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오경렴.jpg]] || ||<-3> '''{{{#white 중화민국 중의원 의장}}}''' || ||<-2> '''{{{#white 정체}}}''' ||吳景濂 || ||<-2> '''{{{#white 간체}}}''' ||吴景濂 || ||<-2> '''{{{#white 한국식 독음}}}''' ||[[오경렴]] || ||<-2> '''{{{#white 영문}}}''' || Wú Jǐnglián || ||<-2> '''{{{#white 자}}}''' ||연백(蓮伯) || ||<-2> '''{{{#white 출생}}}''' ||[[1873년]] 청나라 봉천성 흥성현 || ||<-2> '''{{{#white 사망}}}''' ||[[1944년]] [[1월 24일]] [[왕징웨이 정권]] [[톈진시]] || ||<-2> '''{{{#white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북양정부|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width=28]] [br] → [[중화민국/국민정부|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width=28]] || ||<-2> '''{{{#white 학력}}}''' ||경사대학당 || ||<-2> '''{{{#white 직업}}}''' ||정치가 || [목차] == 개요 == 중화민국의 정치인. 중화민국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 생애 == === 초기 이력 === 1873년 청나라 봉천성 흥성현에서 태어났다. 원적은 산동성 봉래현이다. 21세에 과거 시험에 급제하여 거인이 되었고 경사대학당을 졸업한 후 봉천 양급 사범학당의 감독을 거쳐 봉천교육회 회장을 지냈다. 이후 일본 유학을 다녀왔으며 귀국 후 학생들을 가르치며 신학문 보급에 힘썼다. 1909년 봉천 자의국 의원에 당선된 후 자의국 의장에 선출되었다. 1911년, [[무창봉기]]가 발생하자 이에 호응하여 12월 12일, 보안회의를 소집하여 봉천군벌 [[위안진카이]]의 지지를 받았고 남천위 등과 함께 동삼성 총독 조이손을 축출하고 봉천성 민정장에 앉아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자 했으나 [[장쭤린]]이 조이손 지지를 천명하면서 독립안은 부결되고 봉천 국민 보안공회 설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우징롄은 보안공회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위안진카이도 조이손 지지로 선회하였고 이 때문에 남천위가 실각하고 장용 등이 암살되었다. 이후 난징으로 남하하여 임시참의원 의장에 선출되었다. 1912년 [[중화민국]]이 설립된 후 [[황싱]], [[쑹자오런]], [[왕충후이]], [[쑨원]]과 함께 국민당 이사에 선출되었다. 중화민국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중의원에 당선되었다. 여성 참정권 부여에 반대하여 당군영, 심패정 등 여성 참정론자들과 격렬하게 대립하였다. === [[호법운동]] === 위안스카이가 독재를 강화해나가자 이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으나 [[리례쥔]] 등의 무력토벌 주장에는 반대했다. 1914년 [[중화민국 국회 해산]]이 일어나면서 중의원 자리를 상실했다. 1916년 [[홍헌제제]]를 일으켰던 [[위안스카이]]가 급서한 후 후임 총통 [[리위안훙]]이 국회를 복구하면서 다시 중의원이 되었으며 중의원 의장 탕화룡이 퇴임함에 따라 중의원 의장에 선출되었다. 이때 구 국민당 온건파 [[왕정팅]], [[장쥐]], 곡종수, 장요증 등과 함께 객려파를 구성하였다. 1917년 [[부원지쟁]] 중에 객려파는 강경하게 참전을 주장하는 곡종수, 장요증의 정학회와 장쥐, 우징롄의 익우사로 분당되었다. 우징롄은 참전에 소극적으로 찬성하였고 이에 반발한 [[왕정팅]]과 [[저보성]]이 익우사를 탈당하여 정여구락부를 조직하였다. 1917년, [[장훈복벽]]을 진압한 국무총리 [[돤치루이]]가 민국 재조설을 주장하면서 국회 재건을 거부하자 [[쑨원]]과 함께 광저우로 남하하여 광동 군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때 정여구락부와 익우사가 재합당하였다. 8월 25일 구성된 비상국회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이 때문에 8월 29일, 돤치루이로부터 체포령이 하달되어 [[호법전쟁]]이 발발하였다. 1918년 6월, 군정부 개조가 이루어지면서 6월 12일, 중의원 의장이 되었다. 군정부 개조 초기엔 초기엔 [[탕사오이]], [[탕지야오]]와 연합했으나 이어 [[천춘쉬안]]과 [[루룽팅]]와 연합했다. 하지만 천춘쉬안이 지도하는 정학계의 전횡에 불만을 품고 [[린썬]], [[쥐정]] 등 쑨원을 강경하게 옹호하는 민우사와 함께 정학계와 대립했다. 1919년 호법국회 선거에서도 중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20년 3월, 계계군벌의 위협이 노골적이 되자 [[우팅팡]], [[린썬]]과 함께 광동 군정부를 보이콧하고 군정부에서 이탈하여 상하이에 거주하였다. [[5.4운동]] 이후 [[차이위안페이]]와 함께 합작하여 반제운동을 벌였으며 [[돤치루이]]에게 구국회 회복을 놓고 협상을 벌였으나 [[쉬수정]] 등 돤치루이의 측근 문제가 걸리면서 별 성과는 보이지 못했다. 1922년 [[1차 직봉전쟁]]에서 [[봉천군벌]]이 패퇴하고 [[차오쿤]], [[우페이푸]]가 정권을 잡자 국회 회복에 기대를 걸고 모친상을 구실로 봉천을 방문, [[장쭤린]]을 만나 국회 회복을 타진했으나 큰 소득을 얻지 못하자 4월 27일, 베이징으로 이동하여 전 참의원 의장 왕가양과 함께 대대적인 국회 회복 운동을 전개했다. 1922년 5월 10일, 차오쿤과 우페이푸가 소집한 바오딩 회의에 참석하여 국회 회복을 주장했고 회의 결과에 따라 각성에 국회 회복을 묻는 통전이 행해지자 [[쑨촨팡]]을 비롯한 각 군벌들이 국회 회복에 찬성하였다. [[량치차오]], [[왕충후이]], [[차이위안페이]] 등 베이징의 학계가 국회 회복을 요구하자 차오쿤은 이를 수용하여 국회를 복구하였다. 우징롄은 과거의 경력을 그대로 인정받아 중의원 의장에 선출되었고 참의원 의장 왕가양과 함께 대총통 [[쉬스창]]을 핍박하여 하야시키고 [[리위안훙]]을 다시 총통에 복직시켰다. 1922년 11월, 재정총장 [[뤄원간]]이 오스트리아로부터 뇌물을 받아 불법차관 상환 조약을 체결했다는 누명을 씌워 그를 체포하는 [[뤄원간 사건]]을 일으켰다. 1923년 대총통 선거에서 막대한 양의 뇌물을 뿌리고 정족수에 대한 허위사실까지 발표하면서 [[차오쿤]]을 대총통에 당선시켰으나 직예군벌 직속의 헌정당의 핍박으로 차오쿤 헌법 통과, [[쑨바오치]] 내각 붕괴를 보고 좌절하여 톈진으로 은거했으며 1924년 1월 선거에서 중의원 자리도 잃었다. 1924년 [[2차 직봉전쟁]]에서 승리한 [[장쭤린]]이 베이징에 입성하자 봉천군벌 왕승빈을 통해 장쭤린과 결탁하였다. [[돤치루이]]가 임시집정에 취임한 후 국회의원 자리를 되찾고자 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 말년 === 이후 톈진에 은거하였으며 1931년 [[만주사변]]이 발생하자 일본 측으로부터 동북으로 돌아와 [[만주국]] 건국에 참여하라는 회유를 받았으나 거절했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베이핑-톈진 전투]]가 벌어져 평진 지역이 일본군에게 점령되자 [[중화민국 임시정부(괴뢰 정부)]]의 수장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이를 거절하고 계속 톈진에 은거했다. 1944년 1월, 사망했다. == 참고문헌 == * 중국현대정치사론, 장옥법, 고려원. * 중화민국과 공산혁명, 신승하, 대명출판사. * 손문의 혁명, 이승휘, 한울아카데미. * 만주군벌 장작림, 쉬처, 아지랑이. * 중국의 공화혁명, 민두기, 지식산업사. * 조곤의 부패선거(1923년)과 법통문제의 종식, 윤혜영, 동양사학연구 28호, 동양사학회. [[분류:청나라의 정치인]][[분류:북양정부의 정치인]][[분류:1873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랴오닝성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