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 국경'''은 [[우즈베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국경]]이다. 양국은 [[아무다리야 강]]을 통해 접하고 있다. 그리고 우즈벡-아프간 국경을 두고 우즈베크인의 거주지가 위치해 있다. [[파일:amudarya4.png]] == 역사 ==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침공 이전에는 [[우즈베크]]족들의 거주 지역이 우즈베키스탄 일대와 아프간 북쪽에 걸쳐졌다. 19세기 이후에 [[러시아 제국]]이 [[중앙아시아]] 일대를 정복하면서 우즈베크족의 거주지가 러시아 제국 지역과 [[바라크자이 왕조]] 지역으로 나뉘어졌다. 그리고 [[소련]] 시절에는 소련-아프간 국경이었다. 1979년에 [[소련군]]이 아프간 국경을 넘으며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시작됐다. 그리고 [[소련 해체]] 이후에는 우즈베키스탄-아프간 국경이 됐다. 2001년 8월 7일, [[탈레반]]은 우즈베키스탄 국경지대에 병력을 배치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0088823?sid=104|#]] 11월 9일, 우즈벡 정부는 [[북부동맹]]에게 국경 다리 사용을 허용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11213?sid=104|#]] 2021년 8월 15일, 우즈벡 내무부는 아프간 정부군 84명이 국경을 넘어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601307?sid=104|#]] 그리고 국경강화를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541968?sid=104|#]] 8월 16일, 우즈벡 정부는 우즈벡 영공에 진입한 아프간 군용기를 격추시켰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602955?sid=104|#]] 9월 17일, [[집단안보조약기구]]는 아프간 국경에 병력을 배치하는 등 국경을 강화하기로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726498?sid=104|#]] == 치안 == 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 국경은 치안이 매우 불안하고 아프간이 [[탈레반]] 치하에 있기 때문에 한국 정부에서 여행 유의로 지정했다. 그리고 우즈벡 정부는 유엔원조기구 직원, 군대, 특별허가된 언론인들의 출입을 허용하며 3곳의 국경검문소가 위치해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6/0000063308?sid=104|#]]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벡인들이 소련 해체 이후, 일부가 국경을 넘어 아프간의 이슬람 근본주의 단체에 가입하는 경우도 있어서 우즈벡 정부가 예의주시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국경]] * [[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 [[분류:국경]][[분류:우즈베키스탄-아프가니스탄 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