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제주특별자치도의 버스 회사, rd1=극동여객)]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목차] == 개요 == 1967년 4월 20일부터 2010년 10월까지 존재했던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였다. == 상세 == 1967년 동구 용계동에서 "극동버스"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본래 차고지는 율하남교 근처[* 동구 화랑로100길 139용계동 763-10/현재의 민간 자동차정비 수리업체 부지)][* [[대구, 경산 버스 939|939번]]이 36번이던 시절 이 곳을 종점으로 쓰다가 1990년 무렵 [[경북대학교]]로 단축됐다.]에 있었다가, 2003년에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2003년에 "유원버스"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몇 달 가지 않아 다시 극동버스로 회귀되었다. 2003년경에 경영난을 겪었고, 이 과정에서 일부 차량들은 국일여객(현 [[달구벌버스]])으로 넘어갔다. 2004년에 [[성보교통]]의 계열사로 편입됐으며, 동시에 "우성교통"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2004년 5월 말에 일어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대 파업에 참가하지 않았다. 같은 계열의 [[경상버스]]와 [[성보교통]]은 파업했다. 2010년 10월 16일에 성보교통과 합병했으며, 얼마 후 검단동차고지로 통합했다.[* 합병 후 일부 차량들은 2011년 1월 [[경상버스]]에 넘어갔다.] 이에 따라 동호공영차고지에 공백이 생겼고, 때마침 이현동차고지의 임차계약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던 [[달구벌버스]]가 기다렸다는 듯이 입주를 신청하여 2011년 4월 9일에 동호공영차고지로 이전했다. 대현교통과 상호보증계약을 맺는 바람에, 2000년 3월에는 [[대현교통]]의 경영난으로 용계동차고지를 봉쇄당했던 [[흑역사]]가 있었다. == 차량 == 대구 최초 리어엔진버스인 BR101을 운용하였으며(중문도 폴딩이였다.), BR101과 비슷하지만 중문이 슬라이딩으로 바뀐 [[자일대우버스 BV|BV101]]을 대구에서 가장 많이 운용하였다. 주로 대우차를 운용하였으나, 현대차는 [[현대 RB|RB520]]을 1985년부터 1990년까지 출고하다가 1999년까지 운용하였으며, 2000년형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 540]]을 출고한 이후로는 현대차의 비중이 높았다. [[저상버스]]의 자동변속기는 [[ZF]]를 주로 이용했다. 단, 2009년식 F/L 저상 1대는 [[앨리슨 트랜스미션|앨리슨]]이었다. 대구 최초로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버스]] 중 [[천연가스버스]]를 운행한 회사이기도 하다. [[성보교통]]에서 퇴역시킨 마지막 [[자일대우버스 BS|BS106]]은 우성교통 출신이다. 성보교통의 면허 중 17XX 면허가 우성교통 출신이다. [[세진교통]], [[우주교통]]과 달리 [[해피투게더 현대교통|현대교통]]처럼 피합병 회사의 면허를 존치시켰기 때문이다. 2020년 7월에 [[경상버스]] 소속으로 [[대구 버스 323, 323-1|323번]]에서 뛰던 마지막 우성교통 출신 차량이 대차되었다. 이로 인해 우성교통의 흔적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 관련 문서 == * [[성보교통]] [[분류:대구광역시의 없어진 버스 회사]][[분류:1967년 설립]][[분류:2010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