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우성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허난설헌)] ---- [include(틀:허균)] ---- [include(틀:동인)] ---- [include(틀:남인)]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2c2c1a 0%, #878751 30%, #878751 70%, #2c2c1a);" '''{{{#fff {{{+2 우성전}}}}}}[br]{{{#fff 禹性傳| Woo Seongje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우성전과 양천 허씨 처의 묘.jpg|width=100%]]}}}{{{-2 우성전의 묘}}}[* 왼쪽은 우성전, 오른쪽은 우성전의 아내 허대정이다.] || ||<|2> {{{#fff '''출생'''}}} ||[[1542년]] ?월 ?일[br](중종 37년, [[음력]] 1562년 ?월 ?일) || ||[[조선]] [[한성부]][br],,(現 [[대한민국]] [[서울시]]),, || ||<|3> {{{#fff '''사망'''}}} ||[[1593년]] ?월 ?일[br](선조 26년, [[음력]] [[1593년]] ?월 ?일)[br]{{{-1 (향년 52세, 51년 ?개월 ?일 / 18627일 추정)}}} || ||[[조선]] [[경기도]] 부평도호부[br]{{{-2 (現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 ||[[객사]] ([[과로사]]) || || {{{#fff '''묘소'''}}}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산 79-1번지 || || {{{#fff '''학력'''}}} ||[[퇴계 이황]]의 문하[br]식년시 진사시 급제 ([[음력]] [[1561년]] [[8월 19일]])[br]문과 증광시 병과 급제 ([[음력]] [[1568년]] [[6월 18일]]) || || {{{#fff '''직업'''}}} ||[[관료]], [[의병장]]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 '''본관'''}}} ||[[단양 우씨|단양(丹陽)]] || || {{{#fff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width=28]] [[조선]] || || {{{#fff '''공훈'''}}} ||선무원종공신 1등 (宣武原從功臣 一等, 1605) || || {{{#fff '''최종[br]관등'''}}} ||급제[br](及第) || || {{{#fff '''휘'''}}} ||성전(性傳) || || {{{#fff '''자'''}}} ||경선(景善) || || {{{#fff '''호'''}}} ||추연(秋淵), 연암(淵庵) || || {{{#fff '''종교'''}}} ||[[유교]] (성리학) || || {{{#fff '''붕당'''}}} ||{{{-1 [[남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13; font-size: .8em" {{{#FFFFFF '''남인'''}}}}}}]]}}}[br][[동인(조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5B; font-size: .8em" {{{#FFFFFF '''동인'''}}}}}}]] || || {{{#fff '''작품'''}}} ||《언행수록(言行手錄)》[* 퇴계 이황의 언행록 중 하나이다. [[http://kostma.korea.ac.kr/dir/viewIf;jsessionid=D3DDD48B58D63CBF6B090EC1F8C155BE?uci=RIKS+CRMA+KSM-WZ.0000.0000-20090716.AS_SA_083|#]] ][br]《역설(易說)》[br]《이기설(理氣說)》[br]《[[계갑일록]](癸甲日錄)》 || || {{{#fff '''부모'''}}} ||생부 - 우언겸(禹彦謙, {{{-3 1509 ~ 1573}}})[* [[태종(조선)|태종]]의 14녀 [[숙안옹주]]의 외증손자.][* [[숙안옹주]] → 황정 → 우성윤의 처 황희옥 → 우언겸, 우준겸][br]생모 - [[연안 김씨]] 김석린(金石磷)의 딸[br]양부 - 우준겸(禹俊謙, {{{-3 1524 ~ ?}}})[br]양모 - 죽산 박씨 박여림(朴汝霖)의 딸 || || {{{#fff '''형제[br]자매'''}}} ||'''3남 3녀 중 차남'''[br]누나 - 우금가(禹今加, {{{-3 1530 ~ ?}}})[br]누나 - 우자절금(禹者卩今, {{{-3 1532 ~ ?}}})[br]형 - 우심전(禹心傳, {{{-3 1537 ~ ?}}})[br]누나 - 우복개(禹福介, {{{-3 1540 ~ ?}}})[br]남동생 - 우도전(禹道傳, {{{-3 1545 ~ ?}}}) || || {{{#fff '''배우자'''}}} ||[[양천 허씨|허대정]](許大貞, {{{-3 1546 ~ ?}}})[* [[허엽]]의 차녀.][* 왕실 족보인 선원록에 이름이 나와 있다. [[http://royal.aks.ac.kr/Ge/JokboPageData?bookId=JSK_WJ_K21047&pid=35636|허대정]]] || || {{{#fff '''자녀'''}}} ||불명 || || {{{#fff '''경력'''}}} ||{{{-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예문관검열[br]봉교[br]수찬[br]수원 현감[br]장령[br][[사옹원]]정[br]응교[br]사인[br]급제}}}}}}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중기의 [[관료]], [[의병장]] == 가족 == 생부가 우언겸이며, 양부가 우준겸이다. [[김성립]]의 경우처럼 우언겸의 형제 우준겸의 양아들로 들어가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태종(조선)|태종]]의 14녀 [[숙안옹주]]의 외고손자이기도 하다.[* [[숙안옹주]] → 황정 → 우성윤의 처 황희옥 → 우언겸 → 우성전] [[허균]]의 이복 누나 양천 허씨가 배우자이며, 허균에게는 이복 매형이 된다. 처남 허균의 재능을 눈여겨 본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동시대 인물 유몽인의 '어우야담(於于野談)'에서 소개된 허균의 어린 시절의 일화이다. >9세에 능히 시를 지었는데 작품이 아주 좋아서 여러 어른들이 칭찬하며, ‘이 아이는 나중에 마땅히 문장하는 선비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모 사위 우성전(禹性傳)만은 그 시를 보고, ‘훗날 그가 비록 문장에 뛰어난 선비가 되더라도 허씨 문중을 뒤엎을 자도 반드시 이 아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 ---- > 어우야담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21147000/2007/05/021147000200705170660024.html|#]] == 생애 == === 생애 초기 === 조선 중기에 태어났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한문과 성리학을 공부했다. 이후 이황의 언행록 중 하나인 《언행수록(言行手錄)》을 간행했다. 1561년 음력 8월 19일 식년시 진사시에 합격인원 100명 중 95등, 65위로 급제했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a_1561_004938&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 1568년 음력 6월 18일 문과 증광시 병과에 합격인원 33명 중 11등, 1위로 급제했다.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568_003707&curSetPos=1&curSPos=0&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 === 관직 생활 === 동인과 서인의 첫 대립 이후 동인으로 분류되었고, 이후 동인의 강경파 [[이발(조선)|이발]]과 대립하면서 자신과 뜻을 함께 하는 동인 온건파와 함께 동인에서 갈라져 나와 남인이 되었다. 이때 이후 우성전은 남산에 살아서 남인, 이발은 북악에 살아서 북인으로 분류되었다. 1591년 서인 영수 [[정철]]과 관한 의견 차이로 인해 북인과 관계가 악화되면서 탄핵을 받고 관직을 삭탈당했다. === [[임진왜란]] 당시 행적 === [[임진왜란]]이 터진 이후 경기도에서 의병 2,000을 모집해서 의병장이 되었다. "추의군(秋義君)"을 자칭하고 소금과 식량을 난민들에게 주었다. 강화도에서 의병장 [[김천일]] 밑에서 왜군과 싸웠다. 이후 왜군을 정벌하러 경상우도 의령까지 갔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9975|#]] === 최후 === 그러나 과로해서 병을 얻었고 경기도 부평도호부에서 사망했다. [각주] [[분류:1542년 출생]][[분류:1593년 사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단양 우씨]][[분류:조선의 문관]][[분류:임진왜란/군인]][[분류:조선 의병장]][[분류:선무원종공신]][[분류:동인(조선)]][[분류:남인]][[분류:과로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