{#000000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에이미 애덤스]], [[게리 올드만]], [[앤서니 매키]],,외,,}}} || || '''{{{#000000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브루노 델보넬]]}}} || || '''{{{#000000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발레리오 보넬리}}} || || '''{{{#000000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케빈 톰슨}}} || || '''{{{#000000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크렉 버키}}} || || '''{{{#000000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대니 엘프먼]]}}} || || '''{{{#000000 의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알버트 울스키}}} || || '''{{{#000000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세기 스튜디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폭스 2000 픽쳐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스콧 루딘 프로덕션}}} || || '''{{{#000000 공개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12]]]] [[2021년]] [[5월 14일]]}}} || || '''[[화면비율|{{{#000000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9 : 1}}} || || '''{{{#000000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0분}}} || || '''{{{#000000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4,000만 달러}}} || || '''{{{#000000 독점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아이콘.svg|width=12]]]] [[https://www.netflix.com/kr/title/81092222|▶]]}}}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000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청소년 관람불가|[[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000000 청소년 관람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어톤먼트(영화)]], [[다키스트 아워]] 등의 영화에서 연출을 맡은 [[조 라이트]] 감독의 신작. [[에이미 애덤스]], [[게리 올드만]], [[앤서니 매키]], [[줄리안 무어]], [[제니퍼 제이슨 리]] 등이 출연하며, 2018년 출간된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ei7HLKGFvE)]}}}|| || {{{#ffffff '''▲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넷플릭스]] [[https://www.netflix.com/kr/title/81092222|#]] ||
{{{#000000 광장 공포증으로 집에서만 지내는 정신과 의사. 그녀는 건넛집에 이사한 가족을 관찰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창문 너머 잔혹한 범죄를 목격한다. 진실을 찾으려는 그녀의 집착, 그 끝은 어디일까.}}} || == 등장인물 == * [[에이미 애덤스]] - 애나 폭스 역 * [[게리 올드만]] - 앨리스테어 러셀 역 * [[앤서니 매키]] - 에드 폭스 역 * [[줄리안 무어]] - 제인 역 * [[와이엇 러셀]][* 전직 아이스하키 선수 출신 배우. [[커트 러셀]]의 아들이자 [[팔콘과 윈터 솔져]]의 [[존 워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존 워커]]역으로 유명하다.] - 데이비드 역 * [[브라이언 타이리 헨리]] - 리틀 형사 역 * [[제니퍼 제이슨 리]] - 제인 러셀 역 * 프레드 헤킨저 - 이슨 역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woman-in-the-window, critic=39, user=5.6)]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woman_in_the_window_2020, tomato=29, popcorn=45)] [include(틀:평가/IMDb, code=tt6111574, user=5.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woman-in-the-window-2021, user=2.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52543, presse=2.8, spectateurs=2.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1118412, user=5.91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6893, user=3.4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82809,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56283, user=<평점>)]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180126, user=6.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DPGX6, user=2.6)]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83938, light=<지수>)]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91556, expert=<전문가 평점>, audience=<관람객 평점>, user=<네티즌 평점>)]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27137, expert=없음, user=5.8)] [include(틀:평가/MRQE, code=the-woman-in-the-window-m100136295, critic=54, user=없음)] > A milquetoast and muddled thriller that drowns in its frenzied homages, The Woman in the Window will have audiences closing their curtains. >---- > '''흘러넘치게 가져온 오마주들 속에 익사해버려, 갈피를 못 잡는 변변찮은 스릴러 영화 <우먼 인 윈도>는 관객들로 하여금 스스로 자신들의 커튼을 닫아버리게 만들 것이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조 라이트]] 감독의 희대의 망작. 굳이 장점을 찾아보자면 조 라이트다운 영상미만큼은 볼만하다. --그 영상에 내용이 이상해서 그렇지--이 때문에 영상미 외에 전부 퇴보하는 것 아니냐는 염려도 있었으나, 이듬해 개봉한 [[시라노(영화)|시라노]]의 평가를 통해 아직 건재함을 알렸다. 이후의 평가는 그냥 시나리오 라이터를 잘못 만났다는 평. == 수상 및 후보 이력 == * [[골든 라즈베리]] 최악의 작품, 최악의 감독, 최악의 각본, 최악의 여우주연상(에이미 애덤스)[* 에이미는 [[디어 에반 핸슨(영화)]]를 통해 최악의 여우조연상 후보에도 올랐다.] 후보 == 기타 == 영화 소개도 그렇고 자막에도 주인공이 의사라고 나오는데 의사가 아니다. 정확히는 "아동청소년심리사"다. 주인공이 앓고 있는 정신병도 광장공포증이 아니라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다. == 관련 문서 == * [[넷플릭스]] * [[넷플릭스 오리지널]] [[분류:조 라이트]][[분류:2021년 영화]][[분류:20세기 스튜디오]][[분류: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미스터리 영화]][[분류:미국의 스릴러 영화]][[분류:소설 원작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