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구(대전)]][[분류:대전광역시의 공원]][[분류:송시열]] ---- ||<-2><:>'''{{{#FFF {{{+1 우암사적공원}}}[br]{{{-1 尤菴史蹟公園 | Uam Historic Park}}}}}}'''|| ||<-2> [[파일:우암사적공원 안내도.png|width=100%]] || ||<-2>[include(틀:지도,장소=우암사적공원,너비=100%,높이=200px)]|| ||<:>'''{{{#fff 종류}}}'''||<:>[[공원]]|| ||<:>'''{{{#fff 주소}}}'''||<:>[[대전광역시]] [[동구(대전)|동구]] [[충정로]] 53 (가양동 65)|| ||<:>'''{{{#fff 개장}}}'''||<:>[[1998년]] [[4월 17일]]|| ||<:>'''{{{#fff 연락처}}}'''||<:>042-270-8691|| ||<:>'''{{{#fff 홈페이지}}}'''||<:>[[https://www.daejeon.go.kr/par/ParContentsHtmlView.do?menuSeq=828|[[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qsMrCEuWA)]}}} || || {{{#fff '''우암사적공원을 다룬 뉴스티엔티 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시대]]의 [[학자]]이자 [[문신]]이었던 [[송시열]]과 관련된 [[건물]], [[유물]] 들을 한데 모아 조성한 [[공원]]이다. 공원의 이름은 송시열의 [[호#s-6|호]]인 우암(尤庵)에서 따왔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3,120㎡(약 16,000여 평)되는 땅에 유물관, 서원 등의 건물 18동을 재현 및 건립한 뒤 1998년 4월 17일에 개장했다. [[https://smartkey17.tistory.com/55|#]] 자세한 내용은 [[http://cafe.daum.net/ospab/GPVX/149?q=%EC%9A%B0%EC%95%94%EC%82%AC%EC%A0%81%EA%B3%B5%EC%9B%90|포스팅 참조.]] 쉬는 날과 입장료는 없다. 이용시간은 하절기(3 ~ 10월)엔 오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 동절기(11 ~ 2월)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다. 공원 정문 기준 좌측에는 송시열이 제자를 가르치던 [[서당]]의 별당인 남간정사가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공원 건물들이 복원 건물인 것과 달리 이쪽은 17세기 후반에 지어진 정사다 보니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2021년 정문 붕괴 사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MgKWOik1s)]}}} || || {{{#fff '''우암사적공원 정문 붕괴 교통사고를 다룬 연합뉴스 영상'''}}} || 2021년 3월 29일 15시 54분경 70대 운전자가 운전미숙으로[* 운전자는 차량에([[현대 그랜저/3세대|그랜저 XG]])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돌진하여 정문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64660|#]] 아이러니하게도 이 사고 이후 정문을 철거하니 정문에 가려져 있던 [[계족산]] 풍경이 드러났다. 대전시 측은 시민들이 이 모습을 더 선호하였고, 정문은 1990년대 세워진 현대의 건축물이었기 때문에 정문의 복원은 계획하지 않기로 하였다. 이후로 해당공원은 개방형 공원으로 운영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동구(대전)]] * [[대전광역시/관광]] * [[송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