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보루토 7반)] ||<-2> '''{{{+5 {{{#df4d4d 우치하 사라다}}}}}}[br]{{{+1 {{{#df4d4d うちは サラダ}}}}}}[br]{{{+1 {{{#df4d4d Uchiha Sarada}}}}}}'''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아카데미.jpg|width=100%&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하급닌자.jpg|width=100%&align=center]]}}} || || '''아카데미^^11세^^''' || '''하급닌자^^12세^^'''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그 외 이미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어린 시절.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사륜안 모드.jpg|width=100%]]}}} || || '''어린시절''' || '''사륜안 모드^^쌍구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안경 벗을 때.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사라다 만화판.jpg|width=100%]]}}} || || '''안경 벗었을 때''' || '''만화판''' ||}}}}}}}}} || [목차] == 개요 == [[파일:ezgif-6-2cb51e33d6fa.gif]] > '''"나는 [[우치하 사스케|아빠]]와 다른 길을 걸어 호카게가 될 거야!"''' > '''"[[하루노 사쿠라|しゃーんなろー]](샨-나로!)"'''[* 사쿠라와 같은 말버릇. 원작에선 샨-나로라고 하지만, 게임인 나루티밋 스톰에서는 "초(超) 샨나로"라고 말한다.] '''うちは サラダ | Sarada Uchiha''' [[보루토]]의 [[여주인공]]이자 나뭇잎 마을 출신 쿠노이치. 성우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키쿠치 코코로]][* 이 성우는 나루토 더 라스트에서 [[우즈마키 보루토|보루토]]를 연기한 적이 있다. 사스케 목소리를 고려해서 성우를 뽑은것인지 스기야마 노리아키 특유의 시니컬이 묻은 걸쭉함과 앵앵 거리는 목소리가 키쿠치 코코로 성우에서도 묻어나 팬들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기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정혜원(성우)|정혜원]][* [[나루토|전작]]에서 [[노하라 린]], 어린 시절의 [[큰아버지|우치하 이타치]], [[하나레]]를 맡았다.](극장판), [[이지현(성우)|이지현]](TVA, 극장판 재더빙)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셰러미 리]].[* 이지현과 셰러미 리 모두 [[디지몬 크로스워즈]]에서 [[로프몬]] 역을 맡았다.] == 프로필 == || {{{#white '''이름'''}}} || 우치하 사라다[*외국어표기 영어(Uchiha Sarada) 일본어(うちは サラダ) 중국어(宇智波佐良娜)] || {{{#white '''성별'''}}} || 여성 || || {{{#white '''생일'''}}} || [[3월 31일]][*현재 자신의 동기들 중에서 가장 막내이다.] || {{{#white '''신장'''}}} || 147cm || || {{{#white '''체중'''}}} || 36kg || {{{#white '''혈액형'''}}} || A형 || || {{{#white '''좋아하는 음식'''}}} || [[홍차]] 계열 맛[* 진퉁 [[홍차]]가 애들 먹기엔 꽤 쓰다는 걸 생각하면 은근히 쓴맛 취향일지도.][* 쓴맛을 좋아한다해도 앙미쯔나 캐러멜 마끼아또도 먹는걸 보면 아버지처럼 단걸 싫어하지는 않는듯.] || {{{#white '''싫어하는 음식'''}}} || 토마토[* 근데 사스케는 토마토를 좋아한다. 대신 [[우즈마키 나루토|아빠 라이벌]]의 [[우즈마키 쿠시나|어머니]]가 진짜 싫어한다.] || || {{{#white '''나이'''}}} || 11세[* 외전 표지에서 [[키시모토 마사시|마사시]]가 언급. 다만 이건 아카데미 졸업 시점(외전 시점)의 나이다.] → 12세 || {{{#white '''가족 관계'''}}} || [[우치하 사스케]] ([[아버지]])[br][[하루노 사쿠라]] ([[어머니]])[br][[우치하 이타치]] ([[큰아버지]])[br][[우치하 후가쿠]] ([[친할아버지]])[br][[우치하 미코토]] ([[친할머니]])[br]하루노 키자시 ([[외할아버지]])[br]하루노 메부키 ([[외할머니]]) || || {{{#white '''취미'''}}} ||<-3>독서 (역사, 미스터리) || || {{{#white '''직위'''}}} ||<-3>하급닌자 || || {{{#white '''사용 속성'''}}} ||<-3>화둔, 뇌둔 || || {{{#white '''혈계한계'''}}} ||<-3>[[사륜안]](삼구옥) || || '''힘''' || '''지력''' || '''지각력''' || '''민첩력''' || '''차크라''' || '''교섭력''' || '''사격''' || '''환술''' || '''인술 지식''' || || 160[* [[하루노 사쿠라|엄마]](150), [[우즈마키 나루토|현 호카게]](130), [[우치하 사스케|아빠]](130)보다 월등히 힘이 세며, [[사루토비 코노하마루|담당 선생님]]과 같은 수치다.] || 145 || 140 || 130 || 150 || 146 || 4/5 || 4/5 || 4/5 || == 상세 == [[우치하 사스케|사스케]]와 [[하루노 사쿠라|사쿠라]]의 무남독녀 외동딸이다. 이름 '[[사라다]](サラダ)'는 일본어로 [[샐러드]]라는 뜻이다. 용모는 [[우치하 사스케|사스케]]를,[* 외모 자체는 날카로운 고양이상 미형인 우치하 쪽이다. 다만 웃거나 표정이 온화할 땐 사쿠라와도 좀 닮게 묘사되기도.] 성격은 [[하루노 사쿠라|사쿠라]]를 닮았다. 공식미남인 [[우치하 사스케|아버지]]를 빼닮아 본인도 상당한 미소녀.[* 다만 팬덤 사이에선 아래 나왔듯이 엄마아빠에 비해 별로 미형인 티가 안 난다는 식으로 외모에 대해 불평하거나 안경 좀 빼라는 평가가 많이 보인다(...) 아마도 마사시 작가가 디자인을 할 때 대놓고 미형 컨셉으로 디자인하기보단 총명함에 초점을 맞춰서 디자인을 한 탓인듯. --달리보면 대놓고 미형 부각 안 하는데다 안경까지 추가했는데도 미소녀 컨셉을 유지중이다...--][* 그러나 부모인 사스케와 사쿠라는 공식 미인임을 강조하는 외모 묘사가 수없이 나온 것과는 달리 딸인 사라다는 미인임이 강조되지도 않으며 사스케와 닮은 외모라는 묘사 이외엔 딱히 외모 언급이 없다.] 헤어스타일은 비대칭 앞머리 + 깻잎머리에 숏컷에 가까운 숱 적은 보브컷. 원작 마지막회에 바보짓 하는 보루토와 가정에 소홀한 아버지를 비웃으며 최초 등장했다. 그리고 2015년 4월 27일부터 단기 연재된 나루토 외전 "7대 호카게와 주홍빛 봄"에서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후속작 주인공인 보루토 보다 먼저 주역으로 데뷔했다. 외전에서 보여준 아이답지 않은 사려 깊은 모습과 성숙한 언행 등으로 인해 팬들 사이에서 개념캐라고 호평받고 있다.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Sarada_and_Ch%C5%8Dch%C5%8D_depart.png]] 출생의 비밀을 둘러싼 여행에서 혼란스럽던 자신을 바로잡아준 나루토를 동경하게 되며 [[호카게]]를 목표로 전진하게 된다. 말버릇은 어머니인 사쿠라에게서 물려받은 '[[하루노 사쿠라|しゃーんなろー]]'.[* 샨나로라고 읽는다. 사쿠라 특유의 기합소리. "좋아! 이 자식아!(よっしゃ!このやろ!, 욧샤! 코노야로!)"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애니판에선 '빌어먹을!'로 번역되었다.] == 성격 == >얼굴은 사스케를 닮았지만 성격은 사쿠라를 닮아서 화나면 무서울 거 같은걸~? >---- >[[우즈마키 나루토]] 외전에서 보여준 성격 자체는 나루토 2세들이 다 그렇듯 사스케와 사쿠라의 짬뽕. [[우즈마키 나루토|나루토]]의 말에 의하면 얼굴은 사스케, 성격은 사쿠라를 닮았다고 한다. 외전에서의 성격은 개념있고 성숙하며 사려깊게 묘사되었으며 애니에서도 다른애들을 자주 챙겨주며 개념찬 행동도 많이 한다. 즉 보루토같이 또래 애들과 비교하면 굉장히 어른스러운 성격. 전형적인 '''학급 위원장''' 스타일의 캐릭터이기 때문에 어른들에게는 예의바르지만, 자기 또래 애들의 바보짓을 한심하게 여기는 듯한 언동을 한다. 물론 막나갈때 선을 넘는건 사라다나 보루토나 매한가지기는 하지만. 앞서서 나루토가 성격이 사쿠라와 닮았다는 평을 내리긴 했지만, 작중 행적을 보면 정작 사스케는 물론이고 사쿠라하고도 별로 닮은 성격은 아니다. 애초에 정숙한 행동을 하지만 실제로는 괄괄한 성격에, 태도에 비해서 좀 유유부단한 면이 있는 사쿠라에 비해서 사라다는 상술했듯 그야말로 전형적인 '학급 위원장'에 가까운 캐릭터라 행동이나 성격도 모범적이(흑은 그러려고 노력하)고, 부모 둘에 비해서도 특별히 성격적으로 모난 구석이나 특줄난 구석도 없다. 평화적인 시대를 살아감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12세 시절의 사쿠라에 비해서는 훨씬 더 어른스러운 성격이다.. 보루토 공식 홈페이지의 캐릭터 소개란을 보면 항상 냉정히 일을 생각하고있다고 서술되어있다. 비슷하게도 소설판의 묘사에 따르면 평소엔 뭐든지 깨끗하게 흑백으로 나누고 싹둑 잘라버리듯 일을 해내는 타입[* 사라다도 본인이 이렇다는 걸 인지하고 있다.]으로 시카다이가 사라다를 냉정한 소녀로 칭한 것처럼 주변인들도 거의 사라다를 냉정하고 합리적인 캐릭터 내지 상식인으로 취급한다. 다만 또래 중 사라다가 감정이 풍부하다고 느끼는 건 오직 보루토뿐이며, 사실 이쪽이 좀 더 정확한 평가에 가깝다. 학급 위원장 캐릭터가 그렇듯 엄밀히 말하면 툴툴거리거나 냉소적인건 어디까지나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이며, 실제로는 그 나이대에 걸맞는 소녀적인 감성도 가지고 있다. 남자 아이들이 '게키닌' 카드를 구입하는것을 유치하다고 까면서도, 쵸쵸가 케이크를 먹자며 부르자 웃으며 쫄래쫄래 따라가는것이 그 예. [[파일:SADASDAWEF.png]] 리더쉽과 카리스마를 발휘하는 임무 때와는 달리 공포 영화를 보면 동기들 중 혼자 무서워하는 등 겁이 많다. 보루토 애니메이션 139화에서 40반 멤버들의 공포심[* 40반의 멤버 중 한명인 엔코의 폭주를 무서워하고 있었다.]을 떨쳐내기 위한 훈련으로 공포 영화를 보러 갔는데 영화 공포 수위가 그리 높지 않았던지 그냥 무덤덤하게 보던 다른 동기들과 달리 사라다 혼자 엄청나게 무서워했다. == [[우치하 사라다/작중 행적|작중 행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치하 사라다/작중 행적)] == 대인 관계 == * [[우치하 사스케]] '''아버지.''' 사라다가 어렸을 적에 임무를 떠나고는 돌아오지 않아, 철이 든 이후에도 기억하고 있지 못한다.[* 사라다가 2~3살 정도일때 까지는 같이 지낸 것으로 보인다.] 이후 재회했을 때는 사스케가 사라다의 얼굴도 몰라보고 오히려 적이 변장한 것으로 간주해 위협하는 일이 발생해 관계가 극도로 나빠졌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사라다의 어머니가 [[카린(나루토)|카린]]이라는 판정[* 후에 밝혀지지만 이때 쓴 탯줄은 스이게츠가 알고있던 것과 달리 카린의 것이 아닌 사쿠라의 것이었다. 사쿠라가 사라다를 낳을 때 카린이 도와준 후 탯줄을 챙긴 것. ~~그걸 카린 니가 왜 갖고있나고..~~]을 받아 큰 충격을 받는다. 그러나 [[우치하 신]]들과의 싸움에서 사스케와 사쿠라의 부부의 연을 몸소 실감하고 자신이 사스케와 사쿠라의 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 후, 사스케와의 관계도 원만하게 회복된다. 그리고 아버지가 마을을 지키기위해 임무를 뛰고 있다는걸 깨닫고 내심 긍지높게 느끼면서도, 한편으로는 아버지의 부재가 불안하지는 않으나 외로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는 사스케 신전인 '사제의 별'에서의 묘사이므로 정사인지는 애매모호하다.] 다행히 위 사건을 계기로 많은 깨달음을 얻은 사스케가 임무가 없거나 한가하면 최대한 마을에 머물면서 아빠노릇을 하려고 노력중이기 때문에 사라다도 이를 눈치채고 언제까지 있을 수 있냐고 물으며 최대한 아빠랑 같이 있고 싶어 한다. 그 과정에서 호카게를 목표로 열심히 해보라는 격려도 받고 수리검&표창술, 호화구의 술, 치도리, 사륜안 쓰는 법 등을 배우며 스승으로 모시고 있기도 하다. 집에선 사스케가 워낙 말수가 없다보니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은 아니지만 엄마와의 관계처럼 훈훈하게 지내는 중. * [[하루노 사쿠라]] '''어머니.''' 사스케가 없는 동안 사라다를 홀로 키웠다. 사라다에게 간접적으로 이마치기 애정표현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모녀 관계는 정말 좋았지만 [[집에 없는 부모|사스케가 집에 돌아오지 않아]] 사라다는 둘이 진짜 결혼한 게 맞는지를 의심한다.[* 사실 이무렵 사쿠라는 남편인 사스케가 안경을 썼는지 안썼는지조차 기억을 못하긴 했다.] 그러나 우치하 신과의 격전이 끝난 후 두 사람의 부부로서의 이어짐을 실감한 사라다는 더 이상 사쿠라를 의심하지 않고, 훈훈한 모녀관계도 다시 회복된다. 사쿠라가 친엄마가 아니라고 오해했을 때도 엄마를 떠올리고 울면서 그녀를 구하고 싶다고 말한 바 있으며, 나루토의 조언으로 중요한 것은 자신과 엄마의 마음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우치하 신의 양산형에게 앵화충을 내다 꽂을 때 "엄마는 내가 지킨다" 는 속마음을 내비쳤다. 소설판 4권에서 엄마가 자신과 나뭇잎을 지키기 위해 죽는 꿈을 꾸고선 자신의 소중한 걸 지키기 위해선 살인도 해야 한다고 생각할 정도다. * [[우즈마키 보루토]] 같은반 동료이며 라이벌이자 소꿉친구. 그러나 애니메이션 보루토에서는 단지 부모들끼리 친했을 뿐이라며, 보루토와 엮이는 걸 싫어한다.-- 처음엔 다 그런 법이야-- 소설판 보루토 더 무비에서 보루토의 감정 묘사에 의하면 '사라다 앞에서 항상 멋지게 보이고 싶다'라는 그 감정을 "경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비주얼이나 성격면에서는 나루토-사스케를 연상시키고, 작가도 어느 정도 의도한 듯. 극중 묘사를 보면 티격태격하긴 해도 서로 은근히 잘챙겨주는 등 나루토와 사스케의 관계에 비하면 매우 밝고 우호적인 편이다. 항상 보루토와는 말싸움을 자주 한다고 한다. 보루토 TVA에서는 아직 별다른 감정을 가지지 못한 시기인지라 딱 아카데미 친구 정도의 감정. 사라다의 보루토에 대한 취급은 전작 1부 초·중반부 [[우치하 사쿠라|자신의 어머니]]의 [[우즈마키 나루토|보루토 아버지]] 취급과 비슷하다.[* 늘 보루토를 바보라고 불렀다.] 물론 1부 초반의 사쿠라나 페인전 이전까지의 나뭇잎 마을 만큼 천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의 문제아 친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말싸움을 해서 사이가 좋아보이지 않지만 보루토를 신경쓰고 위험에 처할 때마다 항상 따라가 도와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극장판과 외전에서는 내색은 안해도 보루토를 항상 걱정하고 있으며, 같은반이 되고나서는 점점 듬직해져가는 보루토의 모습에서 7대의 모습을 투영하는 등, 보루토의 인식이 바뀌어가고있는듯하다. 극장판과 66화에서는 아예 보루토가 사라다의 서포트역을 자처하고 사라다를 잘지켜줄거라며 약속한다. 보루토의 닌도가 호카게를 지탱해주는 닌자가 되는것인만큼 사라다가 호카게가 된다면 츠나데와 지라이야, 나루토와 사스케처럼 훌륭한 조력자가 되어 도와주는 일을 할것으로 추측된다. * [[미츠키(나루토)|미츠키]] 같은 반의 동료. 묘하게도 미츠키가 아버지의 스승이자 적이라는 묘한 사이이던 [[오로치마루(나루토)|오로치마루]]의 아들이다. 사라다의 꿈이 호카게인데 미츠키는 분위기 파악을 잘 못해서 항상 사라다의 앞에서 보루토에게 "네가 다음 호카게겠네?"라고 말하고 사라다는 거기에 딴죽을 건다.[* 다만 이건 극장판과 코믹스 한정이고 애니에선 꽤나 7반으로 임무를 뛰며 사라다가 호카게로 전진하고 있는 걸 알고있기에 호카게 세습드립은 삭제되었다.] 사라다가 보루토와 티격태격할때마다 사이가 좋다며 미소짓고 서로간의 조언[* 사라다가 보루토빠인 미츠키를 보고 자신이 직접 생각해서 행동하는건 어때?라고 츳코미를 건적이 있으며, 문제의 38화에서 미츠키가 사륜안에 너무 의지한다며 지적한바가 있다.]도 나누는 우호적인 동료관계이다. 미츠키가 오로치마루의 인조인간이란걸 밝혀내자 사라다는 약간 복잡함을 느꼈는지 두통을 겪는다. 애니판에선 사라다가 미츠키의 진실을 알자 미츠키에대하여 모르는게 많았다며 보루토와 함께 반성한다. * [[사루토비 코노하마루]] 7반 담임 상급닌자. 사라다가 환영분신을 연습하고 차크라가 떨어져서 쓰러지며 추락하려 할때 구해주고 사륜안의 기능도 설명해준다. 코노하마루에게 있어 사라다는 [[호카게|같은꿈]]을 갖고있는 라이벌인 듯.[* 코노하마루는 사륜안에 대해 설명하면서 사라다가 호카게를 꿈꾼다는걸 알자 우리들은 라이벌이라고 말했다.] * [[우즈마키 나루토]] '''사라다의 목표이자 롤 모델'''. ~~[[http://atenta.tistory.com/883|부모님의]][[https://blog.naver.com/iroironana/221282786364|첫키스 상대]]~~[* 다만 사쿠라는 인공호흡이다.] [[나뭇잎 마을]]의 7대 [[호카게]]. 우즈마키 보루토가 우치하 사스케에게 영향을 받았다면 우치하 사라다는 우즈마키 나루토에게 영향을 받았다고 할수있다. 사라다가 나루토를 만나기 전까지는 닌자가 뭔지 이런의문을 가졌었고 장래희망따위도 없었다. 단지 그냥 우등생이였을 뿐이였다. 평소 나루토가 워낙 바쁜 몸인지라 그닥 접점은 없었던 듯하며, 사라다는 철들때부터 사스케를 만나지못했다. 사스케를 만나고싶었던 사라다는 사스케를 만나러 간다는 나루토를 도시락을 전달해준다는 이유로 따라가게 된다. 나루토가 사스케에 대해 여러가지를 알려주자 "7대 호카게님이랑 같이 있으면 굉장히 안심이 돼" 라는 감정을 느꼈다.[* 아버지가 없어서 느끼지 못했던 부성을 모든 마을 사람을 가족처럼 대하는 나루토에서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코믹스의 카와키 편에서는 나루토가 왜 자신에게 잘해주는지 의문을 갖는 카와키에게 '7대가 아빠였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라고 진심으로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하면서 나루토에게는 마을 사람들 모두가 가족이기 때문에 곁에 있으면 안심되는거라고 한다.] 외전에서 사쿠라에 대한 오해로 흑화할 뻔 했지만, 나루토의 진심 어린 조언[* 정말로 중요한 것은 그사람과 함께했던 추억이라고 설득해준다.]으로 혼란스러운 사라다의 마음을 다잡아주고 함께 사쿠라를 구하러 가게 된다. 이후 나루토의 마을사람들의 전원이 내 가족과 같은 존재다 라는 말을 듣고 사라다도 그 사상에 영향을 받아서 호카게가 되기를 결정하고 꿈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그 증거로 사라다는 보루토에게 "마을사람들 모두에게 도시락을 줄수는 없으니까 나 호카게가 될래"라는 발언을 했다. * [[아키미치 쵸쵸]] 우즈마키 보루토가 시카다이와 절친이라면 이쪽은 아키미치쵸쵸가 사라다의 절친[* 보루토 67화 각본을 맡은 혼다 마사야가 사라다와 쵸쵸는 늘 절친이다라고 밝혔다.]이다. 사실 사라다의 어머니인 사쿠라와 쵸쵸의 어머니인 [[카루이(나루토)|카루이]]는 전작에서 사스케 관련 건 때문에 사이가 안 좋을 가능성이 높은데,[* 다만 지금도 사이가 안 좋은지는 알 수 없다.][* 애니메이션 59화에서는 카루이가 편하게 "고마워 사라다짱~"이라면서 카루이가 딱히 불만을 가진 묘사는 없었다.] 2세대에서 네임드 쿠노이치가 쵸쵸밖에 없기 때문에 사라다는 자동적으로 쵸쵸와 항상 어울려 다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다만 쵸쵸가 워낙 프리한 성격이라 뒷바라지를 해주는 듯하다. 보루토가 동기들과 함께 고스트 사건의 범인을 추적할 때 혼자 없었는데, 소설에서 밝혀지길 쵸쵸의 레포트를 ~~셔틀~~ 대신 정리해주느라 자리에 없었다고 한다. 재밌는 사실은 우치하 일족과 아키미치 일족이 친구사이인 것이 사라다와 쵸쵸가 처음은 아니다. 2대 호카게 시절 한 팀이었던 시무라 단조, 우치하 카가미, 아키미치 토리후가 이미 있었고 그 이후 우치하 일족과 아키미치 일족이 친구가 되는 사례가 나오지 않다가 7대 호카게 시절에 다시 나온 것이다. 즉 이 둘은 카가미와 토리후의 뒤를 이어 우치하와 아키미치의 우정을 보여주게 된 것이다. 어쩌면 카가미와 토리후도 사라다와 쵸쵸 비슷한 사이였을지도?[* 다른점은 카가미와 토리후는 같은반이였으나 사라다와 쵸쵸는 다른반이란 점이다.] * [[카린(나루토)|카린]] 한때, 사스케가 집에 들어오지 않아 사쿠라와 사스케의 관계를 의심했었고, 타이밍이 나쁘게 사라다가 자신과 똑같은 안경을 쓴 카린의 사진을 발견한다. 사라다는 카린이 자기 친모가 아닐까 생각했었던 적도 있었다. 다만 사라다 외전 끝 부분에서 사라다는 사쿠라의 친아이임을 카린 본인이 스이게츠에게 직접 인증하였고 사라다가 카린과 똑같은 안경을 썼던 건 카린이 주는 선물이었다고. * 이외에도 와사비나 스미레, 나미다와 같이 당고를 먹기도 하며 나미다의 부모님이 나미다를 보고 닌자를 하지말라며 와사비와 갈등을 겪었을때도 나름 걱정해주고 와사비와 나미다의 관계를 회복해주기도 하는 등 동기 쿠노이치들과 꽤나 어울리며 다니는 편이다. === 가족관계 및 혈통 === '''[[우즈마키 보루토|주인공]] 바로 다음가는 [[금수저]] 아가씨'''. 다만 아버지와 큰아버지가 모두 천재이면서 탈주 닌자이자 S급 범죄자였다. [[우치하 일족|친가]]는 육도선인 하고로모의 후예이자 나뭇잎 마을의 명문가 중에서도 손꼽히는 최고 명문가이며,[* 현재 과거의 위상이 많이 줄어들었긴 했지만, 어찌보면 [[우즈마키 보루토|주인공]]의 [[휴우가 일족|외가]]보다도 더 거대한 가문이라고 할 수 있다. 휴우가 일족의 [[직계|본거지]]가 대궐같은 집이였다면 우치하 일족은 작중 초반과 과거편에서만 나오지만 아예 특별 자치구역 안에서 살았기 때문에..]사라다 역시 [[우즈마키 보루토|주인공]]처럼 육도선인의 후손이자 오오츠츠키 카구야의 후손이다. 할아버지는 우치하 경무부대의 마지막 대장이자 [[우치하 일족]]의 당주이며, [[제3차 닌자대전]]에서 [[전설의 3닌자]]나 [[나미카제 미나토]]와 맞먹는 공적을 올려 흉안의 후가쿠라 불린 '''[[우치하 후가쿠]].'''[* 나뭇잎 상층부가 우치하 따위가 유명해지는걸 원치 않는다고 정보를 통제해서 묻혔다.] 할머니는 우치하 가문의 안주인이자 상급닌자였던 세계관 공식미인 [[우치하 미코토]]. 아버지는 [[우치하 일족]] 선대 당주의 [[차남]]이자 어린시절 부터 천부적인 소질을 보이며 주변인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던 닌자학교 수석 졸업생이며, 탈주닌자로 전과가 꽤 있고, 세계관 공식 미인인데다가 육도선인의 경지에 다다랐고 [[만화경 사륜안]]과 [[윤회안]]의 소유자이며[* 우치하 일족의 시조인 [[오오츠츠키 인드라]]의 환생이여서 윤회안을 보유할수 있다.] 우치하 일족의 하나남은 최후의 생존자이자 현재는 일족의 당주이며 현 최강의 닌자라고 불리는 [[우즈마키 나루토|7대 호카게]]와 유일하게 맞상대가 가능한[* 극장판에서 미츠키가 사스케는 7대와 맞짱뜰 수 있는 유일한 닌자라고 언급한다. 이 언급의 출처는 미츠키의 뇌피셜(?)이 아니라, 오롱이가 그렇게 말했다고 한다. 나루토도 양과 음의 쿠라마가 합쳐지면서 강해졌지만 사스케도 윤회안을 처음 얻었을 때보다 훨씬 잘 다룰 수 있기 때문에 강해졌다. 그 예로 카구야전에서는 다른 차원으로 날려지자 아무것도 하지 못한채 구조를 기다렸지만 보루토 시점에서는 카구야의 차원들을 돌아다니며 오오츠츠키 일족에 과한 조사를 하고 있을 정도로 윤회안을 잘 다룰 수 있게 됐다.] '''[[우치하 사스케]]'''. 어머니는 세계관 공식 미인에 전쟁공신 중 하나로, 초대 호카게 [[센쥬 하시라마]]의 친손녀인 [[츠나데(나루토)|츠나데]]의 뒤를 잇는 나뭇잎 마을 최고의 여닌자이자 상급+의료닌자인 '''[[하루노 사쿠라]]'''. 큰 아버지는 [[우치하 일족]] 선대 당주의 [[장남]]에 일족을 학살한 천재 닌자 '''[[우치하 이타치]]''', 악역이긴 하지만 [[우치하 사스케|아버지]]의 전생이자 나뭇잎마을의 설립자이자 육도선인에 도달한 선조인 '''[[우치하 마다라]]'''. 또다른 특성으론 '''집안에 세계관 공식 미인이 많다.''' 일단 마사시가 대놓고 직접적으로 미인이라고 표현한 18명의 캐릭터들중[* 오오츠츠키 인드라, 츠나데, 코난, 나미카제 미나토, 우즈마키 쿠시나, 유우히 쿠레나이, 하타케 카카시, 우즈키 유가오, 모미지, 스스키, 에미, 우치하 이타치, 오오츠츠키 토네리, 야마나카 이노, 우치하 사스케, 하루노 사쿠라, 야마나카 이노진. 범위를 넓게 잡자면 우치하 마다라랑 우치하 이즈나를 포함한 우치하 일족 다수, 오로치마루, 나와키, 하타케 사쿠모, 하루노 메부키, 하쿠, 사이, 우즈마키 나루토까지 들 수 있다.] 네명[* 조상인 인드라와 아빠인 사스케 그리고 엄마 사쿠라랑 큰 아버지인 이타치]이나 사라다와 혈연관계다. 작품속에서 나루토에 나온 캐릭터들중 독보적일 만큼 외모 칭찬을 제일 많이 받은 아빠 사스케는 학창시절엔 여학생들에게 아이돌수준으로 대접받았을 정도로 인기도 많고 멋있다, 잘생겼다, 미남이라는 수준을 넘어 예쁘장한 얼굴이라던가 심지어는 아름답다고 표현될 만큼 최고 미인이라고 묘사된 캐릭터에 마사시가 섹시하다고 했다. 사스케의 뒤를 이어 두번째로 외모칭찬을 많이 받은 엄마 사쿠라는 아빠인 사스케처럼 아름답다고 표현되지 않나[* 다만 사스케는 작품안에서, 사쿠라는 원작가의 발언 안에서.], 주변인들에게 너무나도 예쁘다던가 귀여운 여자애, 예쁜 얼굴, 미인이라는 평을 받은 건 물론, 리에게서는 천사, 미소녀라는 찬양을 받을 정도에 점점 예뻐진다는 언급도 있으며 인기가 많아 여성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본편에서 남성 캐릭터 두명이 한눈에 반해 고백했다는 묘사가 있고, 마사시가 직접 제일 미형이라고 하기도 했다. 큰 아버지인 이타치는 등장인물들에게 작품속에서 제일 잘생겼다고 나온 사스케와 많이 닮았단 말을 듣기도 했고 소설판에선 아카데미땐 동생처럼 학교의 아이돌이었다고 묘사되었으며 마사시가 직접 잘생겼다고 말한 적이 있었다. 조상인 인드라는 분량이 거의 없어 작품속에선 그닥 외모 언급이 없으나 설정집에서 수려하고 고고하다고 나왔다. 게다가 직접적으로 미인이라고 나오지 않았지만 외할머니인 메부키는 사쿠라와 닮은 외모란 설정에 친가가 미인이 많은 걸로 유명하다보니 할머니인 미코토는 이타치 그리고 사스케와 상당히 닮았으며 사라다의 조상중 마다라는 메이에게서 외모칭찬을 받은데다가 이즈나는 하시라마를 통해 사스케랑 닮았다고 나온 만큼 이쪽들도 미인일 게 틀림없다. 게다가 친척인 이즈미는 앞서 서술된 인물들과는 전혀 다르게 마사시가 아닌 어시가 만든 캐릭터라서인지 마사시가 미인이라고 한 적 없지만 소설판에서 매력적인 외모라고 묘사되었다. 물론 사라다 본인도 설정상 사스케 여자버전이라 할 만큼 사스케와 외모는 판박이라 외모는 미소녀라서 나루토에게서 사스케와 닮았단 소리를 듣기도 했고 소설판에서 미인이라 남자아이들에게 인기가 많다고 묘사되었다.[* 다만 만화 속 최고 미인들이라 첫눈에 반했다고 고백을 받는다던가 아이돌대접 받을 정도로 인기가 많고 원작 작가가 대놓고 아름답다고 표현할 만큼 외모칭찬이 많아 외모가 지속적으로 강조된 부모하고는 다르게 사라다는 외모 칭찬이 없는데다가 외모가 강조되지 않고 인기가 많다고 나오지도 않는다. 애초에 정사에 나온 묘사에서 미소녀라는 점이 부각된 건 나비모드의 쵸쵸와 스미레였다. 그래서인지 최고 미인들의 자식이 왜 미모 찬양을 한번도 받지 않냐고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 학연 === * 아버지와 어머니가 [[나미카제 미나토|4대 호카게]]의 제자인 [[하타케 카카시|6대 호카게]]의 제자[* 그 위로 가면 한도 끝도 없어진다. [[센쥬 하시라마|1대]], [[센쥬 토비라마|2대]] > [[사루토비 히루젠|3대]] > [[지라이야(나루토)|지라이야]] > [[나미카제 미나토|4대]] 순이므로] * 아버지는 3대 호카게인 [[사루토비 히루젠]]의 제자이자 전설의 삼닌자 중 한 명이였던 [[오로치마루(나루토)|오로치마루]][* 역시 위의 경우처럼 초대&2대 > 3대의 순서.]의 제자 * 어머니도 초대 호카게의 손녀인 동시에 전설의 삼닌자 중 한 명이자 5대 호카게였던 [[츠나데(나루토)|츠나데]][* 오로치마루와 마찬가지로 3대호카게의 제자. 역시 마찬가지로 1대&2대 > 3대 순으로 사제계보가 이어진다.]의 제자. * 본인은 3대 호카게의 손자이자 [[우즈마키 나루토|7대 호카게]]의 제자[* 사실 나루토가 코노하마루에게 직접적인 제자라고 하기에는 애매하고 코노하마루의 롤모델이라고 하는게 더 어울리겠지만 나선환을 코노하마루에게 가르쳐 준 사람이 나루토인 것을 생각할때 제자라고 해도 상관없다. 무엇보다도 질풍전에서 본인 스스로가 나루토의 제자라고 했으니...]인 [[사루토비 코노하마루]]의 제자 * ~~같은 반 동기 [[우즈마키 보루토|보루토]]와 [[미츠키(나루토)|미츠키]]는 각각 아버지, 어머니의 동기였던 7대 호카게의 아들이자 아버지의 제자, 아버지의 스승의 아들~~ 이렇듯 금수저답게 학연도 매우 뛰어났었지만 보루토가 코노하마루로 인해 나선환 계보를 이어가는 동시에 사스케의 제자로 들어가게 되면서 애매한 입장이 되었다가 카와키의 등장으로 나루토가 그의 스승이 되면서 은근히 붕 떠버린 상황이 되어버렸다. == 재능 == >우치하 사라다. '''수리검술은 모든 학생중 톱''', 이것도 '''우치하의 힘인가!''' > >사스케와 사쿠라의 딸답게 '''모든면에서 우수하다'''. >---- >[[아부라메 시노]] >사라다는 그 '''우치하 일족'''이라서 '''졸업시험정도는 껌'''이겠지. >---- >[[아키미치 쵸쵸]] 명색이 우치하 일족인지 절친 [[아키미치 쵸쵸|쵸쵸]]는 "사라다 넌 우치하 일족이니까 시험(닌자 아카데미 졸업시험) 정도는 껌이겠지~!"라고 말하지만, 정작 사라다는 다들 그렇게 말하지만 그런 건 난 모르겠다며, 왜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떠받들어지는지 이해를 하지 못한다. 그런데도 아카데미시절 우즈마키 보루토보다 신체능력이 살짝 낮은 것으로 나온다.[* 패러미터 수치는 오히려 보루토보다 높다.] 주인공인 보루토만큼 부각되지는 않으나, 우치하 일족인 만큼 동기들에 비해 상당히 강하며 체술, 환술, 인술을 고루고루 사용하는 밸런스 캐릭터이다. 패러미터가 꽤 후덜덜하다. 거의 보루토 상위호환급. 어찌된 일인지 차크라부자 우즈마키 일족의 피를 이은 보루토보다 차크라량이 많다. 엄마한테 있다가 소리 소문없이 체술가가 되면서 끝난 환술타입 설정이 사라다에게 붙었는지 환술 능력치가 4/5. 작중 사륜안을 이용한 환술이 크게 나온건 이 때문으로 보인다.[* 단구옥만 있으면서도 코노하마루에게까지 환술을 걸어 성공했다.] 공부머리 역시 보루토가 더 부각되나 지식, 지능면은 사라다가 우위라 그런지 지능적인 면모는 사라다가 좀 더 많이 묘사된다. 수학여행 당시 물에 일정이상의 전기를 흘리면 전기분해가 일어남을 이용하여 분탄을 쓰러트리거나, 중급닌자 시험에서 신키와 붙을때 신키에게 전기장이 통한다는 걸 알아낸다던가 등 시카마루급은 아니나 어느정도 두뇌를 사용하여 전투하는 두뇌형캐릭터이다. 우즈마키 보루토가 천재적인 인술 개발과 체술로 싸운다면 사라다는 지식을 이용하여 적의 돌파구를 꽤뚫는 전투를 하는 편이다. 사라다는 그녀를 제외한 유일한 우치하 일족의 생존자이자 아버지인 사스케의 부재로 사륜안의 제대로 된 사용법도 터득하지 못하고 자기 스스로 코노하마루에게 사륜안의 특징을 배우기도 하며 우치하 일족의 역사를 뒤져보며 공부하고 수련했다. 하지만 사라다는 겨우 일구옥으로 환술을 파악하기도 했고 환술을 걸기도 했으며 분탄은 수준급 뇌둔 술법을 무려 3가지나 카피했다! 일구옥만으로 삼구옥 사륜안 소유자만큼의 사륜안 활용 능력을 발휘했다.[* 1부 카카시, 사스케 이상의 사륜안 활용도이다.] 덧붙이자면, 사스케는 일구옥을 개안했을때 그 사실조차 몰랐다. 그만큼 일구옥은 작품 내에서도 기능적인 면에서도 존재감이 희박하다. 애니 112화에서 중급닌자가 될'''뻔'''했다. 나루토는 사라다로 결정했는데 이후 사스케가 찾아와 여러가지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생각이 바뀌어 결국 시카마루가 제외시켰던 시카다이를 중급닌자로 결정시켰다.[* 구름마을 사건에서 특유의 두뇌와 통찰력, 결정적으로 '''동료에 대한 믿음'''으로 결정되었다.] 171화에선 사륜안으로 어머니 [[하루노 사쿠라]]의 [[앵화충]]과 이 때 차크라 컨트롤을 어느 정도 흉내내서 이전에 의료닌술 쪽 차크라 컨트롤이 잘 안 된다는것과 아직 자기 혼자 쓸 땐 앵화충 파괴력이 부족하다는걸 커버하는 모습도 보여줬다. 그래도 아직까진 힘에 부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쌍구옥의 사륜안을 개안한다. == 사용 술법 == 보루토를 제외한 다른 2세 캐릭터들처럼 전반적인 기술은 부모의 주특기를 물려받았다. 사스케의 주력이었던 사륜안과 치도리 및 화둔술과 수리검술, 사쿠라의 장선술이나 앵화충 등. 특히 기술 터득에 관해서는 주인공인 [[우즈마키 보루토]]보다 더 스토리 버프를 많이 받는다. [[우치하 일족]]의 소수만이 개안한다는 사륜안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정도로 개안했고[* 사스케의 부재에 관해 크게 슬퍼했을 수도 있으나 전란의 시대를 살아 사라다보다 훨씬 더 가혹한 환경에서 살았을 과거 우치하 일족 중에서도 소수만 개안했다던 사륜안을 상대적으로 가벼운 마음의 상처로 개안한 것이다.], 차크라의 섬세한 컨트롤을 필요로 한다는 앵화충은 사륜안 터득시 덤으로 딸려온 기술로 묘사된다. 더욱 문제되는 점은 배웠다고 묘사되지도 않았던 기술들을 터득한다는 점이다. 이전까지 사라다의 사륜안은 일구옥으로 그려졌다가 보로전에서 뜬금없이 이구옥을 스킵한 채 삼구옥이 되었고, 분명 작중 시간을 낼 수 없었던 사스케에게 어느샌가 치도리를 배웠다는 설정으로 치도리를 시전한다. 소설에서도 A랭크 의료인술인 장선술을 사용했다. 사쿠라는 장선술과 앵화충을 2년 동안 수련해서 터득했었다.~~[[에도가와 코난|"하와이에서 아버지한테 배웠어"]]~~ 요약하자면 사라다에 한해서만 이미 배웠다는 설정으로 너무 신기술이 추가된다는 것. 사실 이는 일상 파트를 너무 보루토 위주로만 그려내다보니 사라다의 일상에 관한 묘사(+ 신기술 수련에 대한 묘사)를 하지 않은 이케모토와 우쿄의 잘못도 있다. '''게임 오리지널은 ★ 표시''' === 분신계(分身系) === * [[환영분신술]] 보루토 애니메이션 24화에서 사용. 사륜안의 카피 능력으로 보루토의 환영분신술을 카피해 사용했다. 다만 본인 말로는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카피한 상태에서 별다른 숙련도 훈련 없이 바로 썼기 때문인듯. 사륜안의 카피능력은 인술을 배껴 술법을 활용하게 만들어주지만 상대가 술법 단련을 하면서 쌓아둔 숙련도나 강함까지 배껴준다는 말은 없으니, 원래 사용자에 비하여 완성도가 떨어지는게 말이 안 되는 것은 아니다.] === 의료인술(医療忍術) === * '''장선술''' (掌仙術) A 랭크의 의료인술. 술자가 손을 통해 자신의 차크라를 상대방에게 전해 자연 치유 과정을 가속화하는 기술이다.[* 다만 카부토는 꼬리 네개의 나루토에게 당한 사쿠라를 손을 대지 않고 원격으로 치료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의료 장비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장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의료인술이기도 하다. 많은 양의 차크라 컨트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숙련된 의료 닌자들이 주로 사용한다. 과도한 양의 차크라를 흘려보내면 정상적인 순환을 과부하시켜 환자를 혼수상태에 빠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루토 :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 소설판 4권 <안개마을 수학여행 편>에서 사용하는 것이 [[https://twitter.com/SasuSakuID/status/998178460345319425|확인되었다]]. 하지만 의료인술에 천부적으로 재능이 뛰어났던 엄마하고는 달리 본인은 의료인술에 재능이 없다고 한다.[* 아버지 쪽이 의료닌자가 아닌걸로 봐서 그쪽 유전일수도 있다.] 애니 152화를 보면 장선술로 회복시켜야할 물고기를 갖다가 뭘 했는지 차크라 투입까진 했는데 '''물고기가 타고 있었다.''' --과부하도 아니고 대체 왜 타는거지-- 또한 의료부문 책임자로서 항상 바쁜 사쿠라였기에[* 애니 152화 언급.] 사라다는 사쿠라에게서 한 번도 의료인술을 제대로 배워본 적이 없다고. 현재로서는 쓸 수는 있는데 문자 그대로 '''쓸 수만 있지''' 제대로 쓰는건 아니라 봐야할듯하다.[* 다만 시즈네가 사쿠라도 대단히 노력했으며 꾸준한 수련을 통해 현재의 수준까지 도달했다고 말하는 것과 의료인술을 제대로 배워본 적 없다는 것을 모두 고려해보면 사쿠라 수준으로 완전 능통하게는 아니어도 --장선술 하랬더니 물고기 태워먹는-- 현재보단 좀 더 수준이 나아질 가능성도 있긴 하다.] === 동술(瞳術) === * '''[[사륜안]]''' (写輪眼) [[우치하 일족]]에게 전해져 내려오는 동술. 아주 어린 시절 다른 가정과 달리 아버지가 부재한 환경 속에서 느낀 상실감과 그로 인한 마음의 상처로 자신도 모르게 개안했다. 개안 당시에는 일구옥, TVA 175화 기준 이구옥, 연재분 40화 이후부터는 삼구옥이다. 하지만, 사쿠라가 이 사실을 알려 주지 않고 비밀로 해 사스케를 만나기 전 까지 자신에게 사륜안이 있는지도 몰랐다. 이후 에피소드에서 사스케와 만나고 이런저런 과정을 거치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가족을 지키기 위해 사륜안을 발동해 앵화충으로 우치하 신의 클론을 무찌른다. 이후 안개마을 시점부터 자유자재로 사용하여 사륜안의 기본능력인 카피, 환술, 통찰을 잘 활용하고 극장판 시점에서는 자기 뜻대로 온오프 하면서 환술을 꿰뚫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과연 사라다가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할 수 있을 지도 상당한 관심사이다.[* 다만 문제는 만화경을 개안할 정도의 큰 상처를 입으려면 본인의 가장 친한 친구가 죽거나 혹은 친족이 죽거나 그런 정도는 돼야 한다. 만화경을 개안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는 소리이다.] 2018년 6월 4일에 발매된 소설인 '사스케 신전 ~사제의 별~'에서 언급되길, 모모시키전 이후 [[http://www.chuing.net/zboard/zboard.php?id=mna1&page=1&page_num=26&select_arrange=headnum&desc=asc&sn=off&ss=on&sc=on&su=&keyword=&no=100145&category=&best=|삼구옥을 개안했다고 한다]]. 다만 아직 연재분이나 애니에서 삼구옥을 개안한 묘사는 나오지 않았으며 오로지 소설 오리지널. 물론 이 소설에서 사스케가 사라다에게 화둔을 알려줬다는 내용이 나오고 그 후 애니에서도 똑같은 내용이 나오니 후에 공식 설정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 모모시키 전투 당시에 삼구옥을 개안하게 맞다면 삼구옥을 개안할 정도로 강한 상실감을 느꼈다는건데 도대체 그 계기가 뭔지도 의문. 설마하니 나루토의 납치 때문은 아닐테고.[* 사라다는 친부의 부재로 나루토에게서 부친의 따뜻함을 대신 느꼈다는 설정이 있다.] 애니메이션 미츠키 탈환편이 방영 중일 때 트위터에선 사라다가 2구옥을 개안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어났다. 이 논란이 일어난 이유는 사스케가 자부자전 당시 오른쪽 눈에만 2구옥을 개안한 예시가 있었고 전투시 사라다의 오른쪽 눈에도 반점이 두개처럼 보이는 작붕이 일어났기 때문이였다. 그러나 바로 다음 컷에 다시 반점이 한 개로 줄어들어 여전히 1구옥이라는 결론이 났었다. 애니메이션 160화 예고편에서도 사라다의 왼쪽 사륜안에 명확하게, 오른쪽 사륜안에 역시 흐릿한 두 개의 반점이 그려져 있었지만 본편에서는 1구옥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 역시 작화 오류로 추정된다.[* 또한 애니에서 사라다가 치도리를 가르쳐 달라면서 사스케에게 찾아가는데 그런데 사스케는 치도리를 사용하려면 최소 쌍구옥 이상의 사륜안이 필요하다면서 안된다고 한다. 그렇다는 건 둘 중 하나일텐데 사라다가 쌍구옥을 개안했는데 모르거나 아니면 쌍구옥을 개안하지 못했다는 소리이다.] 이후 175화에서 이구옥을 개안하였다. 원작 연재분 40화에서 뜬금없이 사라다의 사륜안이 3구옥으로 그려졌다.[[http://www.chuing.net/zboard/zboard.php?id=mna1&page=1&m_id=&divpage=23&best=&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18962|##]] 팬덤에서는 이케모토가 실수로 그린거다 VS 소설을 정사로 채용했을 것이다로 나뉘는 편이다. 하지만 보루토는 어디까지나 코믹스가 원작이며, 주역 캐릭터의 성장 같은 중요 내용은 코믹스로 다뤄져야하는데, 만약 후자가 맞다면 이는 원작만 믿고 보는 팬들을 뒷통수 친 것에 가깝다. 결국 41화에서도 삼구옥으로 그려지면서 실수로 그려진 게 아님을 증명했다.[* 다만 애초에 원작인 나루토부터 만화경의 개안 시기나 사륜안의 개안 시기가 오락하락 하는 편인데다가 월간연재의 특성상 모든 장면을 다 그릴수는 없는지라 어쩔 수 없는 부분이나, 팬들 사이에선 사스케가 치도리와 화둔을 가르쳐준 장면은 스킵할 수 있어도 이 부분에 있어선 어느 정도 묘사를 했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많다.] 이후 애니메이션 "카라 시동편"부터는 삼구옥까지 가는 성장을 그리며 사스케에 의한 사라다의 이구옥 개안 훈련에 돌입한다. 다만 애니 170화에서 사라다는 아직 이구옥을 개안시킬 역량이 안되기 때문에 일구옥부터 천천히 다루는 방향으로 훈련할꺼라고. 171화에서는 일구옥을 다루는데 살짝 능숙해져서 어머니인 사쿠라의 차크라 컨트롤이나 움직임을 일시적으로 카피했다. 다만 아직까진 기본 역량이 너무 높은 사쿠라이기에 어머니의 움직임을 완전히 카피하는 건 불가능했다.[* 175화에서 단독으로 앵화충을 쓸 땐 카피할만한 대상이 없어서 그런지 앵화충의 위력이 사쿠라를 카피했을 때보다도 줄어들었다.] 사라다의 사륜안 성장 과정에 대한 이야기는 애니메이션을 통해 다룰 생각인듯. 한편 사쿠라는 사륜안의 각성 조건(사랑하는 사람을 잃음)을 사라다가 충족할까 내심 사라다의 성장을 기뻐하면서도 어딘가 모르게 두려워하고 있다. 이후 175화에서 디파와의 결전 도중 각오를 다지며[* 보루토반 전원이 디파와 결사적으로 싸웠지만 큰 대미지를 주지 못하고 결국 밀리는 상황이어서 위기였다. 그리고 이 와중에 보루토를 향해 디파의 공격이 날아오자 이를 몸빵한 후 이구옥을 개안했다.][* 사스케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이구옥을 개안했는데 하쿠와의 전투에서 나루토가 위기에 처해서 지키기 위해 싸우는 도중 불완전하지만 이구옥이 나온 것을 알 수 있다.] 비로소 이구옥을 개안했다. * '''환술 사륜안 (幻術・写輪眼)''' 사륜안의 기본 기능(카피, 통찰, 환술) 3가지 중 하나. 상대에게 강력한 환술을 걸거나, 상대의 환술을 해제할 수도 있다.[* 사륜안으로 환술을 해제하는 모습은 보루토 극장판에서 깃발 뺏기 시험 때 그려진다. TVA 89화에서는 칼에 비친 사륜안으로 자신에게 환술을 걸어 차크라를 흩트려 놓는 모습 역시 등장한다.] === 체술(體術) === * '''[[앵화충]]''' (桜花衝) 사륜안이 아버지 사스케에게 물려받은 것이라면, 앵화충은 어머니 사쿠라에게 물려받은 기술이다. 709화에서 첫 시전하며 신의 소환수로 추정되는 작은 미수의 눈을 파괴하고, 신 군단의 한가운데에서 사용해 적들을 혼란에 빠트렸다. 공개된 나루티밋 스톰 게임판 오의에서는 뇌둔과 앵화충을 함께 사용한다. 애니판에서 이 기술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고 있는데, '''싸움의 방식이 원펀맨을 대놓고 베낀다'''는 팬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나루토 시절 화려한 인술과 뒤통수치는 술법의 향연보다는 단순히 힘자랑식의 원펀치 싸움을 보여주니 어디서 많이 본것 같다는 팬들의 이야기가 요즘 많은 편이다. 그러나 이걸 비판하기엔 츠나데가 작중에서 처음 시전했을때부터 사쿠라가 주 메인체술로 사용할때, 그리고 사라다로 이어진 것이므로 나루토때도 꽤나 사용된 체술이라 보루토 애니판만 뭐라 비판할수는 없는것이다.[* 다만 사라다가 사스케의 딸이자 우치하 일족인 만큼 사스케가 나루토 초반에 보여줬던 와이어 스킬이나 화둔스킬을 기대했던 독자들에게 앵화충만 연출해대는 것에 다소 실망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최근 애니판 171화에서 어머니 사쿠라에게 직접 앵화충을 수련받는데, 처음엔 한참 밀리다가 사쿠라와 싸워도 심하게 밀리지 않을 정도로 더 발전했다. --츠나데3--[* 실체로 지라이야가 사쿠라의 괴력을 보고 츠나데2를 키웠놨다고 했다.] * '''[[조풍차 세개의 칼날]]''' 게임 나루티밋 스톰 4에서 사용. 콤보기에 끼워져있다. 만화 [[보루토]]의 공식 프로필에 끼워져있으므로, 더 이상 게임 오리지널이 아닌 공식 설정이다. 애니메이션 보루토에서도 카게마사를 상대로 사용했다. * '''시대를 넘어선 질풍수리검''' ★ 게임 나루토 트라이브즈에서 사용. 아버지인 우치하 사스케와 함께 풍마수리검을 날려 거대한 폭풍을 일으킨다. 현재까지 나온 보루토의 모든 게임을 통틀어 처음 나온 아버지와의 협동기다. === 성질변화(性質變化) === ==== 뇌둔(雷遁) ==== * '''[[치도리(나루토)|치도리]] (千鳥)''' 보루토 연재분 42화에서 사용. 독백을 통해 아버지인 우치하 사스케에게 전수받았음이 드러나며, 아직 연습중의 기술로 완전히 완성시키진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만화판이라 컷을 생략했는지 몰라도 후반부의 사스케처럼 인을 생략하고 사용했다. * '''뇌섬 (雷閃)''' 게임 나루티밋 스톰 4에서만 사용. 뇌둔을 활용한 풍마 수리검을 던져 상대를 경직시킨다. 만화 [[보루토]]의 프로필의 공식 설정에 이 기술이 설정되어 있다. 즉, 더 이상 게임 오리지널 술법이 아닌 사라다의 공식 기술 중 하나다. * '''뇌구 (雷球)''' 보루토 애니메이션 30화에서 [[쿠로스키 분탄]]의 기술을 카피해서 사용. 공중에 여러 개의 번개 공을 띄워 상대를 공격한다. 애니메이션 60화에서 아라야를 상대로 한 번 더 시전하며, 전황을 역전하였다. 애니메이션 98화에서는 여러마리의 새들의 공격에 대항해 사용했다. * '''천둥의 연회 (雷の宴)''' 보루토 애니메이션 30화에서 [[쿠로스키 분탄]]의 기술을 카피해서 사용. 몸에서 번개를 방출하는 기술이다. * '''뇌격의 갑옷 (雷撃の鎧)''' 보루토 애니메이션 30화에서 [[쿠로스키 분탄]]의 기술을 카피해서 사용. 몸에 번개의 갑옷을 두르는 기술로, 뇌둔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한다. 원래는 뇌도 키바나 피뢰침 등으로 자신에게 번개를 직접 쏘아야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사라다는 그런 과정을 생략하고 그냥 사용했다.[* 연출상 설붕인 듯 하지만 약간 보완해보자면 전투중 쿠로스키 분탄이 뇌격의 갑옷을 두른 상태로 공격 즉, 뇌둔을 맞은 상태에서 기술을 발동했다고 설명 정도는 해볼 수 있다.] ~~아버지를 뛰어넘은 뇌둔 천재?~~ ==== 화둔(火遁) ==== * '''봉선화의 술''' 원작 코믹스 41화, 게임 나루티밋 스톰 4에서 사용. 게임에서는 오의 시전시에만 사용한다. 작은 불덩어리를 여러번 쏘는 술법. 애니에서는 174화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호화구의 술]]''' (豪火球の術) C랭크 술법. 공격계 근거리형 화둔 인술로 입에서 불의 공을 내뿜는 술법. 자세한 내용은 [[호화구의 술|문서 참조]]. 사라다의 경우, 게임 나루티밋 스톰 4에서 오의 시전시에 사용하는 게임판만의 기술이었으나, 연재분 19화에서 사용함으로써 공식 설정에 편입되었다. 애초에 우치하 가문의 상징이다시피 한 술법이니 쓸 가능성이 아주 높았다. 그렇지만 남은 우치하인 사스케가 여행중이었기 때문에 여태 못배웠던 걸로 추정된다. 19화 시점에서는 사스케가 보루토의 인을 조사하기 위해 여행을 그만두고 마을에 남아있으니 그때 배운 것으로 추정된다. 애니 60화에서 사라다가 아빠에게 배웠다고 말하며 사스케에게 배운 것이 확정되었다. 다만 아직 미완성 기술이라 정면으로 달려드는 적들에게 밖에 못쓴다고 한다. 66화에서 호화구를 완벽하게 갈고닦고 싶다며 아빠를 끌어들이므로 추후 완벽하게 시전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87화에서 카코를 상대로 완벽하게 시전했다. 원작에서도 완벽한 상태로 사용. * '''시대를 초월한 화염''' ★ 게임 나루토 트라이브즈에서 사용. 아버지 사스케가 아닌 2부 시점 16세 사스케와의 협동기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사람이 호흡을 맞춰 거대한 호화구술을 날려 적을 불태우는 기술. 여담으로 필살기에서 서로 대화가 오가는데, 2부 사스케가 자신을 방해하면 지울 뿐이라고 말하자 사라다는 황당해하며 "지금은 호흡을 맞출 때잖아?"라고 말한다. == 외모 및 캐릭터 디자인 == > 안경을 씌워서 지적인 이미지와 귀여움을 강조했다. > 사스케의 여자아이 버전이지만 사스케만 닮으면 무섭기 때문에 사쿠라의 면도 있다. > ---- > 나루토 설정집 『뇌의 서』 中 || [[파일:attachment/우치하 사라다/nomegane.jpg|width=300]] || || 700화 中[* 사라다의 안경을 없애고 눈을 삼구옥으로 편집한 그림. ~~전혀 위화감이 없다~~] || [[파일:c22d31aeab9ebd26d97e576a1e8bf95a.jpg]] [[파일:faea010c917d85e154e62dd61df52790.jpg]] [* 우치하 사라다 애니메이션 설정화] [[파일:IMG_20180530_191709.jpg]] [* 키시모토 마사시가 그린 사라다 설정화] [[파일:6B27019C-E10F-4D40-8775-01FD3F059E94.jpg]] [* 왼쪽은 닌자 아카데미에 재학중인 사라다와, 오른쪽은 팀 [[매(나루토)|<뱀>]]을 결성하던 열여섯살 시절의 [[우치하 사스케|아버지]].] * 머리카락 색과 눈동자 색이 [[아버지]]인 [[우치하 사스케]]를 닮아 흑발 흑안이다. 부모님과 달리 [[안경]]을 썼고 어른스럽고 차분해 보이는 인상. 안경은 사라다가 태어날 당시 카린이 선물한 물건이라고 한다. * 어머니와 달리 서클렛을 이마에 두른다.[* 사쿠라가 비정상적으로 두른거고 원래 이마에 두르는게 맞긴 하다. (서클렛의 원판에서의 명칭은 額当て(히타이아테)로, 직역하면 '이마보호대'이다.) 다만 스미레(정수리), 시카마루/시카다이(팔), 테마리/히나타/나미다(목)처럼 다른데다 두르는 케이스도 여럿 있긴 하다.] * 이미지 색은 빨강인듯.[* 정확히는 [[크림슨]]] * 우치하 일족 특유의 폴라넥 티대신 사쿠라처럼 지퍼달린 [[탱크탑]]을 입는다. * 키시모토의 캐릭터 제작 비화를 보면 사라다는 대놓고 '''사스케와 사쿠라의 요소를 섞어놓은 캐릭터'''라고 한다.[* 더 정확히는 작가가 사라다는 사스케의 여자버전이지만 사스케만 닮으면 무서워서(...) 사쿠라의 요소도 추가한 캐릭터라고 밝혔다.] 애초에 카린과의 공통점은 안경 하나밖에 없고. 나중에 나루토는 사라다를 보면서 외모는 사스케, 성격은 사쿠라 닮았다고 한다.[* 사스케는 겉쌍, 사쿠라는 인-아웃라인 겉쌍인데, 원작 작화에서 사라다는 겉쌍으로 그려지지만 애니 작화에선 눈매가 사쿠라와 비슷하게 그려진다. 근데 다 그렇게 그려지는 것도 아닌게 사라다는 아웃과 인아웃을 넘나든다.키시모토의 원작작화나 애니 작화나 모두 정사에 속하므로 그냥 '사라다는 겉쌍이다'라고 받아들이면 될 것 같다. ] 아닌 게 아니라 원작 작화를 보면 정말 자주 사스케의 외모가 드러난다.[* 다만 작화가 더 부드러운 애니판의 경우 인상이 좀 더 귀엽고 순한 사쿠라의 느낌도 제법 묻어나는 편이다. 특히 웃거나 할 때 가끔 질풍전 후반 과거회상 작화에서 사쿠라가 웃을 때와 묘하게 비슷한 작화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다.] ~~사스케한테 속눈썹 붙인거다~~ 사스케의 소년기 행적을 생각하면 올바르게 자라난 사라다에게서 사스케를 겹쳐 보는 것이 매우 오묘한 느낌을 갖게 한다. 덧붙여 카린과 똑같은 안경은 그냥 친구의 딸에게 주는 선물이었다고. * 키시모토는 사쿠라와 비슷한 옷을 입히되 팔토시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 만화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에서 복장이 변경되었는데 호불호가 많이 갈린다. 키시모토는 닌자다운 편의성을 존중해서 여닌자들에게 치마를 입히지 않거나 입혀도 활동하기 편하게 슬릿(트임)을 추가하거나,[* 슬릿이 한 개이든 양옆으로 두 개이든 간에 슬릿 기믹의 치마를 두른 여캐들이 많다. 그리고 이런 여닌자들도 보통 검은 스패츠를 착용한다.] 안에 검은 속치마나 망사 속옷을 두르고, 굽낮은 신발을 디자인했다. 이케모토 미키오의 사라다는 하의가 짧은 치마로 바뀌고, 굽이 있는 샌들을 신고 있어,기존 나루토 세계관의 쿠노이치 디자인과는 확실히 이질적인 복장이다. 애니판에선 이를고려해서 굽을 살짝 낮추고 치마길이를 늘려주었다. 노란색 머플러나 하얀색 가죽벨트는 귀엽다고 봐줄수있는 선이지만, 짧은치마에 허벅지가 유난히 강조되어서 바지를 입혀주거나 치마길이를 늘려주고 힐의 굽을 낮춰달라는게 독자들의 바람이다.-- 제발좀--[* 치마도 치마지만 높은 굽 신발은 닌자처럼 활동량이 무지 많을 수밖에 없는 직종에겐 그닥, 아니 매우 좋지 않다. 높은 굽의 신발은 일단 발에 꽤 부담을 주는데다가 달리기에도 일반 운동화보다 더 힘들기 때문.] 게다가 밑에 서술된 튜브 탑 문제도 있고 판치라 서비스신도 나온데다가 전체적인 디자인이 성인 여성의 몸을 줄이고 아동의 얼굴을 갖다붙힌 느낌이라 일각에선 이케모토더러 '페도필리아'냐고 욕하기도 한다. * 코믹스 13화에서는 눈을 감고 쿠나이를 던져서 맞히는수련을 하는데 12살 아이에게 [[튜브 탑]]을 입혀서 배꼽을 드러냈다. 나루토 세계관에서 배꼽을 드러내는 여캐였던 이노도 16살 쯤에나 그런 디자인이었던걸 생각해보면...[* 다만 이노는 다른 사람들 앞에서 입고 다니는 평상복인 반면 사라다는 집 안 그것도 자기 방에서 훈련을 할 때 입고 있던 훈련복이라는 차이가 있다.] * 4월부터 방영하는 보루토 애니메이션에서 만큼은 키시모토가 디자인한 옷으로 가길 독자들이 간절히 빌었으나, 결국 보루토에서 입는 옷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15화의 2기 엔딩부터 마사시가 디자인한 닌자복을 애니팀이 입혀줬으며, 20화부터 마사시 디자인으로 가게 되었다! 외전이 끝난 이후로도 계속 저 복장을 입는 걸 보면 계속 마사시의 디자인대로 갈 예정인듯. ~~애니 팀들도 눈뜨고 봐줄 수 없었나보다~~ * 설정상 청순쪽 미소녀로 보인다. 그녀와 외모가 상당히 닮았다는 아빠 사스케는 신전 소설에서 코노하 마루가 예전부터 유명했던 그 청초한 얼굴은 나이가 들어서도 퇴색할 기미가 안 보인다고 평했고 엄마인 사쿠라는 마사시 작가가 직접 대놓고 아름다운 머리칼에 피부가 곱고 체구가 날씬하며 투명감 있는 아름다움이 감도는 선이 가늘고 샤프한 미녀라고 표현했는데 당연히 이들의 외모를 물려받은 사라다 역시 청초계일 수밖에 없다.[* 다만 사쿠라가 일명 청순가련이라 불리는 청초하고 여리여리한 미인인 건 원작가인 마사시가 직접 표현한 거지만 사스케는 어시가 표현한 것으로 원작가인 마사시는 사스케를 청초(청순)이 아니라 섹시로 표현했다.] * 안경 때문인지 팬들 사이에선 외모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했다. 그러나 안경이 가린 것 뿐이지 안경만 없애면 [[우치하 사스케|아버지]]의 소싯적 외모가 보이는 미소녀다.[[http://www.chuing.net/zboard/zboard.php?id=mna1&no=71316|##]] ~~누구세요?~~ 사실 안경이 있고 핑킹가위 보브컷 그대로 가도 작화가 괜찮게 뽑힐 때나 굿즈, 오프닝 등에선 잘만 예쁘게 나온다. 그리고 외모 평판이 부정적인 이유는 워낙 부계인 우치하가 뛰어난 미모로 유명하고[* 메이의 말에 의하면 우치하 일족은 미인이 많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게다가 마다라나 이즈나 혹은 이타치처럼 미형 캐릭터들이 많은 편이기도 하다.] 부모인 사스케와 사쿠라가 작중에서 미모가 최고 수준으로 묘사되는 대표격 공식 [[미남]][[미녀]][* 사스케와 사쿠라 모두 마사시로부터 공식 미인 인증을 받았고 사스케는 작가가 작품 내적으로 가장 미인이라 한 캐릭터이며 사쿠라는 작가가 작품 외적으로 가장 미인이라 한 캐릭터이다.][* 나루토 관련 공식 미남미녀하면 인터넷에서 제일 많이 거론되는 캐릭터가 바로 사스케와 사쿠라다. 다만 인터넷에선 사소리 같이 그림체만 미형이고 정작 설정은 미인이 아닌 캐릭터들도 미인이란 찬사를 받는다.]라 딸인 사라다에게 그만큼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큰 걸로 보인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부모들은 설정상 최고 미인들이고, 심지어 [[우치하 사스케|아버지]]는 작품안에서 제일 미인이라고 묘사된 캐릭터인데, 미모 유전자들을 대체 어따 팔아먹었길래 설정상 아버지 판박이인 딸은 왜 그 모양이냐는 글이 꽤 있고 안경덕에 사라다 본연의 매력이 보여서 좋아하는 반응도 있으나 '[[미모 봉인구|안경이 잘못했네, 안경좀 벗자]]'라는 반응도 많고 안경을 벗긴 짤도 많이 돌아다닌다. ~~장발로 보정된것과 함께~~] 때문에 16세 시절은 안경을 벗고 장발로 나오기를 바라는 독자들이 은근히 많다. 이외에도 [[앞머리]] 모양이 애매해서 외모가 죽는다는 평가도 생각보다 제법 나오는 편으로, 특히 깻잎머리로 된 앞머리와 한쪽 옆머리가 한 덩어리마냥 붙어있는 식으로 처리가 돼서 어중간한 앞머리가 되었다며 팬덤 내에서도 호불호를 제법 탄다. 아예 팬아트에서 그릴 땐 앞머리 선과 옆머리 선을 명확히 구분하거나, 아니면 [[휴우가 하나비]]처럼 머리 한 가닥을 가르마 사이로 내려 [[삼지창머리]]에 가깝게 그리거나 한다. 사실 앞머리를 제외하고 마사시 작화나 애니팀이 마사시 작화에 가깝게 사라다 얼굴을 그릴 땐 샤프한 미소녀이다.[* 역으로 애니에서 턱을 둥글게 그릴 경우 외모가 죽는다. 그래서 팬덤 내에서도 그리기 은근 어려운 캐릭터란 말이 가끔 나온다.] 그래서인지 현재 앞머리 말고 그냥 아빠나 엄마의 어릴적 앞머리 모양을 따라하거나 흔하고 무난한 앞머리 모양으로 갔어도 괜찮았을거란 평이 종종 나온다. 참고로 사라다가 안경을 쓰는 이유는 애니메이션 버전과 키시모토 스토리 버전으로 나뉘는데 애니메이션 설정으론 너무 어릴때 사륜안을 개안하여서, 키시모토 스토리 버전은 열이나서 시력에 손상을 입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ytamanotwt/status/1155774177703387138?s=20]] 설정상 혼혈 우치하는 시력이 좋지 않다고 한다. 이즈미 같은 경우도 혼혈이었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다.[* 다만 이즈미는 안경을 안 썼다.] * 우치하 쪽 특성이 우성 발현해서 그런지 엄마인 사쿠라 쪽의 외모는 거의 안 드러난다.[* 작화상으론 닮은 구석이 있지만 설정상으론 사라다는 사스케 판박이다. 그러나 엄마인 사쿠라가 작가가 직접 공인한 세계관 최고 미녀인 만큼 사라다는 엄마를 닮았어도 굉장한 미소녀였을거다.] 다만 애니에서 웃는 짤이나 전반적으로 둥글고 귀여운 애니 작화를 보면 사쿠라 딸이라는 티도 제법 나는 편이다. * 앞머리와 인상은 [[우즈마키 미토]]를 닮았다. 사실 더 인상이 닮은 캐릭터는 원작자 키사모토 마사시의 단편 '마리오' 에 나왔던 [[https://4.bp.blogspot.com/-FJFOq1xxSzk/UYdMNamB8gI/AAAAAAAAAFc/duKkMQZKaMg/s1600/mario+review_cute.jpg|여주]][[https://i1.imggur.net/mario/1/mario-4106747.jpg|2]](…). 앞머리 스타일 좀 바꾸고 붕어입술 속성을 약간 추가한 사라다 성장판 수준이다.[* 애초에 단편 마리오의 여주가 팬덤에선 사라다 아빠 사스케의 TS 버전이란 소릴 들을 정도로 닮긴 했으니 사스케 닮은 사라다도 자동적으로 닮아보이게 된듯.] * 원작 한정으로 현실에서 초등학생 정도의 나이에 치열한 전투에 자주 참여하는 닌자임에도 하이힐을 신겨놨다는 것에 반감을 가진 독자들도 있다. 당장 엄마인 사쿠라도 어렸을 땐 굽이 거의 없는 샌들을 신었고, 어른이 된 상태에서도 그리 높지 않은 힐을 신고있다. 나루토에서 하이힐을 신고다니는 닌자는 하급 닌자부터 상급 닌자를 찾아봐도 없었기 때문에 그냥 작가가 자기 취향 때문에 그려놓은 것 아니냐는 비난을 하는 독자들도 있는 편이다. 이건 사라다만이 아닌 다른 아카데미 졸업생들도 전부 적용된다. * 은근 장발을 바라는 독자들이 많다. 마사시의 말로는 원래는 장발로 하려했으나 닌자에 맞지않아 단발을 했다고 한다. -- 사쿠라랑 히나타도 긴머리였는데-- 팬들의 반응은 그리 좋지않은 편이다. 쿠시나처럼 포니테일로 가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종종있다. * 신장은 어머니 사쿠라 소녀시절 보다 1.5cm 작지만(사라다 147cm, 사쿠라는 12세때 148.5cm) 부모가 장신인 만큼(사스케 182cm, 사쿠라165cm) 사라다도 나중에 어느정도 클 거라는 예상이 있다. 그리고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도 장신이다.[* 외조부 키자시는 184cm, 외조모 메부키는 172.5cm이다.] * 애니에선 마사시 작화에 비해 인상이 너무 순해지고 넙데데해졌다고 작화에 대한 지적이 많다. 사실 보루토 애니가 전반적으로 눈 크기가 쓸데없이 커진데다가 정작 얼굴조형은 둥글둥글 + 넙데데한,[* 음영 처리를 대충하는 탓도 있다.] 소위 '인면어 작화(...)' 상태가 장기 진행중인지라 비단 사라다 뿐만이 아니라 다른 캐들[* 특히 원작이나 전작 애니에서 인상이 날카로운 캐릭터들]도 다 피해보는 상황.[* 일각에선 작화 하청이 바뀌어서 그런다는 말도 있고, 다른 곳에선 유아를 타깃으로 한 애니다보니 주 타깃층인 유아들에 맞게 샤프하기보단 동글동글하고 순한 인상으로 캐릭터들 작화를 맞춰서 그런다는 말도 있다.] 그렇지만 그나마 작화보정을 꾸준히 받는 오프닝과 엔딩에선 특유의 미소녀 느낌이 잘 살아나서 거기선 호평받고 있다.[* 어떤 엔딩에선 현실 보브컷처럼 누울때 머릿결이 자연스럽게 흐드러진 컷이 한 번 배정되었는데 이렇게 현실의 찰랑거리는 보브컷 스타일로 가도 좋을 것 같다며 반응이 괜찮은 편이었다. --현실은 착 붙은 핑킹가위 보브컷이지만...--] 굿즈 같은 경우도 일러 자체는 --본편 작화에선 보기 힘든-- 고퀄로 많이 뽑히는 편이다.[* 특히 2020년에 나온 보루토 2세들(보루사라미츠, 신 이노시카쵸) 기모노 일러 굿즈에선 [[https://i.redd.it/iei2xx2egua51.jpg|굉장히 예쁘게 뽑혔다.]]] [[파일:EFgsDW4WsAEN1o9.jpg]] * 마사시가 먼저 제작한 닌자복을 안 쓰는 보루토 코믹스에선 이케모토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디자인을 쓰는데 너무 짧은 미니스커트에 킬힐 수준에서 굽만 두꺼운 하이힐이어서[* 이 정도면 오히려 걷기도 힘든 수준이다. 전작 나루토나 현작 보루토나 닌자들이 대부분 운동화 수준으로 굽 낮은 샌달을 신는 것도 이리저리 뛰어다녀야 할 일이 많기 때문인걸 감안해서 신기는 거고, 그나마 굽 높은 신발을 신었던 사쿠라나 츠나데도 보루토 코믹스의 여닌자들 수준으로 굽 높은 신발은 안 신었다. 게다가 저 둘은 발로 찍는 기술(통천각)이 있어서 여차하면 그거 쓰는데 보조용이란 핑계라도 붙을 수 있지만 보루토 코믹스는 그럴 필요가 없을 다른 여닌자들, 그것도 어린애들(사라다나 쵸쵸나 스미레 등등)에게도 다 신겨버리니 욕먹는것.] 팬덤에선 대놓고 불호를 표현중이며 --사실 이거저거 떠나서 안 이쁜게 제일 큰 거 같다-- 애니팀마저도 초창기에만 이케모토 복장을 쓰고[* 아카데미 시절.] 사라다 외전부턴 바로 마사시 복장으로 바꿔버렸을 정도. 심지어 록청닌 작가는 짧은 치마를 풍자했으며 거기에 더해 마사시도 이케모토에게 '''사라다 복장만큼은 터치를 했을 정도이다'''. 게다가 공식이나 팬아트나 사라다 복장은 주로 마사시 버전으로 나오며 이케모토 버전은 애니 초반, 코믹스, 닌자볼테이지에서 아카데미 시절 사라다 캐릭터만 쓰는 정도(…)가 되었다. 그래도 이케모토는 마사시의 지적도 씹고 계속 그 복장을 밀고나가는지라 팬덤에선 더 욕먹고 있다.[* 그러나 팬덤 중 일부가 이케모토 버전 복장으로도 [[https://twitter.com/ikkiritsu/status/1277588413323993089|간지나는 일러]]를 뽑아내기도 해서 (이건 머리길이가 장발로 변경되고 외투 입었다는게 추가되긴 했지만 기본은 코믹스의 이케모토식 사라다 복장이다(…)) 그림체 자체의 문제도 만만찮다는 의견 역시 나오는 상황이다.] 이외에도 그림체 특성상 지나친 대두 묘사로 인한 인삐, 색감문제, 채색시 나이들어보이는 외모 묘사(…)[* 속눈썹, 입술 등을 너무 강조해서 그렇다.] 등등에 대한 악평도 많다. --사실 이케모토 걔는 카와키 제외 다른 캐릭터들 작화로 다 까이잖아?-- [[https://tdgall.com/index.php?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B%B3%B4%EB%A3%A8%ED%86%A0&document_srl=107458503|그래서 한 팬이 원작 코믹스 작화를 손보는 식으로 리터칭한 짤]]도 있는데 오히려 훨씬 자연스러운 작화가 뽑힌지라 이케모토 작화가 뭐가 문젠지 확연히 드러내준다.[* 정확히 하자면 이케모토가 마사시 작화에 맞추려다 생긴 현 작화가 뭐가 문젠지 여실히 보여준다. 원래 이 작가의 변경 전 그림체 보면 성인 느와르물에 적합한 그림체라고 호평이 많았다.] == [[캐릭터 붕괴]] == * TVA 38화에서 [[스튜디오 피에로]]의 농간으로 인해 [[캐릭터 붕괴]]를 겪는다. [[http://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35827267?cate=497&search_type=subject&search_key=%EB%B3%B4%EB%A3%A8%ED%86%A0|#]] 하급닌자가 되고 제3반에 편성되어 보루토, 미츠키와 함께하게 되는데 반이 마음에 안든다고 뜬금없이 '''담임인 코노하마루에게 따지며 수리검을 날렸다.'''[* 물론 다른 인물들이 스승에게 수리검을 아예 안 던지지는 않았으나 그때는 대개 시험 중이라서 정당한 경우였다. 게다가 동기들 중 가장 뺀질대는 보루토마저 이런짓은 안했다.] 게다가 사루토비 미라이를 상대할 때는 약점을 파악한답시고 잘 싸우는 보루토에게 소리쳐서 보루토가 당하게 만들지 않나,[* 다만 이것은 사라다가 아직 일구옥 이기에 중급닌자인 미라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힘든 점도 있다. 즉 사라다의 미숙한 점을 보여주는 부분] 특기인 수리검 공격 3발 중 2발을 실패하지 않나[* 마지막 공격에는 성공해서 미라이를 함정에 빠트린다.], 그래놓고 나중에 보루토에게 발목 잡으면 그날로 팀 해산이라는 소리나 한다.[* 이 발언은 중급닌자 시험에서 사스케가 주인때문에 기브업 하자는 사쿠라에게 내 앞길 방해하는 녀석은 아무리 너라해도 용서 못해 따위와 같다. 그래서 사스케의 냉소적이고 츤데레적인 성격이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하다. --아니 그보다는 낫지..--] 외전에서 도시락을 전달해줄때도 보루토에게 막무가내가 아닌 도시락의 의미를 설명해주며 예의 있게 납득할 이유를 제공한것과 38화의 납득할 이유는 제공했어도 윗사람에게 무례하게 대했다는 점은 모순된다. 팬들의 반응은 --[[손육공|우치하 오라다]]-- "역시 사쿠라의 딸이다" 정도.[* 사쿠라의 딸이다 이런 반응은 전부 사쿠라를 아니꼽게 보던 극성 까들의 반응이긴 하다.] 사쿠라도 전작에서 독을 묻힌 쿠나이로 사스케를 찌르지 못하고 어버버하다가 오히려 나루토가 그 독에 당해 기절하게 만들거나, 전쟁전 다른 마을까지 와 있는 긴장 상태에 친구들을 길 한복판에서 잠재운다거나 하는 민폐 속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다만 사쿠라는 자신보다 한참 어른인 사람에게 저정도로 싸가지없게 굴진 않았다. 사쿠라는 또래애들(나루토와 이노한정)에겐 막 대하긴 했어도 어른들에겐 예의바르게 굴었고, 특히 자기 맘에 안 든다고 카카시나 츠나데, 야마토, 이루카 등에게 수리검을 던진적은 한번도 없었다. 정발본 번역에서는 반말로 바뀌긴 했으나, 사실 사쿠라는 [[록리|나이]]가 [[휴우가 네지|겨우 한두 살]] 많은 [[텐텐|사람들]]에게 꼬박꼬박 존대와 경칭을 썼고 심지어 [[사소리|범죄자]]에게도 처음엔 정중한 말투를 쓸 만큼 남을 공경하며 예의바른 편이다. 오히려 어른들에게 싸가지없게 굴며 무기를 던진 건 사쿠라가 아니라 사스케다. 그래서 팬들 사이에서 유년기의 사스케와 훨씬 닮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사라다도 이전에는 츳코미는 걸었어도 이렇게 예의없게 굴지는 않았으므로 캐붕에 해당한다. 매년마다 한팀씩 꼭 반구성을 바꿔달라는 걸 보아 굳이 반편성 변경을 부탁하는데 수리검을 던졌어야했냐는 반응이다. 보루토에게 민폐는 아직 사라다의 사륜안이 미숙하니까 자기도 뭔가 해야겠는데 잘 안따라줘서 그랬다쳐도 아무리 반편성이 맘에안들어도 선생님들은 어른이고 교육자인데 무턱대고 나서는걸 보면.... * 캐붕이라 하기는 뭣하지만 TVA 78화에서 가라가를 찾는데 왜 사라다는 가만히 있었는가 하는것에 의문을 가진 독자가 많다. 쵸쵸가 석화되어 사라다가 분노를 했음에도 그다음 사라다는 가라가를 공격하려고조차 하지않았다는점. 가라가를 찾는데에 사륜안도 사용하지 않았는지 그것이 평소 사라다같지 않다는 것이다.~~그리고 보루토만 나서서 싸우고 보루토만 제일 먼저 소환수를 가지게 되었다.~~ * 그외의 실책으로는 60화에 사라다가 아라야 전에서 관중석을 향해 뇌구를 쏘는 위험한 행위가 비판받고 있다. 이긴 것 자체는 멋있지만, 와이어를 사용하는 등 다른 태크닉을 썼더라면 이런 비판은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사실 원작 코믹스에서의 사라다는 자신이 뇌구를 쏘면 이길 것쯤은 알았지만 주변 사람들이 다칠까봐 쓰는 것을 꺼려했다. == 명대사 == >'''나는 [[우치하 사스케|아빠]]와 다른 길을 걸어 호카게가 될 거야!''' >'''[[하루노 사쿠라|しゃーんなろー]](샨-나로!)'''[* 사쿠라와 같은 말버릇. 원작에선 샨-나로라고 하지만, 게임인 나루티밋 스톰에서는 "초(超) 샨나로"라고 말한다.] >도시락은 배를 채우는게 다가 아니잖아. 만들어준 사람이 특별한 사람이라면. >모두에게 도시락을 전해주는건 불가능하니까, 나 호카게가 될거야. >어떤 부모라도 아이에 대한 애정이 없는건 아냐. 나는 그렇게 생각해. >아빠, 아빠는 엄마와 마음이 제대로 이어저있어? >엄마가 말야, 말했어. 영원인지는 몰라도 그때의 친구는 지금도 친구라고. >우리들은 벌써 진화하고 있어. 나뭇잎의 닌자를 얕보지 말라고. >보루토에 대해서 모르는거 같아서 말해두지만 보루토 원래는 저런 아이가 아니야. 이 정도로 한게 기적이야. 알겠어? >우리들에게 제 7반의 번호를 주세요. 부모에게서 받은 이 번호로 뛰어넘어보겠습니다. >있지 보루토 7대님께 우리들의 대단한 모습 보여주자. 너는 7대님께 너의 대단함을 어필 가능해. 나는 호카게의 길에 다가갈수 있어. >동료는 마지막까지 믿는다! 잖아? == 추측글 == === 이름에 대한 추측 === 이름에 대한 추측이 많았다. 화둔을 쓰는 우치하 일족 답게 불의 정령인 [[샐러맨더]]에서 따온것이라던가, 사스케의 '사'에 사쿠라의 '라' 이타치의 '타'를 따온것이다 라는 등등.심지어 마다라에서 따온거 아니냐는 소리도 있었다. 다만 사스케랑 사쿠라가 전쟁의 보스였던 사람의 이름을 따왔을지는 의문이다. 재밌는 추측을 가져와보자면 [[사라다]]는 분명 일본식 샐러드라는 뜻을 갖고있긴 하나 샐러드가 아니라 그와 별개로 사라다의 이름은 サラダ油 에서 따왔다는 것. 일리있는게 사라다의 풀네임을 영어로 하면 sarada uchiha가 되기때문에 사라다 유(sarada u(yu))(サラダ油)로 유추 할수도 있다. 사라다 유(サラダ油)란 해바라기 씨유 등 식용유 중에서도 식물성 기름을 포괄적으로 뜻하고 당연하겠지만 불에 기름을 부우면 불이 타오른다. 즉 우치하 일족이 불을 일으키는 바람이 되는 부채[* うちわ. 일본어에서 は를 조사로 사용하면 와(わ)로 발음 한다.]를 상징하므로 화둔이 기본인 우치하 일족과 기름의 역할이 부채의 바람와 같이 불을 일으킨다는것에서 나름 의미가 일맥 상통한다. 즉 사라다는 꺼져가는 우치하의 불이 살아난다는 의미로 이름을 지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게 맞다면 사스케는 나름 일족의 부흥을 이룬셈이 된다.] 심지어 힌두교의 여신 사라스와티에서 따왔다는 소리도 있다.(...) [[https://twitter.com/mangekyoow/status/1156368527743430657?s=20]] 농담이지만 사스케는 딸이름을 우치하 사라로 지을려 했는데 사쿠라가 말을 잘못 알아들어 사라에서 사라다가 된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게다가 사스케와 사쿠라 꿈에 하시라마나 미나토가 나타나 점지해준 이름이란 우스갯소리도 있다. 하지만 마사시가 현재 나루토라는 작품에 질려 정이 떨어져서 일부러 나루토를 망치려 들었다는 말도 있는 만큼 그냥 별 뜻 없고 아무 생각 없이 지은 이름일 수도 있다. 인드라 환생들에서 이름을 따왔단 설도 있으나 마사시라면 몰라도 사스케가 딸 이름에 마다라가 연관될 단어를 넣을 리가 없다. '''이러저러한 추측이 많지만, 결국은 그냥 단순히 [[샐러드]]에서 유래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런식의 단순무식한 네이밍은 드래곤볼의 광팬인 키시모토가 드래곤볼을 오마쥬한 것이며, 전작인 나루토에서도 많이 애용했었다.[* 나루토 = 소용돌이 어묵, 사쿠라 = 벚꽃, 이타치 = 족제비, 미나토 = 항구, 카카시 = 허수아비, 네지 = 나사, 보루토 = 볼트, 히마와리 = 해바라기 등. 사라다만을 특별 취급한게 아닌 이상, 깊게 생각하지 않고 지었을 확률이 너무나도 높다.][* 참고로 아무래도 좋을 여담이지만 가타가나 사라다 말고 [[사라다 치히로|일본 한자식으로 사라다라고 읽는 성씨도 창작물에서 보이긴 하는데]] (한자 표기시 사라다는 皿田이 되고 현지에서도 그대로 '사라다' 라고 읽히며 쓰이는 단어이긴 하다) 이와도 무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엔딩관련 분석 === [[파일:사라다엔딩.png]] 사라다 외전의 결말은 사라다 엔딩의 연출을 파악할 수 있다면, 미리 예측할 수 있다. 사스케의 이미지 컬러(보라색)[* 물론 사스케의 이미지 컬러로 가장 많이 쓰이는 건 파란색이지만, 보라색도 스사노오나 윤회안 등 사스케의 상징색이 맞다.]과 사쿠라의 이미지 컬러(분홍색)이 DNA의 나선 구조를 이루고 섞여 [[난자]][* 난자가 맞다. 이 동그라미가 그려진 뒤 바로 수정란의 분화과정(이 동그라미가 쪼개지는 연출)을 보여준다.]를 상징하는 동그라미를 만들고, 그것이 쪼개지며[* 검색해보면 알겠지만 실제 수정란의 분화 과정이다.] 우치하 일족의 문장을 만든 뒤 사라다의 등을 비춰준다. 즉, 엔딩만 해석해보자면 사스케와 사쿠라의 사이에서 만들어진게 사라다라는 것이고 사라다는 사쿠라의 친자가 맞다는 것. 그러나 주 시청층이 소년층인 만큼 엔딩 연출을 해석할 수 있는 팬들은 소수에 불과했다. 수정란의 분화 과정 연출은 애니에서 잘 사용되는 연출은 아니지만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에서 거대 레이가 들고 있던 검은 달이 해체될 때도 사용되는 등 전례가 없던 연출은 아니었다.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75/read/16618450|참고 자료]] === 아버지의 과거를 알게될거라는 떡밥? === 어쩌면 사라다가 아빠의 과거를 눈치채는것이 그렇게 먼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작중에서도 암시를 남겨놓는 듯한 묘사도 있었고. 그 떡밥을 정리해 보자면 * 아빠의 뱀시절 사진의 복장과 우치하 신이 입었던 복장은 모두 아카츠키 복장이었다는 점 * 우치하 일족의 서적을 뒤질때 사스케의 항목만 열람제한이 걸려있었다는 걸 사라다가 알아차렸다는 점. * 사라다는 오로치마루의 행적을 알고 있고, 사스케와 오로치마루가 서로 아는 관계라는 걸 안 점. * 사스케가 직접 자신의 과거의 일부를 언급한 점. * 팀원인 보루토가 사스케와 함께 과거로 이동하였을 당시 사스케의 과거 탈주 사실을 알게 된 점 등이 있다. 일단 아직도 안 식은 인기소재인 우치하 일족과 관련된 사항인만큼 어떻게든 써먹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보인다. === 기타 추측 === 팬덤에선 훗날 성장한 사라다가 "사스케의 [[윤회안]]을 끼는 것이 아닐까?"라는 추측을 하고 있지만, 사실 사라다가 윤회안을 끼는 것 자체가 [[설정붕괴]]다. [[우치하 일족]]의 순수 혈통이자 하시라마 세포를 이식한 [[우치하 오비토]]가 전쟁에서 두 눈에 윤회안을 이식하지 않았던 이유는 "윤회안이 자신의 자아를 삼키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는데 ,[* 이전 문서에서는 사라다가 우치하 일족의 혼혈이기 때문에 사스케의 윤회안을 낄 조건이 안된다고 하기도 했고 우치하의 피만 있으면 된다고도 했지만 애초에 윤회안의 개안 조건은 인드라의 차크라와 아수라의 차크라를 둘 다 가지고 사경을 헤매는 것이기 때문에 혼혈이든 아니든 조건 성립이 안된다. 사스케의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 획득 과정에서 빼는 사스케의 눈을 이식하고 하시라마나 나루토의 차크라를 가진 채 사경을 헤맨다면 모를까]나루토 세계관의 만능템인 하시라마의 세포도 갖고 있지 않고, 거기다 사스케의 윤회안은 일반 윤회안보다 동력이 더 강하다. 여러모로 사라다는 윤회안을 낄 조건 자체가 되지 않는다. 심지어 [[나가토(나루토)|나가토]]처럼 차크라 통이 큰 것도 아니고. 물론 나루토란 작품 자체가 설정에 충실한 작품은 절대 아니었고, 보루토 들어서 설정붕괴도 많아진 걸 고려하면 기존 설정을 아예 무시하고 달 수도 있다. ~~마지막에 [[이터널 만화경 사륜안|영원의 만화경]][[우치하 신|을 낄 조건도 갖춰져 있고]].~~[* 다만 우치하 신은 에피소드의 빌런에 한하는 캐릭터이기에 사라다가 신의 눈을 이식하는건 그리 설득력있지는 않다.][* 현재 사스케의 눈은 이타치의 것이므로 빼낸 사스케 본인의 눈을 이식받을 가능성도 있다. ~~사스케가 갖고있거나 그 행방을 안다면~~ 그 외에도 같은 우치하 일족내에서는 만화경이 아닌 일반 사륜안으로도 영만경 개안이 가능하니 굳이 사스케의 눈을 이식하지 않아도 된다. ] 일부 독자들은 이후 [[치도리]]를 사용하게 될수도 있을것이라 언급하기도 하는데 치도리는 이미 사라다의 나이에 이구옥이 되었던 아버지 사스케 마저 그 당시 하루에 2번정도 사용하는것이 한계였을 정도로 차크라 소비가 막대한 기술이다. 아직 일구옥에 차크라도 부족한 사라다로서는 무리일수 있지만, 일단은 사륜안을 개안했고, 뇌둔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고 있어 나중에라도 배워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단순히 찌르기가 아닌 앵화충과 결합한 뇌둔을 두른 치도리라면 그 형태 또한 기존과는 다를 것이다...라고 예상했으나 의외로 빠르게 사라다가 치도리를 쓰는 장면이 나왔다. 그리고 훗날에 사라다가 스사노오를 쓸지도 기대되는점 만약에 사용한다면 어떤 디자인으로 나올지도 많은 독자들이 기대하고있다. 한편으로는 만화경을 얻는건 일단 확정적일 듯한데[* 마사시가 이미 일러스트를 그렸고 태양의 문양이다.] 도대체 만화경 능력이 뭐가 될지 걱정하는 팬덤이 제법 된다. 이유는 하필 태양 문양인데다 혈연인 이타치, 사스케가 쓴 [[아마테라스]]를 갖다가 그대로 집어넣어서 구태여 만화경 슬롯 하나 칸낭비하는게 아니냐는 우려(...) 질풍전이 좀 전개된 후부터 추락한 아마테라스의 위상이라던가 오오츠츠키까지도 상대 가능한 개사기 카무이의 위상과의 격차 등을 생각해보면 답이 확 나올 것이다. 게다가 완성형 스사노오를 다루는 영만경 + 윤회안 + 스사노오를 모두 지닌 아버지 사스케마저도 [[오오츠츠키 잇시키|코믹스에서 새로나온 오오츠츠키]]에겐 몇 합만에 털리는 모습을 보여줘서 스사노오 완성형까지 간다 해도 위험하다며 더한 파워업이 필요하겠지만, '''작가진이 과연 그걸 줄까?''' 하는 우려가 꽤나 심하다.[* 신체강화 비롯 오오츠츠키에 근접한 능력을 주는 카마는 보루토와 카와키가 가져갔고, 과학닌구/선인모드는 각기 스미레와 미츠키가 가져갔으며 공간계 능력이라고 해도 보루토의 정안과 스미레의 누에가 있어서 뭘 얻기가 쉽지 않다. 탐색능력이라 해도 이미 정안이 가능하다는 암시가 있어서 (점혈을 읽는게 고스트 편에서 나왔다) 결국 그럴싸한 파워업이나 차별화는 힘들 것 같다는 말이 나오는 상황. 거기에 더해 스토리가 메인 스트림에 들어가는 오오츠츠키 잇시키 편에선 월간연재 기준으로 몇 달째 입원실에 미츠키와 함께 얼굴도 제대로 못 비추고 마을의 위기상황에도 못 나온채로 49화 무렵까지 쳐박혀있는 취급이나 당하고 있어서 작가진이 최소 파워인플레를 고려해 강화를 시켜줄 정도의 관심이나 정성도 없으리라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월간연재 + 스토리에서 추후 안 쓸 캐는 가차없이 쳐내는게 보루토 코믹스기 때문.] 일각에선 카무이나 코토아마츠카미급 만화경 능력에 스사노오까지 모두 얻어도 파워인플레에서 뒤쳐질 거 같은데 그런건 절대 안 주고 아마테라스같은 현 파워인플레상 너무나 어정쩡한 능력이나 주고 끝낼 거 같다며 벌써부터 걱정이 나올 정도. 나루토의 강함을 보고 감탄하게 되고, 나루토같은 호카게가 되겠다는 목표를 세운다. 여담으로 나루토에 등장하는 우치하 일족 중에 마다라, 오비토, 사스케 등이 호카게를 목표로 했는데 결국 되지 못하고 그 후손격인 사라다가 나루토를 동경하며 호카게를 꿈꾸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 우치하 일족 중 사라다가 정말로 호카게가 될수도 있겠다 라는 반응도 있다. 애니메이션이 진행되면서 가라가가 사라다의 소환수가 될것이라는 추측이 많았었다. 아버지가 뱀을 소환하기도 했고, 사라다가 분명 쵸쵸의 석화에 의해 가라가에게 분노하면서 공격을 했을 가능성이 있었기때문이였는데 ~~이미지 컬러때문도 있을것이다..~~정작 애니메이션에서는 보란듯이 보루토에게 가라가를 넘겨주었다. 물론 사라다는 아직 차크라도 부족하기때문에 소환수를 가질만한 조건은 아니였으나 그렇게 생각하면 보루토도 이상한건 마찬가지이기때문에....[* 나루토의 경우도 분타를 소환하기위해 구미의 힘을 빌렸을 정도로소환술은 많은 차크라가 필요한데 보루토의 경우는 그림자 분신 5명정도 만드는게 고작인데 바로 소환해버리니 이상하다고 느낄수밖에 없다.][* 거기에 보루토는 패러미터 상 사라다보다 차크라가 적다.] 이후 보루토와 가라가의 계약은 끊어지게 된다. 비중이나 행적에 대해 전작의 사쿠라의 포지션을 나쁜 의미로 이어받아 투탑 주인공 체제에 끼어 서사적으로 크게 끼지 못하는 히로인이 되는게 아니냐는 불길한 추측도 있다(...) 비중부터가 보루토에 비해 밀리는 편인데다가 인맥도 적어보이고[* 전대 호카게들과도 나름 아는 사이로 묘사될 정도로 인맥이 빠방한게 대놓고 드러나는 보루토와 달리, 사라다는 어머니의 스승인 츠나데나 카카시 등과도 잘 안다는 묘사가 없다. --취급부터 차이가...--] 아버지의 제자 포지션은 보루토에게 빼앗겼으며 존경하는 7대 호카게 나루토의 제자 포지션은 카와키에게 빼앗긴 구도가 되었기에 확실히 두 주역(보루토, 카와키) 사이에 끼어서 좀 애매해진 상황. 게다가 사쿠라 포지션을 사라다가 아닌 미츠키가 이어받고 사라다는 사이 포지션을 이어받는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 그리 되면 아예 신 7반 서사에도 제대로 못 끼는 셈이 된다.[* 덕분에 사라다 팬덤은 사쿠라나 사이 포지션을 나쁜 의미로 물려받을까봐 굉장히 걱정하는 편이다. 사실 사쿠라 포지션이라도 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사이 포지션은 진짜 노답이다. 전작 나루토가 갈수록 나루토와 사스케 위주로만 흘러갔어도, 사쿠라는 카카시와 함께 나루토와 사스케의 카구야 봉인에 큰 공헌을 세웠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주역 멤버로 인정받았기라도 했다. 그러나 사이는 후반부에 큰 활약상이 없었고 은근히 주역인 7반 멤버로 완전히 인정받지 못하는 묘사가 자주 나왔다.] 게다가 최근에는 스미레가 히나타와 사쿠라 포지션을 모두 다 가져가고 나머지 카와키나 보루토를 뺀 신 7반 멤버들은 전작 7반 멤버의 포지션중 그 무엇도 차지하지 못한 채 쩌리화 될 수 있단 추측도 나왔다. 특히 코믹스 전개를 주로 보는 사람들 사이에서 쩌리화 우려가 심화되고 있는데, 아무래도 코믹스 기준으론 잇시키편에서 무려 8화, 즉 월간연재 8달동안 얼굴도 못 비췄기 때문인듯.[* 특히 52화는 우쿄 말고 마사시가 바톤터치를 해서 스토리를 맡게 되었기에 원작자니까 사라다를 좀 챙길거라는 팬덤 내의 기대가 있었으나 정작 52화에서도 사라다는 한 컷도 배정받지 못했다는 말이 나오면서 사라다의 이후 분량을 신경쓰던 팬덤의 우려섞인 반응이 제법 나오는 편이다. 덕분에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보이는 팬덤에선 이러다가 애니팀에게도 원작자에게도 버림받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거기에 일단은 서브히로인 포지션의 스미레는 아직 애니에 잔류한 우쿄와 애니팀의 애정과 관심을 많이 받고 있고 우쿄가 대놓고 히로인으로 쓰려던 티를 노골적으로 내던 상황인데다가, 마사시로 코믹스 스작이 바뀐 뒤에도 계속 코믹스에서 분량을 확보하고 있긴 하다. 그래서 나중엔 스토리상 히로인 자리에도, 연애적 히로인 자리에도 못 들고 페이크가 되는게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는 상황.] 그나마 애니에선 최신화인 175화에서도 분량을 확보하는 등 아직은 취급이 괜찮은 편이다. 원작이나 애니에서도 주역이니 기본적으로 비중을 좀 얻는걸 제외하면 사라다 외전 이후론 확실하게 비중을 챙기는 빈도가 낮아서 행적이나 서사적 측면에선 최악의 경우 무늬만 타이틀 히로인 되는게 아니냐[* 즉 구도상 히로인 될만한 캐 하나 필요하니까 대충 넣어놨지만 그걸로 끝이 되어버린 캐릭터(...)가 되는게 아니냐.]는 걱정도 있다.[* 전작 나루토에서도 전반적으로 여캐들에 대한 취급은 타이틀 히로인인 사쿠라를 포함해도 좀 박한 편이었는데 보루토도 그 스타일을 꽤 따라가는 편이기에 사라다 팬덤 중엔 이를 꽤 걱정하는 편이 많다.] 그래도 다행히 어머니에 비해 아직 큰 안티는 안 생긴 편이다.[* 다만 간간히 캐붕스런 장면이 나왔기에 제작진이 또 어떻게 뭘 터뜨릴지는 모른다(...) 또한 큰 스케일의 안티여론이 형성되지 않았을 뿐 안티는 존재한다. 그저 사쿠라의 아이라는 이유와 성우캐스팅으로 인한 억울한 까임도 당하기도 한다.] 한동안 폄하 논란, 너프 논란은 잠잠했지만 코믹스 전개를 본격적으로 애니판이 따라잡은 마도카 텐도 편 에피소드[* 2020년 3월 중순부터 시작.]에서 전투씬 너프 논란이 다시금 터져나왔다. 원작에선 상당히 여러 컷을 써가며 수리검술 + 체술을 보여줬는데 애니에선 무슨 [[쿠치키 뱌쿠야]]가 아랑칼과의 전투에서 서로 순간이동하듯 뒷자리 선점하기(...) 식으로 간략화 [[크리]]를 먹었기 때문.[* 겸사겸사 이 에피소드는 [[미츠키(나루토)|미츠키]]조차 또 [[캐붕]]났다면서 다른 의미로도 저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전투씬 간략화는 돈이 없어서라는 추측도 있다. 더 먼저 나온 과거여행 편의 VS [[오오츠츠키 우라시키]] 전투 등도 작화너프라는 소리가 나올 정도로 허접하게 묘사된데다 당시 보루토가 그만큼 시청률도 더럽게 낮아지던 상황이었기 때문.[* 게다가 보루토의 경우 전작 시절 주요 작화인력들이 빠진 상태에서 남은 사람들이 꾸리고 있는지라 전반적인 작화수준 자체가 낮아질 수밖에 없긴 하다. 그나마 평이 좋은 극장판의 경우 참고자료가 많이 있긴 해서 덜 힘들었겠지만 나머지 오리지널 전투씬은(…)] 게다가 마도가 텐토 에피소드에서 보루사라 측에서 주장하는 보루사라 장면의 작화가 상당히 [[안습]]하게 나와서 보루사라 지지자들과 사라다 팬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심지어 보루스미나 미츠사라 지지자들 측에서도 "보루사라 커플링 장면이기는 하지만 저 작화는 너무 심했다"라는 말이 나왔다.(.....) 게다가 보루토 애니메이션 에피소드중 하나인 안개마을 수학여행편은 사실 원작[* 안개마을 수학 여행편은 보루토 소설판 4권이 원작이다. 코다치 우쿄가 쓴 작품이 아니라서인지 (소설판 4권 작가는 미와 키요무네란 사람인데 코다치 우쿄와 여러 작품을 몇 차례 함께한 적 있는 사람이다) 보루토 소설 시리즈중 가장 평이 좋은 편이다. 그런데 사실 4권 제외한 다른 권들도 코다치가 안 썼다. 애니팀 내 메인 각본가 중 하나인 '重信康(영문식 발음이 Kō Shigenobu라고 한다)' 라는 사람이 썼다.]대로 가면 사라다가 메인 주역이었어야 했으나, 애니메션판에서 사라다의 분량이 대거 삭제되어 보루토 위주의 에피소드가 되어버렸다. 새로운 닌자대전이 발발한 꿈속에서 사쿠라가 자신을 대신해 죽었고 자신은 사쿠라를 죽인 범인을 잡았지만 살인 경력이 없어 복수를 망설이는 꿈을 꾼 뒤 사람을 지키기 위해선 살인도 불사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하는 모습, 사륜안, 아카츠키와 우치하 일족[* 아카츠키의 목적이나 마다라도 알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오비토는 잘 모른다고.]의 역사를 알고는 있지만 주변 사람들이 자세하게 말해주지 않는 상황에 대한 의구심, 자신이 생각하는 호카게의 길과 그 결론에 대한 고뇌, 우치하 일족인 오비토가 만든 아카츠키에게 피해를 본 마을의 2차 피해자 분탄을 만나 우치하 일족에 대한 직접적인 분노와 원망에 맞닥뜨려진 상황에서 혼란을 겪으며 자신이 이러한 모든 분노와 원망을 받아들여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뇌 등등 정말 중요하다 할 장면은 애니메이션 판에서 통편집되거나 분탄이 그저 사륜안을 탐내는 사이코로만 캐릭터성이 변해버리는 바람에 서사가 왜곡되 깔아뭉개졌다. == 2차창작 및 커플링 == 메인 히로인 겸 타이틀 히로인답게 2차 창작에서 보루토 여캐들 중 탑티어의 인기를 자랑한다.[* 2020년 8월 진행한 모 인터넷 사이트상의 인기투표에선 3위를 했다. 참고로 이건 나루토, 보루토 모두 포함한 보루토 애니 인기투표이고 순수 보루토 캐들로만 따지자면 남캐 여캐 합해서 1위(…) 주인공 보루토, 같은 팀 미츠키의 인기까지 앞질렀다. 해당 투표는 주로 여덕들이 참여비율이 높은 투표이고 팬덤이 매우 큰 사스사쿠 쪽 지원을 받은 걸 보면 여덕, 그중에서도 사스사쿠를 미는 여덕들이 많이 미는듯.] 덕분에 엮이는 캐도 많은 편이다. 2차 창작에서는 [[소꿉친구]]이자 동기인 [[우즈마키 보루토]], [[야마나카 이노진]], 같은 반 팀원 [[미츠키(나루토)|미츠키]], 부모님 [[우치하 사스케]]와 [[우치하 사쿠라]], 큰아버지 [[우치하 이타치]][* 그런데 이쪽은 문자 그대로 가족의 원수다(…) 어린 시절의 아버지께서 [[학살|겪은 사건]]을 생각하면... 그래서 사라다 팬이면서 최근 늘기 시작한 이타치 안티를 겸하는 경우 이런 류의 2차 창작을 극도로 싫어한다.], 자신이 동경의 대상이자 목표인 [[우즈마키 나루토]]와 얽힌다.[* 그 외에 [[우치하 사쿠라|엄]][[우치하 사스케|빠]]와 함께 온가족이 사이좋게 나루토 덕후라거나, 한술 더 떠 히나타와 보루토가 우치하 일가의 나루토 덕질을 지켜보며 하악하악대는 경우도(...)]드물게 이미 사망한 [[우치하 오비토|이 사람]]이나 [[우치하 마다라|이 양반]]과 어울리는 경우도 있다.[* 뭐 조카 봐주는 삼촌 이미지나 손녀 봐주는 할배 이미지로 나오지만, 저 두 놈은 4차 닌자대전을 일으킨 주범(...)이며 [[페이크 최종보스]]들이라는 것, 그리고 두 놈이 1·2차 구미사변을 일으켜서 우치하 이미지 다 깎아먹은 걸 고려해보면 뭔가 묘하다. 게다가 좋은 삼촌으로 묘사되는 이타치는 집안 사람들을 거의 학살한 장본인이다(...)--본격 집안의 원수들과 친하게 지내는 2차--] GL 커플링으론 대놓고 친한 친구로 묘사되는 [[아키미치 쵸쵸]], 마이너하게는 [[카케이 스미레]]와도 엮인다.[* 다만 원작이나 애니나 스미레와 사라다는 잘 엮이질 않는다. 동성 동기들 중에서 사라다가 주로 엮이는 대상은 쵸쵸.] 주요 커플링으로 보루사라가 대표적이다.[* 아래에도 나와있지만 반응이 저조한건 한국 한정이고 외국 가면 보루토 관련 나머지 커플링은 죄다 마이너 취급당할 정도로 보루사라는 넘사벽의 인기를 자랑하는 메이저 커플링이다. 원작, 코믹스 모두 상대적으로 플래그가 저조하고 사라다와 보루토 모두 상대에게 이성적 관심이 아직 없다고 묘사되는데도 이 수준이다. 애니로 가면 더 플래그가 적은데도 인기가 좋은 편이다.] 소꿉친구이기도 하고 아카데미때부터 티격태격 싸웠지만.. 아니 외려 티격태격 싸워서 미츠키에게 사이가 좋다고 듣기도했다. 사라다쪽에서 보루토를 바보취급은 했어도 보루토를 자주 챙겨주기도 하며 수학여행때는 같이 바다를 보며 오징어구이를 먹는다거나 중급닌자 시험때는 사라다가 보루토에게 보루토의 눈이 7대님보다 파랗다고 하자 보루토의 얼굴에 홍조가 나기도하였으며[* 극장판 기준이다. 애니판에서는 연출이 달라져 의견이 분분히 갈리는 편이다. 참고로 보루사라 지지자들은 애니의 연출변경에 대해 굉장히 싫어한다. 그리고 제작진의 경우 반대급부 커플링인 보루스미를 좀 더 노골적으로 미는 티를 낸다. 대놓고 보루스미 좋아하는 티를 공식 라이브 행사에서도 팍팍 냈을 정도니(…)] 중급닌자시험이 중단된 후에는 보루토가 사라다에게 지켜준다고 말하자 사라다가 홍조를 띄우는 등 플래그를 세우고 있다. 이후 애니와 코믹스에선 플래그를 거의 주지 않고 오히려 보루스미[* 보루토와 스미레 조합.]을 대놓고 밀었지만[* 심지어 2019년 라이브 행사에서도 제작진이 노골적으로 보루스미란 언급까지 하며 미는 티를 냈고 스미레를 압도적인 히로인이라 칭할 정도였다.] 해외 팬덤은 그러거나 말거나 여전히 대다수가 보루사라를 지지하는 상황. 그러다가 애니 172화 후반부에 보루토랑 같이 있을 때 사라다가 얼굴을 붉히며 부끄러워하는 장면이 잠깐 나오자[* 내용 자체는 보루토가 사라다에게 병문안 와준 거냐, 의외로 상냥한 면이 있지 않냐고 말하자 사라다가 볼을 붉히면서 시선을 회피하고 병문안 하는 걸로? 라고 바로 받아치면서 술법 수행으로 이야기를 돌린다. 이후엔 딱히 별 거 없다.] 어째서인지 일본과 양덕의 보루사라 팬덤이 이 부분을 보루사라 플래그라고 해석해서 제법 크게 반응했다.[* 트위터 쪽에서 언급이 제법 나오고 있다. 일단 반응이 가장 많이 나오는건 그나마 팬덤 숫자가 많은 양덕.] 한국 팬덤은 반대로 큰 반응이 없는데 이쪽은 보루사라 유행은 한참 전에 끝났고[* 한국 보루사라 팬덤은 훨씬 이전의 시기에 많이 탈주했으며 지금은 활동하는 사람 찾기가 힘들 정도.] 이후에 세를 불린 보루스미와 미츠사라 팬덤이 대세여서인듯.[* 그런데 이 커플링은 한국 한정 메이저이고 일본, 서양권에선 반응이 저조하다. 그래서 반응이 정반대일 수밖에. 한국 팬덤 중에 구태여 보루스미 미츠사라를 밀지 않고 논커플링 팬덤이거나 보루사라를 밀었던 사람들도 제작진이 노골적으로 미는건 보루스미라고 봐서 일본, 양덕들과 달리 보루사라 커플링 성사 가능성을 낮게 잡는 것도 있다.] 사실 처음 시비 턴 것은 남초의 사라다 안티였다. 그것도 스미레라는 캐릭터가 나오기도 전이다. 사라다가 호불호가 극심하게 갈리는 캐릭터인 사쿠라, 그리고 사스케의 자식인데다 전작부터 이타치 미화의 일환으로 폄하당한 우치하 일족인 만큼 남초에서는 그것에 연좌되어 사라다를 욕하고 후일 스미레라는 캐릭터가 추가되지 스미레를 추겨세웠다. 사라다 팬들이 이에 반발하여 스미레가 나오기도 전부터 싸움이 시작되고 거기에 스미레도 연루되다가 남초는 보루토 자체가 더 막장을 가다보니 보루토를 대거 탈덕하고 나루토 얘기만 하는 방향으로 자리를 잡았고[* 실제로 최근 나루토 남초 커뮤니티의 주요 이야기 방향은 지라이야 VS 이타치다.(...) 여캐들에 대해서도 보루토 여캐들에겐 별 관심을 안 들이고 오히려 전작 여캐들에게 더 관심을 쏟는다.] 여초 중에서 예전부터 스미레 팬이었거나 유입된 스미레 팬이 탈덕한 남초 사라다 안티의 선시비의 악영향을 받는 것이다. 한국 팬덤은 예전에야 컸지만 애니 방영 이후 초중반부터 꽤 탈주자가 늘기 시작했다.[* 2020년 이후엔 남은건 보루스미, 미츠사라, 소수의 보루사라 팬덤 뿐이다.] 애니의 경우 보루사라를 별로 밀지도 않고 있던 플래그도 연출변경으로 삭제하는 마당에 캐붕 논란 등까지 합쳐지자 팬덤이 보루스미 쪽으로 옮겨가거나 가망 없다 생각하고 탈주하기 시작했으며 남은 팬덤이 보루스미 미츠사라 떡밥에 관심을 두고 풀무질을 시작해서 여기까지 오게 된 것. 게다가 사라다 성씨 문제 등으로 인해 사라다를 겸해서 파는 한국 팬덤은 보루사라를 지지 안 하고 주로 미츠사라(+ 보루스미)를 지지한다. 남아서 보루사라를 지지하는 한국 팬덤 중에서도 제작진의 여태까지의 반응을 보고 보루스미가 될 거 같다며 회의적으로 파는 사람도 있는 마당이다.], 대부분은 나루토 덕질을 하면서 겸사겸사 보루사라를 지지하는 팬들이기 때문에 이런 팬들은 보루토를 제대로 보는 사람조차 적어서 스미레 자체를 모른다.[* 그나마 커플링 연성이 활발한 여초 쪽은 스미레에 대해 인지도도 좀 있는 편인데 그런 것도 크지 않은 남초 쪽은 인지도가 더 낮은 편이다. 미는 사람이 거기도 없는건 아니지만 과거에 비하면야 요새는 관심이 확 죽었는지 그냥 언급 자체가 잘 안 나온다(…)] --결정적으로 한국 내 보루토는 전작 겸해서 파는 팬덤들까지 합해도 팬덤 규모가 작다...그 팬덤마저 가끔 뭐 터지면 탈주해가는 마당이고--[* 실제로 보루토 애니의 경우 반복적인 전작캐 캐붕묘사나 재미없이 늘어지는 스토리 등으로 인해 남은 팬덤이 적은 와중에도 여차하다 중도탈주하는 경우가 반복되는 상황이다. 가끔 돌아오는 팬도 있지만 나가는 이들에 비하면야 소수다.] 일본 팬덤도 보루사라 세력이 더 크긴 하지만 거의 엇비슷하다.[* 애초에 일본도 보루토 전체의 팬덤 규모가 작다보니 한 캐가 우세하긴 해도 전반적으로 보면 숫자면에서 아주 압도적인 차이가 나진 않는다. 그래도 픽시브 투고 수 등의 규모로 보면 사라다 >> 스미레 쯤.] 보루스미 세력과 크게 싸우거나 스미레 안티질을 여전히 하는 케이스는 굉장히 드물어 요새는 0에 가까운 수준이다.[* 사실 작품 장기화하면서 팬뿐만 아니라 안티들도 관심 떨어지거나 해서 탈주한 경우가 적잖기 때문이다. 애초에 빠건 까건 거의 없는 작품은 이미 죽은 장르 취급받는 작품이고.] 양덕 보루사라 팬덤이 우세라서 친 사고가 눈에 많이 띄기 때문에 캐 자체나 관련 커플링이 아예 취좆 피해는 전무한 걸로 알려져있지만 실은 '''전혀 아니다'''. 사쿠라 안티들에게 해외 국내 막론하고 '''사쿠라 딸이란 이유 하나로''' 싸잡혀서 취좆당하기도 하는 캐가 사라다고, 자체적으로도 취좆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하다.[* 특히 남초에서 안경캐라고 많이 깠었다] 애초에 서양 팬덤의 취좆은 컾링 상관없이 서양 팬덤 과반수의 문제다. 팬덤 규모가 조금이라도 있는 캐는 다 공유하는 문젠데 보루사라만 문제인듯 보는건 확실히 그릇됐다. 보루스미를 지지하는 팬들은 스미레와 이어져야 한다고 하며[* 스미레 자체가 호불호와 논란거리가 분명한 캐릭터긴 하나 디자인도 미형인데다 보루토와 나름 플래그도 있고, 사라다 + 쵸쵸 정도를 제외하면 동기 여캐들 중 비중이 그나마 (초중반부 한정으로) 뚜렷한 편에 속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보루스미를 밀지 않는 팬들도 있다. 일단 스미레는 한 행적이 행적이고 편애 논란도 있어 호불호가 갈리기 때문. 또 보루토가 누구에게 연애적 호감을 품는 것과는 별개로, 사라다의 히로인적 입지(여기서 '히로인' 은 주인공과 이어지는 여캐라는 의미)를 더 걱정하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보루사라를 지지하기도 한다. 실제로 타이틀 히로인으로 내세워진 히로인도 차후 주인공과의 연애적 측면에서 다른 히로인에게 자리를 뺏기고 페이크 히로인화를 당할 경우 비중이나 인기가 명백하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지는지라(...) 괜히 팬덤이 [[히로인 쟁탈전]]에 목 매는게 아니다.][* 더군다나 보루토 아버지가 [[우즈마키 나루토|어떤 분이신데 감히]] 며느리감을 [[카케이 스미레/비판|저런애로 정하냐는 반응]]도 많다. 실제로 스미레의 경우 [[시가라키 타누키|아버지]]의 악의적인 목적([[뿌리(나루토)|뿌리]] 일 하다 뿌리 출신이라는게 들켜서 마을에 박대당하고 쫓겨난 것에 앙심을 품어 마을을 테러하기로 한 것)을 갖다가 안 할 수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의로''' 따라서 '''보루토 아빠 나루토가 호카게 할 시절에 마을에 자의적으로 테러 미수를 벌인 애'''이다. 게다가 그녀의 아버지가 몸담았던 뿌리가 마을의 제대로 해소하지 못한 적폐의 상징이라는 점까지 고려해보면(...) --괜찮아 오롱이도 카부토도 용서해주는 마을인데 뭐...게다가 나루토는 자기에게 패드립에 아빠엄마 죽인 [[우치하 오비토|타칭 최멋닌]]까지 용서해준 놈이니--][* 다만 이성친구 관계 중 사라다나 스미레를 빼면 엮일 캐가 마땅히 없는것도 사실. 물론 비중있는 신캐가 추가되면 또 이야기는 달라질지도 모르지만.] 사라다가 우치하 일족인데 보루토와 이어지면 성이 우즈마키가 될게 뻔하다며 싫어하는 팬들이 많다.[* 사라다를 싫어하지 않는 팬들 중에서도 보루토와 사라다가 이루어지길 반대하는 독자가 은근 많은 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성씨 문제도 있고 아수라와 인드라의 갈등은 이미 아빠들이 해결했으므로 화해의 산물로 두 사람이 굳이 의무결혼할 필요도 없으며 전작의 큰 비판거리였던 사기적인 혈통의 둘이 낳은 자식끼리 결혼해서 혈통 끝판왕 괴물을 낳고(육도선인) 3세대까지 연재할 거냐며 야유하는 팬들도 많다. 그래서 작중 논란은 있지만 그냥 스미레 줘버리자는(...) 우스개소리도 나온다.][* 미츠키와 사라다가 이어지길 지지하는 팬덤중에선 보루토와 스미레의 커플링도 같이 지지하는 사람들이 상당하다. 사실 전작인 나루토에서도 사스사쿠와 나루히나를 같이 지지하는 팬덤이 상당했는데 아마도 그것과 같은 이유. 사실 이 경우 두 커플링 조합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에 더해, [[잉여 커플|그냥 자기가 미는 커플링의 견재캐를 다른 캐 줘버리자는 심보]]로 미는 사람들이 다 섞여있긴 하다(…)] 사실 이런 성씨 문제가 밈화된건 보루토 초창기엔 없던 일이었다. 초창기엔 한국도 보루사라가 인기였지만 보루사라가 성사되면 사라다가 사쿠라와 히나타처럼 가정주부화될거란 불평이 있었고[* 그런데 히나타 말고 사쿠라가 완전 가정주부 된 건 오해다. 사쿠라는 사스케가 거의 장기 외부 출장으로 살던 차여서 병원 일도 하고 집안일도 다 한 케이스다. 그러나 일단 애정촌 된 다음엔 여캐들이 가정일 하는 묘사가 들어간게 어째 한국 팬덤에선 모두 가정주부화되었다는 식의 오해성 밈으로 퍼졌다(…) 일단 완전 닌자 그만둔건 히나타 정도고 결혼한 사쿠라, 이노, 테마리 등은 묘사가 잦진 않아도 현역 맞다. 그리고 텐텐, 하나비는 아예 결혼도 안 하고 닌자 일 계속 한다(…)] 그게 우치하 성씨 신경쓰는 의견이랑 함께 밈이 되어서 한국 팬덤 내에 널리 퍼지면서[* 특히 덕질판의 큰 손이 된 트위터에서 널리 퍼졌다.] + 보루사라의 인기가 저조해지는 여러 이유들과 합쳐져서 우치하 성씨에 과민반응이 대세가 되고 독신으로 살았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제법 커졌다고 한다.[* 특히 사라다 독신 결말을 미는 팬덤은 어떤 남캐와 이어져봤자 가정주부 묘사가 1이라도 나올까봐 극혐하는 반응을 보인다. 애초에 한국 여캐 여덕 팬덤 자체가 여캐들의 취급에 2010년대 중순 이후로 꽤 예민해져서 이런 묘사에 대해 불호의견이 커진 것도 감안해야할듯.] 다만 이건 국내 한정이고 외국은 사라다 커플링과 연계해 우치하 성씨 소실 여부에 관해 별로 흥미를 안 보이는 사람들이 압도적이다.[* 애초에 일본이나 서양권은 한국보다 성씨에 대해 집착하는 문화 자체가 아주 크지 않다. (가문 존속에 신경을 아예 떼버리는 수준은 결코 아니지만 성씨 유지에 대한 집착이 아주 크지도 않다는 뜻) 한국의 경우 성씨 존속을 위해 양자 양녀를 들일 때도 같은 성씨, 같은 혈족인지 면밀히 따지고 들이는 문화가 예전부터 있었을 정도지만 일본의 경우 [[데릴사위제]]가 예나 지금이나 대놓고 있는 마당에 서양의 경우도 왕가에서 대가 끊기면 성이 이미 바뀐 다른 나라 친척들이 왕위를 이어 왕가의 성씨가 바뀌는 사례도 여럿 있을 정도. 거기에 더해 한국은 부부별성제지만 일본, 서양은 부부동성제이기까지 하니 성씨 소실 문제엔 상대적으로 둔감할 가능성이 높다.] 혈통 관련 문제에 있어서도 국내는 혈통 우려먹기는 가히 [[극혐]]이라는 반응을 크게 보이는 반면, 해외 쪽은 아예 신경조차 안 쓰거나 이참에 오오츠츠키 찍어보자고(…) 좋아라하는 경우까지 있다. 국내에서도 성씨 문제 생길거 없이 그냥 보루사라가 이어지면 성을 오오츠츠키로 통합시켜버리자는 반응도 서서히 나오고 있다. 그런걸 제외하고 그냥 좋아하는 팬들도 많지만 성이 없는 미츠키하고 이어지는게 낫다는 반응도 있다.[* 미츠키는 전작의 사이 처럼 딱히 뭐라 할 성이 없으므로 사라다와 결혼하면 데릴사위로 들일수 있다.][* 그런데 잘 생각해보면 미츠키는 [[오로치마루]]의 [[클론]] [[인조인간]]이므로 그건 그것대로 또 문제가 된다(...). --[[오로치마루|우리 아빠]]가 [[우치하 사스케|너네 아빠]] 어릴 적에 뭔짓을 했냐면~-- --아아 정녕 사라다의 커플링에는 [[신도 부처도 없단 말인가]]--][* 미츠키는 에반게리온의 나기사 카오루마냥 보루토 빠라 사라다에게 그리 관심있어보이지도 않는다.(...)] 물론 이노진처럼 어머니의 성을 물려받은 사례도 있으니 사라다가 호카게가 되면 우치하의 성을 물려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록청닌에서 네지가 나루토와 히나타가 결혼하면 명문가 핏줄인 히나타가 당연히 나루토를 데릴사위로 들일 것이라 확신하며 휴우가 나루토가 될 것이라 예상했으나, 나루토가 호카게가 되면서 히나타 쪽에서 시집을 갔다.] 그게 아니더라도 사라다에게 사스케처럼 일족을 잇는다는 의지가 있다면 성씨가 있는 남캐와 결혼하여도 가문 유지를 위해 성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소년만화인지라 그런 전개가 나올지는 불투명하지만.[* 근데 잘 보면 보통 사라다와 팬덤이 엮이길 바라는 남캐들의 경우 성이 없어서 우치하 성을 그대로 이어줄 가능성이 있는 남캐들이다(...) --본격 성씨 경쟁--] 사실 이런건 한국에서 유독 두드러지는 경향성이고[* 유독 한국에선 우치하 성씨 소실 문제에 부정적인 의미로 과민반응하는 경향이 외국 팬덤에 비해 두드러지는 편이다. 해외권도 우치하 팬덤이 많긴 하지만 그쪽은 사라다 결혼 문제로 성씨 소실이 되든말든 부정적으로 반응하는 사람을 오히려 더 찾기 힘들다.] 양덕이나 일본 쪽에선 우치하 성씨 소실 문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신경을 덜 쓰는 편이다.[* 한국이 일본, 서양권과 달리 부부별성제를 쓰는게 그 원인일 수도 있다. 한국인들 기준에선 어머니 쪽 성이 아예 아버지 쪽 성에 먹힌다는게 낯설지만 일본이나 서양권 쪽에선 예전부터 익히 있던 문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거부감이 덜하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물론 한국도 부부별성제이긴 하지만 자식 성은 보통 남편 성을 따라가는지라 결국 사라다의 우치하 성씨가 유지되려면 성씨가 없거나 묻힐만한 남캐를 찾아야한다(…) 다만 외국에서도 사라다 성씨 소실 우려를 신경쓰는 사람들이 전체 대비 소수일 뿐 없지는 않다. 최소 사라다의 다른 형제자매가 생겨서 성씨 유지가 되는게 확정되지 않는 한 사라다가 성씨가 있는 보루토에게 가면 우치하의 가문으로써의 대는 사실상 끊기는거나 마찬가지인지라( 소년만화 주인공이라는 특성 때문에라도 보루토가 우즈마키 성씨를 포기하는 전개는 있을 수 없다고 보는 팬덤이 많다. 모계성을 따른 전작 주인공만 하더라도 출생과 관해 일어난 대사건 때문에 모계성으로 가게 된 것이지 원래대로라면 부계성을 따랐을 것이다. 그리고 전작 주인공도 명문가 아가씨와 혼인했지만 오히려 아내 쪽 성이 남편 쪽인 주인공 성에 흡수되었다)우치하의 가문으로써의 세력이 유지되길 바라는 강력히 바라는 사람들은 그것 때문에라도 사라다가 성씨 없는 안전빵 남캐와 이어지길 바라거나 한다. 게다가 보루토가 다른 가문 데릴사위가 돼서 우즈마키 성을 버릴 가능성도 거의 0이기 때문(…) 반대로 사라다의 히로인적 포지션에서 라이벌인 스미레 쪽은 팬덤에서 주목하는 유명 일족이기는커녕 그냥 일족이라고 하기도 뭣한 평범한 집안 출신에 이젠 부모친척도 없는 천애고아 상태여서 남편 성에 자기 성이 묻혀도 별 상관 없고, 과거를 생각하면 오히려 지금 성을 버리고 들어가는게 더 나아보일 정도이긴 하다. --[[마지막에 성공한 악당|과거세탁 하나는 확고하게 할 수 있잖아?]]--] 서로의 엄마인 사쿠라와 이노가 소꿉친구라는 점과 이노진이 사라다에겐 독설을 날린 적이 없다는 설정때문인지 이노진과의 커플링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의외로 [[카와키]]와의 커플링을 지지하는 자들도 있다.[* 카와키도 일단 성이 밝혀지지 않았고 진짜로 없을 가능성도 있으니 데릴사위로 삼기는 쉬울듯(?)하다. 하지만 카와키는 미래의 행적이 마을 부수기(...)인데다가 '''신체 전부가 개조된 로봇이다'''. 인공생명인 미츠키와는 다른 의미로 만만치 않다. --뭐가...설마 [[고자|이거?]]--] 또한 그 누구와도 이어지지 않고 독신주의로 가는 결말을 지지하는 팬덤도 있는 편이다. 첫 설정때부터 변경이 없었던 나루토 세대의 커플링과는 달리 보루토때는 팬들의 반응에 따라 커플링이 변경될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나루토때는 딱히 커플팬덤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판매부수도 높고 시청률도 잘 나오지만 보루토는 평균 시청률이 1%대에 판매부수도 저조해서 최소한의 마진이라도 남기기 위해선 팬덤반응을 크게 신경 쓸 수 밖에 없다.[* 실제로도 보루토 제작진들은 나루토때와는 다르게 팬덤의 반응을 크게 살핀다. 대표적인 예가 사쿠라와 사스사쿠다. 세계적인 대히트작이었던 나루토때는 딱히 팬덤을 챙기지 않아도 잘 나가니까 온갖 방식으로 왜곡해 폄하한 반면, 보루토때는 시청률와 판매부수 모두 한자릿수를 넘지 못할 만큼 저조한데 (상태 자체가 보루토는 나루토라는 아이피에 매달려 연명한다는 소릴 들을 정도다. 그나마 동양권보다 훨씬 인기가 좋다는 서양권에서도 2020년 7월자 크런치롤 시청률을 보면 다른 작품들에게 제법 밀리는 편이다) 사스사쿠가 나올때마다 시청률이 두배 이상으로 치솟았다는건 사스사쿠관련 에피가 유독 시청률이 좋고 해당 장면들에서 사스사쿠 묘사가 인터넷에서 큰 화제가 되었기에 생긴 '''루머'''지만 여하튼 타 에피소드들에 비해 반응이 좋은 편이고, 사스사쿠가 메인으로 나오는 외전소설인 사스케 열전이 역대 점프소설 판매부수 1위를 찍자 사쿠라와 사스사쿠의 폄하를 조금 줄여주는 모습을 보였다. 히나타 역시 예시로 들 수 있는데 나루토때는 원작왜곡과 캐릭터 폄하까지 동원해가며 노골적으로 편애를 했고 제작진들이 직접 공식 석상이나 개인 사이트에서 히나타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거나 타 캐릭터를 비하하는 발언을 했을 수준이었지만 보루토때에서는 해당 편애로 인해 비판이 상당했다는 걸 인식했는지 나루토때만큼 직접적인 편애는 보여주지 않는다.(라고 써져있긴 하지만 사실 관심 떨어지거나 넣을만한 건덕지가 없어서 안 넣을 가능성이 더 많다. 애초에 제작진은 편애질로 욕먹든 너프질로 욕먹든 주변 반응 신경쓰는걸 1도 보여주지 않았기로 악명이 높았고 심지어 작가가 지적해도 그만두지 않을 정도였다. 지금도 히나타 팬덤이 히나타가 확 비중 준 것에 대해 불평하는 경향이 없잖아 있는데도 무시중이다) 오히려 취급으로만 치자면 문자 그대로 나루토 아내, 보루토랑 히마와리 엄마 정도로 옅은 비중을 계속 유지중이어서 --그리고 작화도 사실 은근 너프됐다-- 그렇게 편애할 땐 언제고 이젠 정떨어졌냐고 오해할 수준이다. 히나타의 편애계보를 이은 여캐라는 의혹이 국내나 해외에서나 짙게 존재했던 스미레조차도 초반에만 밀어줬지 이후엔 작화보정이나 위치보정만 가끔가다 해줄 뿐, 거의 공기에 가깝게 처리하는 중이며 편애발언을 나중에 대놓고 하긴 했지만 사쿠라 때와는 달리 사라다와 직접 비교질을 해가며 툭하면 편애하는 티를 내진 않았다. 밀어주고 편애하는 티를 좀 냈는데도 일부러 캐붕까지 여러 번 냈던 사라다보다 인기가 밀리는 실정이고(…)][* 게다가 보루스미 지지자가 보루사라 지지자보다 더 많은건 한국 한정이고 가까운 일본이나 좀 더 먼 양덕 동네에선 보루사라가 문자 그대로 대 메이저(…) 픽시브 쪽만 봐도 사라다 쪽은 2020/6/18 비로그인 기준으로 전체 작품 투고수가 5, 153개고 스미레는 전체 작품 투고수가 426개로 엄청나게 차이가 난다. 게다가 사라다의 팬덤 중엔 현재 세력이 큰 사스사쿠 팬덤이 몰려있어서(…) 팬덤 세력이 크면서도 견고한 편이다. 애니 제작진이나 원작에서 캐붕의혹을 몇 번 내거나 비중을 애매하게 만들거나 해도 인기가 크게 추락하거나 그러는건 없다. 한국 쪽이 사라다 팬덤이나 보루사라 팬덤이 작아보이는 건 사라다 + 보루사라 팬덤은 나루토 올드팬에 몰려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중 대다수는 보루토는 본진으로 활발하게 파기보단 문자 그대로 나루토 파는 김에 겸사겸사 파는 수준이고 관심도 적은지라 크게 눈에 띄는 활동은 잘 안 하기 때문이고 상대적으로 활동이 활발한게 스미레 + 보루스미를 지지하는 라이트 팬덤이기 때문. 게다가 한국도 처음엔 보루사라 지지층이 압도적이었고 미츠사라와 보루스미 지지층은 마이너였었다. 그러나 보루토가 인기가 갈수록 저조해지면서 수많은 팬들이 탈덕해 보루사라 지지층이 확 줄어버렸고 소수의 미츠사라 겸 보루스미 팬들이 개인 계정과 블로그에 연성과 분석글을 계속 올려가며 지지층을 늘려 미츠사라를 메이저 커플링으로 만들었다. 허나 보루스미와 미츠사라를 메이저로 만든 사스사쿠 팬덤은 첫 본진 커플링이 사스사쿠라 그쪽에 분류된거지, 시카테마나 나루히나같은 타 공식커플들도 사스사쿠를 파는 만큼 파기때문에 단순히 사스사쿠 팬이라 보기는 어렵다. 정확하게 말하면 그저 공식 커플링이면 다 좋아하는 일종의 잡덕이다. 다만 국내에서도 여전히 소수의 보루사라 팬덤이 계속 활동중이긴 하다. 활동은 안 해도 조용히 파는 이들도 없잖아 있는 편이다.] 게다가 자신이 파는 커플링이 이뤄지지 않으면 분서를 하거나 불매를 하는 커플링 팬덤들[* 블리치가 대표적인 예. 블리치에서 이치고와 오리히메가 이어지자 이치고와 루키아와의 커플링을 지지한 몇몇 사람들이 쿠보 개인 계정에 블리치 분서 인증글을 보낸 적이 있다. 사실 이보다도 더 나쁜 의미로 대표적인게 [[알드노아 제로]]인데, 작품성이 막장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보는 사람들이 최후의 보루로 삼은게 히로인 어세일럼과 관련된 두 남주의 삼각관계 중 누가 어세일럼의 남주가 될 것이냐(…)였는데 어세일럼을 2쿨에서 갑툭튀한데다 비중도 별로인 신캐에게 줘버리고 기존의 두 남주 모두 닭 쫓던 개 수준의 결말을 만들어버리자 팬덤이 그야말로 폭발해서 히로인 어세일럼의 평가, 작품의 평가, 그리고 수익 모두 꼴아박혀버렸다. 물론 이 작품의 경우 연애가 주가 아닌 작품군 중에서도 의도적으로 커플링을 세일즈 포인트로 활용해먹은 전적이 있어서 더욱 팬덤이 폭발한 것도 있지만, 다른 의미로 보면 작품성 등 다른게 망가져도 사람들이 최후까지 신경쓰는 보루 중 하나가 커플링이라 할 정도로 이 업계에서 커플링 요소, 특히 인기 캐들과 관련된 커플리 요소는 돈과 평가 모두 이익을 준다는걸 여실히 알 수 있다. 당장 전작 나루토만 해도 결말부에서 망가진걸 모두가 부정 안 하지만, 자신들이 밀던 커플링이 결말부에서 성사되었다는 것 하나로 다른거 안 보고 명작이라 해준 사람들도 있었다(…) 그리고 나루토 제작진이 그토록 싫어하던 사쿠라가 낀 사스사쿠마저도 확실하게 돈이 된다는게 사스케 열전 등을 통해 증명되자 제작진이 뒤늦게나마 신경쓰는 티를 조금은 내는 수준이다.]도 분명 존재하기에 당연히 제작진과 작가들은 조금이라도 이익을 팬들의 사소한 반응마저도 신경쓸 수밖에 없고[* 잘 팔리는 작품에서 저런다면 별 타격도 없지만 안 팔리는 작품에서 팬덤까지 등져버리는건 치명적이긴 하다. --특히 추가로 돈벌려고 만들었는데 안 팔리는 작품에서 저러면...-- 특히 서양 보루사라 팬덤에선 보루사라 안 되면 탈주하겠단 말도 나오는 마당이다. 문제는 일본 포함 동양권에선 인기가 확 추락했어도 서양권에선 여전히 인기가 높은 보루토의 특성상 (최소 시청률도 서양권 >>> 동양권이다) 내수보다도 양덕팬덤이 현재 보루토를 유지시키는 근간격 팬덤이 되어버렸다는 것.] 그렇기에 사라다는 팬들의 반응에 따라서 커플링이 결정될 수가 있다.[* 물론 이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는 팬덤도 역시 없잖아 있는 편이다. 보루스미의 한 축을 담당하는 스미레가 논란이 있고 호불호를 크게 탈지언정 지지파가 아직 세력을 유지하는 상황인데다가(보루스미 팬덤이 외국에선 세력이 훨씬 더 큰 보루사라 팬덤에게 공격당하는게 더 많을 정도지만 그래도 아직까진 연성도 계속 나올 정도로 세력이 유지되고 있다)제작진이 확고히 미는 티를 내는 편이고(애니나 소설에서나 공통적으로 꾸준히 강조하는게 보루스미 플래그다(…) 심지어 애니 제작진은 공식석상에서 스미레와 보루스미 편애발언까지 한 전적이 있다) 추후 스미레의 비중이 커지고 인기가 높아지거나 사라다 쪽을 애니에서 또 너프시키듯 다뤄서 인기가 떨어지면 보루사라의 인기가 줄어들고 보루스미의 인기가 높아질테니...(가능성이 있는게 보루토는 애니도 정사여서 코믹스와 묘사를 다르게 묘사해도 팬덤이 정사 아니라고 뇌피셜로 빠져나갈 구멍조차 없다. 애니팀도 이를 모를 리 없을테니 예의 편파병이 도지면(…) 도로 악용할 가능성이 없잖아 있는 편) 애니 제작사가 워낙 커플링이나 편애캐와 폄하캐 취급 유지에 고집부리는게 강하다는건 익히 --나쁜 의미로-- 알려진 편이고 (애초에 저 이치히메 커플링 분서 팬덤에 좋아요 누른게 보루토 제작사 소속 제작진이다(…) 이런 편파질과 공식 미디어믹스에서 나서서 하는 취좆질 문제에 원작자 쿠보가 여러 번 항의한 적이 있고, 결국 기존 피에로 애니팀이랑 아예 손절했을 정도) 팬덤이 그냥 나가리 취급을 할 정도로 인기가 크게 떨어져서 더 이상 답이 없다면 오히려 제작진 맘대로 커플링을 결정해버릴 수 있기 때문. --한편으로는 초딩 시절부터 커플링 논란 인게 커플링 말곤 보루토가 볼 거 없어진게 아니냐는 초 회의적인 반응을 내는 팬덤도 있다...-- 그리고 애니팀이 피드백이나 팬덤 반응 씹기로는 예나 지금이나 유명하다는 것을 감안해 현재도 팬덤 반응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보는 이들도 많다. 커플링 관련과는 무관해도 팬덤의 주축을 차지하는 올드비드은 별로 원치 않는 전작 주인공 나루토의 캐붕 반복을 시리어스 장편 에피에서 잊을법하면 해대서 오지게 욕처먹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며 (특히 157화의 비 마을 에피소드 건에서 이 캐붕논란이 절정에 달해서 한국, 일본, 양덕 할 거 없이 한 마음으로 폭발해서 나루토와 캐붕연출을 한 제작진을 까내렸다) 다른 전작 캐들도 은근히든 크든 캐붕 피해를 본 케이스가 없는게 결코 아니다.] 그 외에도 보루사라가 이어지는 것이 내키지는 않지만 보루스미가 될 바에야 보루사라가 낫다는 의견도 있다.[* 내키지 않는 이유는 선술한 사라다의 성씨 유지 문제.][* 성씨 문제 마저도 센쥬의 방계인 우즈마키와 우치하가 다시 맺어지는 것이니 도로 오오츠츠키로 통합하면 되는거 아니냐고 넘어가는 반응도 있다. 사실 보루토의 경우 하고로모 쪽(우즈마키)과 하무라 쪽(휴우가)가 모두 섞였고 사라다는 하고로모 쪽(우치하)이기 때문에 서로 묶일 경우 일단 카구야의 쌍둥이(하고로모와 하무라) 혈통이 완전 통합되기는 한다. 덕분에 보루토와 사라다 2세는 우스개소리로 육도선인 아니냐는 농담도 있긴 하다(...) 다만 성씨 오오츠츠키 통합의 경우 우치하냐 우즈마키냐 하고 성씨 유지 문제 갖고 왈가불가하느니 그냥 조상이자 원류인 오오츠츠키의 성씨로 퉁치는게 공평하지 않냐는 의견을 기반으로 나온 것이어서 육도혈통 갖고 3세물 찍기와 크게 관련은 없다.] == 기타 == 이름이 이름이다보니(...) 팬덤에서는 본명 대신 '샐러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양웹에서도 Salad 또는 Salada[* サラダ의 로마자표기는 Sarada이며, 공식 표기도 이쪽을 사용하고 있다.]라는 표기가 간혹 보이기도 했다. 애니메이션 엔딩에서는 보루토의 캐릭터들을 상징하는 이미지 컬러가 있다. 사라다의 경우는 빨간색 내지 선홍색.[* 음이냐 양이냐를 두고 논란이 있는데, 상징색 때문에 양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 외전 연재 당시 사라다의 친모 논란이 뜨거웠는데, 그때 나온 주장 중 하나가 "사스케가 카린 피를 먹어서 사라다에게 카린의 DNA가 있다"였고, 그걸 아직도 믿는 사람이 있다(...). 외전을 보면 알겠지만 사라다는 유전적으로 카린과 전혀 관계가 없다. 사스케가 피를 먹어서 DNA가 섞였다는 논리는 사스케에게 우즈마키의 피가 흐르고 있다는 논리와 같다(...). 외전 710화를 보면 카린은 사쿠라가 사라다를 낳는 걸 도와줬을 뿐이고 그때의 탯줄을 자신이 갖고 있는 것이다. 애니메이션 에서 추가적으로 다룬 외전 내옹으로 사라다의 시력이 안좋다는 묘사가 나왔는데 그 이후로 사라다의 시력문제는 다뤄지지않고있다. ~~스이게츠가 빨리 새 안경을 주거나 만화경 개안해서 어디있을지도 모를 아버지 눈을 받을수밖에.~~ 닌자 아카데미에서는 사스케마냥 두 손 깍지를 껴 세운다. 의료인술에는 소질이 없지만 장선술을 일단 무늬로라도 쓸 줄은 알고(…)[* 소설판에서 일단 쓰기는 쓴다. 위력은 좋지 않다고 묘사되지만.][* 작중에선 의료닌자들이라면 다 쓰는 것처럼 나오고 애니판에선 한술 더 떠 의료닌자가 아닌 히나타도 쓰는 허접기술로 묘사돼서 그렇지, 사실 장선술은 소수의 의료닌자들중에서도 극소수만 쓸 수 있을 만큼 어려우며 습득시간도 매우 길다. 그 츠나데가 3개월만에 장선술을 마스터한 사쿠라에게 시즈네와 맞먹는 재능을 가진 아이란 칭찬을 괜히 한 게 아니다. 시즈네는 의료닌술로선 나뭇잎내에서 1, 2위를 다투는 천재 의료닌자다.] 152화에서 사라다가 사쿠라에게 의료인술에 대해 제대로 못 배웠다는 설명에 더해[* 사쿠라는 늘상 병원 일로 바쁜 편이어서 물어볼 기회도 많이 없었던듯하다.] 시즈네가 사쿠라도 처음부터 잘 쓴건 아니고 노력을 많이 했다는걸 알려준 것도 있는지라[* 실제로 사쿠라가 천부적인 의료닌자 소질을 가진 거랑은 별개로 츠나데 밑에 가자마자 바로 의료닌술 마스터를 한 건 절대 아니며 뒤에서 인술 공부도 의학지식 공부도 많이 했다.] 노력해서 실력이 좀 더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팬덤도 있다. 모친인 사쿠라가 의료닌자로선 타고난 천재라 묘사되기에 사라다의 재능은 부친 사스케 유전이라는 말도 있다. 다만 의료닌자로 낙점된다는건 의외로 굉장히 싫어하는 팬덤이 많은데 여차해서 후방지원으로 빠져 비중이 줄어드는 사례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인듯. 게다가 사라다의 주기술중 하나인 [[앵화충]]은 차크라를 미세컨트롤해야하는 의료인술을 응용한 체술이라 사라다가 의료인술에 재능이 없다는 건 설정붕괴라는 평가도 있다.[* 다만 앵화충과 메커니즘이 좀 달라도 차크라를 활용해서 신체능력을 강화하거나 방어력, 관통력을 강화하는 술법들은 이전에도 나왔으며 별다른 명칭 없이 차크라를 통해 신체를 강화시키는 묘사도 나온 바 있다. 극장판 3기 한정이긴 하지만, 아직 앵화충을 배웠는지 확실히 나오지도 않은 소년전 사쿠라도 앵화충을 연상시키는 체술을 선보인 바 있는데 이게 단순 일점사식 차크라 집중으로 한 체술이라면 사라다도 그 정도 컨트롤력은 지니고 있을수도 있다.] 쵸쵸의 언급으로는 데빌사라다 라는 성격이 반전되는기믹이있는듯 하다.[* 이때 독기 가득 품은 사스케 표정과 많이 비교되었다. 아버지 유전인듯. 혹은 초창기에 평소보다 더 과격한 내면의 자신이 또 하나 있던 어머니 사쿠라의 기믹을 재활용한 것일수도.] 보루토 TVA 기준으로 [[아키미치 쵸쵸]]와 함께 [[우즈마키 나루토]]의 [[미수 차크라 모드]]와 [[우치하 사스케]]의 [[스사노오]]를 제일 먼저 본 2세대이다. 같은 우치하 일족 중엔 헤어스타일(앞머리)이 닮은 경우로 [[우치하 이즈미]]가 있다. 가르마 방향만 반대지 깻잎머리 스타일의 비대칭 가르마라는 점이 유사하다. 다만 이즈미는 갈색머리, 뒷머리와 옆머리 모두 길며 사근사근한 강아지상인데 반해 사라다는 흑발에 뒷머리와 옆머리 모두 짧고 날카로운 고양이상이다. 애니팀의 총애를 받는 [[우치하 일족]] 답게 벌써 본인을 테마로 한 엔딩이 존재한다.[* 전작에서도 사스케, 오비토, 마다라가 자신들을 테마로 한 엔딩들이 있었다.][[https://youtu.be/nK7O4TDPCvg|#]], [[https://youtu.be/qITOT9m3x0M|##]] 2기 엔딩 "안녕, 문 타운"(サヨナラムンタウン)이 그것.[* 엔딩은 총 네개의 버전이 있다. 첫번째는 나뭇잎마을의 스크린에 매화 하이라이트를 흑백화하여 내보낸것과 두번째는 스미레 엔딩, 세번부터는 사라다 전용 엔딩이다. ver.3는사라다의 슬픔과 사라다가 바라는 것이 연출로 쓰이고 있으며, Ver.4에서는 응어리를 푼 사라다가 사스케와 사쿠라의 손을 잡으며 해맑게 웃는 씬이 그려진다.] 전용 브금으로 [[https://youtu.be/30bjOS-0HVQ|사라다 투지]]와 [[https://youtu.be/0U06WMcAWZg|사라다 심고]]가 있다. 사라다 투지는 사라다가 전투하면서 이길타이밍에 틀어지며 사라다 심고는 사라다가 누군가를 걱정할때,또는 슬퍼할때, 누군가를그리워할때 등등의 상황에 틀어진다.[* 이 두 브금 비교하면서 들어보면 음색이 비슷하다. 아무래도 같은 곡을 어느 한쪽 편곡한모양] 여담으로 키시모토 마사시는 사라다라는 캐릭터를 여성스럽다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여자 심리에 대한 책을 읽었으나 정작 그 내용은 거의 쵸쵸를 묘사할때 반영했다고.] 그러나 사라다외전을 제작하면서 남성팬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걱정했고[* 이는 형제인 세이시도 우려했던 부분이라고 한다.][* 성격적으로 보면 사라다가 [[여자력]]이 강하게 묘사되고 주인공에게 [[데레]]형이며 연애적 호감을 뚜렷히 보이는 전형적이고 인기있는 현재 일본발 서브컬쳐의 히로인 유형과는 좀 거리가 있어서 그런 걸로 보인다. 이런게 강한건 오히려 서브히로인인 카케이 스미레이다. 구태여 따지자면 사라다는 꽤 예전부터 존재한 전통의 호감도가 썩 크지 않게 시작한 츤데레 히로인상에 가깝다.] 사라다의 특성에 맞는 성격을 찾기위해 몇가지 서적을 뒤졌다고 한다. 그리고 키시모토 마사시는 사라다를 다소 어둡지만 강인한 캐릭터로 만들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외전을 제작할때 다소 어두운 분위기에 쵸쵸를 붙여 분위기의 균형을 맞추었다고 한다. 또 사라다와 사쿠라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고 한다. 키시모토세이시 키시모토 마사시 두 형제만화가 인터뷰.[[https://web.archive.org/web/20160807021939/http://www.ganganonline.com/contents/sukedachi_talk/]] 이번 점프페스타에서 이케모토 미키오가 말하기를 사스케와 사라다의 미래는 흥미로울 것이라 밝혔다. 그리고 키시모토 마사시도 이케모토의 사라다 디자인이 신경쓰인다고 밝혔으므로 디자인이 바뀔 가능성이 생길지도... ~~부탁이야. 제발 그래줘.~~ ~~장발로 가자 장발이라면 자기 엄마처럼 예쁠게 분명해~~ 참고로 마사시가 다른 건 그냥 냅두는 데 유일하게 태클을 건 게 사라다의 의상 디자인이라고 한다. 보루토가 10대 중반 시점때 사라다네 가족의 미래에 대해 걱정하는 팬덤도 있다. 파워업을 위해 작가진 측에서 만화경을 쥐어준다 칠 경우 희생양으로 쓰일 사라다의 소중한 대상이 사라다의 가족(사스케/사쿠라 혹은 둘 다(...))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편에[* 마사시가 후속작 담당하게 된 이케모토에게 필요하면 전작 주인공 죽여도 상관 없다라는 발언을 하기도 했고 프롤로그에 나루토의 죽음/리타이어를 암시하는 식으로 가자는 말을 했다고도 하는 만큼, 나루토나 사스케의 운명도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사스케의 경우 마을 붕괴라는 시점에서 나루사스 둘 다 무사하지 못할 가능성이 미래에 깔려있어 일단 리타이어/사망 가능성이 매우 높게 점쳐지고 있고 사쿠라 쪽도 사쿠라가 센쥬나 우즈마키처럼 생명줄이 지나치게 강한 장수 일족출신이 아니라 평범한 소시민 가정출신이 수명을 깎아먹는 창조재생이랑 백호의 술을 필살기로 쓰는데다가 기절을 자주 한다는 설정[* 과로로 인해 쓰러지는 거라지만 일각에선 츠나데가 백호의 인을 쓴 부작용으로 수명이 많이 깎여 심한 노화를 겪는 것처럼 사쿠라에게는 툭하면 기절하는 게 백호의 인을 쓴 부작용이 아니냐는 말이 있다. 더불어 타인을 걱정시키는 게 싫어 거짓말까지 하는 사쿠라의 성격상 주변인들이 사쿠라가 과로로 인해 기절한다고 알고 있는 건 백호의 인 부작용으로 수명이 깎여 부작용으로 기절한다는 걸 알면 다른 사람이 걱정할까봐 단순 과로로 인한 실신이라고 거짓말한 게 아니냐는 말도 있다.]인데 소설판에서 사라다가 사쿠라의 죽음에 대한 꿈이나 환상을 많이 봤다는 묘사가 나오는 터라 둘 다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 특히 원작자가 전작 주인공 캐들도 죽게 만들어도 별 상관없다는 반응을 이미 내비친 적이 있는데다 대놓고 프롤로그도 주역 둘(나루토, 사스케)가 죽은 분위기를 암시하는 식으로 하라고 초안을 내놨으며, 스토리 작가도 기존 7반 중 못해도 하나쯤은 치워버릴 티를 팍팍 내는 중인데 아무리 그래도 전작 주인공 나루토를 진짜로 치워버릴 경우 '''진담으로 나루토란 아이피에 기대서 겨우 연명하는 보루토란 작품에 어떤 후폭풍이 올지 감당하기 힘드니까''' 주역이긴 해도 나루토보단 건드리기가 훨씬 더 만만한 사스케나 사쿠라, 혹은 둘 다를 충격적인 전개를 위해 치워버릴 가능성이 높다고 팬덤에서 점치는 중이다. 게다가 사륜안, 만화경의 설정을 생각해보면 사라다를 눈깔이라도 강화시키기 위해(…) 부모 날려먹기만큼 스작에게 있어선 편한 전개도 없기 때문.] --이러다 진짜 편모가정 딸내미/고아되는게 아니냐. 우치하들 그만 괴롭혀라...하는 팬덤도 있다(...)-- 그 외에도 타락을 걱정하는 팬들도 있다. 반면 아직도 닌자 세계의 모순을 나루토가 척결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라다가 우치하 특유의 각성(...)을 했으면 좋겠다는 반응도 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aruto&no=147398|#]] 여담이지만 보루토 코믹스에서의 사라다의 비중은 정말 병풍 그 자체이다. 여태껏 보루토 코믹스에서 사라다의 사륜안 사용은 단 한번뿐이였고. (그것도 중급닌자 시험의 깃발 뽑을때.) 내용이 전체적으로 보루토 카와키 나루토 중심으로 나오기때문에 사라다 전용 에피소드 하나 없는 건 물론이요. 나름 주연임에도 다른 조연과 비슷한 비중을 갖고있다. 물론 미츠키도 비중이 매우 창렬하고 보루토 위주의 전개가 계속되기 때문에 사라다만 비중이 적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이건 같은 주연급인 미츠키의 비중까지 같이 따질 일이지, 사라다의 비중 적음을 따질 수 없는 것이 아니다. 5대 호카게 [[츠나데(나루토)|츠나데]]와 [[휴우가 히나타]]처럼[* 작중 내내 초대 호카게 [[센쥬 하시라마]]의 손녀로써 '츠나데 히메' 라고 통칭됐던 츠나데와는 달리 히나타는 극장판 [[나루토 더 라스트|더 라스트]]에서 '백안의 공주(白眼の[[히메|姬]])'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통칭됐다. 비록 통칭된건 한번뿐이지만 동기 닌자들중 유일하게 이명을 가지고 있다.] 사라다에게도 '[[히메]](姫)'라는 별칭을 붙여줬음 좋겠다는 말이 있다. 일단 나뭇잎 마을 명문3가문 이라고 할수 있는 [[센쥬 일족|센쥬]], [[우치하 일족|우치하]], [[휴우가 일족|휴우가]] 중[* [[우즈마키 일족]]도 명문가라 할 수 있지만 이 세 가문들보단 서열적, 혈통적으로 밀리는데다가 현재는 가문의 위상도 거의 사라진 상태로 간신히 혈맹을 이어나가고 있기 때문에...더군다나 나뭇잎 마을에서 명문으로 칭해진적은 없으므로 제외.] [[우치하 사스케|우치하 일족 현 당주]]의 하나뿐인 소생인데다가 센쥬, 휴우가와는 다르게 이쪽은 일족 자체가 단절 위기여서[* [[우즈마키 일족]]처럼 가문의 위상이 사라지진 않았으나 앞날은 모르는 일이다.] 꽤나 귀한 혈통이라 그런 면이 있는 듯. 다만 이는 오류가 있는게, 나루토 세계관에선 영향력 있는 일족 당주의 아이에게 "공주", "왕자"라고 호칭하지 않는다. 히나타의 경우는 단순히 순도 높은 백안을 갖고 있고, 달의 오오츠츠키 일족 직계 후예인 [[휴우가 일족]]의 공주라 '''존중 차원'''에서 불러준 것일 뿐. 히나타도 같은 일족 내에서는 본가를 섬기는 분가 측의 인물들에게 히나타 님 정도로 불리며, 이노시카쵸는 명문가임에도 당주의 아이에게 주변에서 딱히 왕자, 공주 취급을 해주지 않는다. 또한 우치하 일족은 현 시점으로 따져보면 그리 영향력이 쌘 일족도 아닌데 사라다를 공주라고 부를 이유가 없다. 쵸쵸가 우치하 일족은 명문가라고 말한 것도 나뭇잎에 남아있는 과거의 위상일 뿐, 일족 자체는 이제 일개 가정 단위가 됐기 때문에 휴우가처럼 정치 쪽에 입김을 행사할 수 있는 정도의 영향력이 없다. 현 당주부터가 당주로 치기엔 과거가 깨끗하지 못한 사람이고, 그 딸은 일족 부흥에 대한 관심은 커녕 호카게라는 꿈만 쫓고 있으니...우치하의 피는 이어지더라도 일족 자체는 사라다 대에서 끊길 확률이 높다. 우치하 일족 자체가 이어지려면 사라다가 데릴사위를 들이거나 사스사쿠가 늦둥이 동생들을 낳는 수밖에 없다. 나루토 질풍전: 나루티밋 스톰 4 ROAD TO BORUTO에서는 동기들과 함께 신규 캐릭터로 등장했다. 이스터 에그로 사라다를 상대로 나루토-사스케-사이로 할 수 있는 합체오의인 섹시 역하렘의 술법을 쓰면 사라다가 충격을 받고 기절하는 모습이 연출된다. 언제나 쿨시크한 자기 아빠, 존경하는 7대 호카게, 학교 선생님이 한꺼번에 망가지는 모습을 봐서 충격을 받은 느낌이다. 보루토의 스토리 총감독인 코다치 우쿄가 사라다의 미래는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는 발언을 한 적도 있다. 그런데 사스케 열전에서 사라다가 과학에 관심이 많다는 묘사가 나오기도 했고 우쿄가 건담물이나 SF물에 참여한 전적이 꽤 있어서 사라다의 스사노오를 건담처럼 만들고 싶어서 그런 말을 한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왔다. 관련 커플링 팬덤인 보루사라 팬덤이 매우 세력 크고 견고하기로 유명하다(…) 한국에서만 대놓고 열세지 해외로 가면 거의 대새 수준. 서양 보루사라 팬덤은 말이 많이 나오지만[* 보루사라만 그런건 아니다. 보루스미 쪽도 열세라 상대적으로 조용하지 취좆이 제로는 아니다] 국내 보루사라 팬덤이나 일본 보루사라 팬덤은 다행히(?) 이쪽으론 조용한 편다.[* 국내는 세력 자체가 작은 것도 있고, 일본 쪽은 세력이 크지만 조용하다] 서양팬덤이 컾링 상관없이 말이 많긴해도 모든 서양팬덤이 말이 많은건 아니며 보루사라 팬인데도 스미레 안티 안 하고 싫어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조용히 덕질하는 양덕 보루사라 팬덤도 있다. 일부 팬덤에겐 은근 소재 측면에서 작품의 [[보루]]로 여겨지기도 한다. 주인공 보루토는 아직 애니에서도 코믹스에서도 덜 풀린 오오츠츠키나 카마 건을 제외하면 아버지와의 관계성 등 떡밥은 이미 많이 풀렸고 과거편으로도 소비돼서 상대적으로 풀만한 소재가 줄어든 와중인데, 사라다는 [[우치하 일족]]이라는 희대의 인기 소재(...)가 존재하다보니 팬덤 내에서도 이 건을 어찌 다루는가에 대해 논의가 많이 오가며 그만큼 기대도 받고 있다.[* 게다가 보루토가 나루토 소년전 시절로 건너간 그 타임슬립 에피소드마저 팬덤에선 절대적으로 옹호적인 반응을 끌어내지 못하고 호불호가 꽤나 갈리는 중인데다가 다 떨어져나가던 팬덤이 확 늘었다는 반응도 오지 않았다. --그저 잠깐 반짝했을 뿐...-- 실제로 2020년 3월 기준으로 보루토의 인기나 인지도는 일본, 한국에선 볼 사람만 본다 수준이며 양덕들이 그나마 좀 더 반응이 좋은 편이다. 그런다고 오리지널 에피소드들의 반응이 별로 좋았던 것도 아니기에 제작진 측에서도 올드팬들을 끌어모을법한 전작 인기소재를 반드시 또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서 팬덤이 사라다 - 우치하 진상 관련 전개에 매달리는 경향이 있는 편이다.][* 그러나 우치하 쪽 진상 문제로 가면 전작 전체를 써먹어서 시전했던 이타치와 나뭇잎의 우치하 학살 미화 + 정당화 문제가 도사리고 있기에 일부 팬덤은 다뤄봤자 과거 사스케가 그랬던 것처럼 좀 흑화해서 어그로 끌다가 아군들 [[풍둔 주둥아리술]]에 감화되어 돌아오면서 이타치와 마을이 저지른 우치하 학살의 폐단을 납득하고 옹호해버리는 전개가 되는게 아닐까 우려하기도 한다. 가능성이 높은게 보루토 시점에 와서 우치하 학살을 나루토 시절보다 더 강도높게 비판하면서 이타치와 마을을 대놓고 까내리거나 하면 전작비하를 저지르는 셈이 되는데다가 세력이 큰 나루토의 이타치 팬덤의 눈치까지 더 심하게 보게 되는 수가 있다. 거기에 더해 이타치의 행적에 대해 비판의식을 확고하게 가지고 이를 드러내는 팬덤은 나루토 후반부가 많이 까이는 2020년 기준으로도 전체 팬덤 대비 매우 소수인지라(…) 신경쓸 가치가 보이지도 않을 것이다. (이타치는 다른 캐릭터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나쁜 의미로 재평가받거나 인기만큼 있는 안티에 시달리는 와중에도 비판이나 안티/견제팬덤이 거의 없다는 방면에서 유명한 캐릭터이다. 즉 절대적 옹호 계통 팬덤의 세력이 매우매우 강한데다 나루토 팬덤 내에서도 그 규모--와 분탕질--가 엄청나다. 즉 이런 캐릭터의 팬덤의 심기를 거스르는 짓을 했다간 무슨 일이 날지 자명하다. 당장 제작진들이 전에 그토록 너프를 대놓고 반복하던 사쿠라마저도 인기캐라는 이유와 사스사쿠 커플링이 대메이저여서 돈벌이 된다는 이유 하에 눈치봐가며 챙기는 중인데, 이전부터 안티도 거의 없던 인기캐인 이타치를 건드릴까? --애초에 나서서 미화한 애들 중 하나가 제작진이잖아--) 즉 제작진들 입장에서 이제와서 우치하 쪽이 마을의 희생양이라는걸 좀 더 강하게 명시하고 이타치와 마을의 우치하 학살 미화와 정당화를 까봤자 크게 얻어낼 것이 없다. 사실 이런 거 따지기 전에 마을의 또다른 적폐가 만들어낸 사단인 [[시가라키 타누키]]와 [[시가라키 스미레]] 부녀의 테러 미수조차도 묻어버리고 적폐 청산 실패에 대해서도 전혀 반성 없이 그저 덮어버리기만을 시전하고 그게 옳다는 식으로 나간 것이 보루토 시점의 나뭇잎 상층부이고 그걸 그리 연출한게 제작진들인지라, 우치하 사변 관련 적폐와 진상 은폐도 제대로 다뤄질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그 전에 스토리 작가 쪽은 오오츠츠키 떡밥 전개에 더 집중하고 있고 그걸 위해 세부적인 묘사는 그냥 거의 다 쳐내면서 애니팀에게 보충을 떠넘기는 수준이다. 그래서 코믹스에서 우치하 소재를 다뤄봤자 그냥 사라다 강화용이나 일종의 환기성 에피소드 정도로 대충 다루고 넘어갈게 뻔하다는 의견도 제법 강하다. 그나마 방영회차를 을궈먹기 위해서라도 오리지널 전개를 듬뿍 넣어서 질질 끄는 애니팀이 --돈을 위해서라도-- 우치하 관련 에피소드를 좀 더 자세히 다뤄줄 일말의 가능성이 있긴 하다.] 첫등장 당시에는 사스케의 포지션으로 보여졌지만 현재는 그 포지션이 카와키에게로 넘어갔고 의료닌자로서의 모습은 사라다가 아닌 미츠키에게 있어, 사라다의 포지션은 전작의 사스케나 사쿠라가 아닌 사이 혹은 카카시라는 설도 있다. 그러나 카카시 포지션으로 가면 일단 애들 담임인 코노하마루가 버젓이 버티고 있어서 사이 포지션이 될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있다.[* 일부 팬덤은 사라다가 사이 포지션이 될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싫어한다. 전작 나루토에서 사이의 취급이 7반 맴버 치고는 별로 좋지 못한 곁다리 신세에 최후반 전개에서 묻혀버린 것 때문에 그 전철을 답습할까봐 그런듯. --아니면 미츠키와 사라다 모두 사쿠라 + 사이 포지션이 되어 함께 겉도는 전게가 될지도 모르지-- 취소선이 그어지긴 했지만 코믹스는 상당히 철저하게 보루토와 카와키 투톱으로 가기에 자연히 나머지 7반 맴버(사라다, 미츠키, 코노하마루)는 쩌리화될 우려가 완전히 부재하는건 아니다. 오히려 쩌리화로 치자면 사라다보다도 미츠키가 더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도 있는데 그야말로 애니에선 주구장창 보루토 바라기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수준으로 묘사되는데다 코믹스에서도 이름도 제대로 안 불리고 넘어가는 경우가 몇 번 있는 등 미묘하게 취급이 좋지 않다. --카카시보다도 인상 옅은 코노하마루보단 낫지만…도찐개찐 될지도 모른다--] 히로인적 측면에서도 위태롭다는 분석을 하는 이들도 있는데 작중 주요 악역이자 스토리 줄기를 쥔 오오츠츠키와 현재로써 더 관련될 가능성이 깊고 중요하게 다뤄질게 확정난 캐릭터는 서브히로인 [[카케이 스미레]]이며 연애플래그 쪽에서도 서로 감정이 애매하기 그지없는 보루토-사라다와 달리 스미레는 일방적으로 보루토를 짝사랑하다보니 비중이 사라다에 비하면 한없이 낮아도 연애적 히로인으로써도 꾸준히 주목받으며 전작 히나타처럼 비중 대비 인기가 상당한 편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여러모로 제대로 된 포지션을 차지하기 힘든 상황이라는 분석까지 존재한다.[* 라이벌이나 투탑 주인공 체제는 이미 카와키의 포지션이 되었고 적측과 스토리적으로 얽힐 중요 여캐 + 연애적 히로인 포지션은 스미레에게 뺏길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존재감까지 줄어든다면 정말 나쁜 의미에서 사이나 사쿠라 취급이 될 위험이 있다. --마침 둘 다 서사에서 겉도는 경향성이 컸다.-- 그래도 사쿠라 취급이라도 받으면 적어도 끝까지 주역 캐릭터로 인정받고 결말때 잠깐이라도 큰 역할을 맡을 수 있기라도 하지, 사이 취급이면 답이 없다.] 게다가 전작 히로인들은 적어도 스토리적 히로인과 연애적 히로인 자리가 철저히 분리되었기라도 하지만, 보루토에선 스미레가 그 두 자리를 모두 차지해 사라다는 완전히 밀려난다는 추측도 있다. 스미레는 지속해서 보루토와의 연애 플래그가 묘사되고 오오츠츠키와 관련된 떡밥들[* 과학 닌구는 오오츠츠키에게 대항할 무기로 어필되는데 스미레는 과학닌구반 소속, 카마와 연관성이 있어보이는 우두천왕의 문신이 손바닥에 남아 있음, 카구야의 짐승인 누에를 소환하고 다룰 수 있음]이 나오는 반면, 사라다는 원래 있었던 보루토와의 연애플래그도 다 삭제되는 중이며 부계가 오오츠츠키 방계라는 것쯤만 빼면 오오츠츠키와의 접점도 없다. 그나마 접점을 올리려면 아빠처럼 윤회안을 얻거나 엄마처럼 음의 봉인이라도 얻는 수밖에 없는데, 그동안 제작진들이 유구하게 벌여온 캐릭터 편파를 생각하면 사라다가 스토리 중점으로 활약할 건덕지를 남겨둘 지도 미스테리다. 게다가 음의 봉인은 그 되기가 매우 까다롭다는 의료닌자들중에서도 톱클래스 상위 0.00001%도 갖기 버겁다는 기술인 만큼 의료인술에 재능 없는 사라다가 터득할 수 있을 리가 없다. 게다가 윤회안이나 스사노오, 백호의 술 같은걸 들고와도 상대하기가 정말 어려웠던 전작의 카구야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급으로 간주되는 본성 오오츠츠키들이 우후죽순 나올 가능성이 높은 추후 전개에서 그걸 모두 다 얻어봤자 파워인플레 따라잡을까 말까인데 그 이하 혹은 미만의 버프도 제대로 해주지 않을 것 같아 더욱 걱정된다는 반응도 제법 나온다.{{{#!folding 스포일러 가장 최근의 오오츠츠키 일족인 [[오오츠츠키 잇시키]]의 경우 윤회안 + 완전체 스사노오를 쓰는 사스케마저도 미각성 상태에서 가볍게 상대할 정도의 저력을 보여주는데 이놈 포지션이 겨우 중간보스다. 즉 뒤로 가면 갈수록 적들의 파워인플레가 천정부지로 치솟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며 아군이 약점찾기식으로 간다고 해도 배틀물일 이상 파워 인플레는 필연적인데 여기서 그 수혜를 제대로 받는 캐들과 제대로 받지 못하는 캐들의 격차가 심하게 벌어지는건 가히 이 장르의 고질적 클리셰이다. 당장 전작의 7반 내에서도 사쿠라와 영만경 얻기 전 카카시가 나루토랑 사스케에 비해 심하게 뒤쳐지게 되었는지 생각해보자. 다 파워인플레를 못 따라잡아서 그런다(...) 심지어 사쿠라는 그저 머리와 차크라 컨트롤 실력, 그리고 노력으로 음의 봉인 + 백호의 술까지 얻었는데도 혈통환생미수/눈깔빨이 더해진 나루토와 사스케를 끝끝내 못 따라잡았다. 사실 사쿠라나 --[[우치하 오비토|친구]][[카무이(나루토)|버프]]로 잠시 뽕 크게 뽑은-- 임시 영만경 카카시 쯤이면 그나마 나은거고 완벽하게 파워인플레에서 뒤안길 신세가 된 끝에 후반엔 존재감마저 실종당한 사이와 야마토를 생각해보면...}}} 실질적인 스승이 누가 될지에 대해서도 의문. 팬덤에선 나루토/사스케/사쿠라/카카시 쪽이 스승이 되길 바라는 의견이 많지만 어째서인지 [[오로치마루]] 쪽이 될 것 같다는 추측이 제법 있다. 물론 팬덤에선 이에 대해 꽤 호불호가 엇갈리는 편이다. --그야 전작의 사스케랑 오롱이 관계를 생각해보면 팬덤이 안 달가워할만도 하다...--[* 게다가 오로치마루는 특유의 나루토 결말 때의 과잉선처 논란 때문에 팬덤 내의 평가가 엄청나게 추락해버려서 다른 캐와 긍정적으로 엮이거나 띄워지는걸 싫어하는 팬덤이 많다. 특히 주역과는. 게다가 사라다와 오로치마루가 엮이면 또 주역캐의 스승버프랍시고 옹호나 미화연출이 나올까봐 극혐하는 팬덤도 제법 된다.] 보루토, 미츠키와 함께 일본 신화 속 신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나루토의 등장인물들 중 일부가 신화 속 인물의 이름을 따온 전적이 있기에 무시할 수 없는 추측이다.] 사라다의 경우 [[아마테라스]]를 모티브로 삼았다는 추측이 있으며, 보루토의 모티브로 추정되는 [[스사노오]]와 미츠키의 모티브로 추정되는 [[츠쿠요미]]와 함께[* 미츠키는 자주 달에 대비되고 이름도 달이며 포지션도 보루토의 달을 자처하는듯한 포지션이어서 아무리봐도 츠쿠요미 확정.] 삼귀자에 해당하는 신이다. 사라다가 아마테라스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에 대한 추측으로는 그녀가 삼귀자 신 중에서 유일한 여자라는 점과[* 아마테라스는 명백하게 여신으로 묘사된다.] 보루토의 모티브로 추정되는 스사노오와 남매 관계라는 것[* 보루토와 사라다는 실제로 남매 관계가 아니지만 둘다 나루토와 사스케를 골고루 닮았다는 점에서 유사남매 관계로 봐도 무방할 듯하다.], 그리고 아마테라스가 태양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보루토 작 내에서는 보루토가 태양인 것처럼 나오지만, 마사시가 그린 사라다의 만화경 사륜안 디자인이 태양이란 점을 감안하면 그녀가 태양일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사라다는 사람들을 앞에서 이끄는 호카게가 되는게 꿈이고 보루토는 이를 보조하는 존재가 되는게 꿈인데 아마테라스와 스사노오의 포지션을 생각해보면 꽤 들이맞는다.] 과거엔 보루사라 팬덤과 보루스미 팬덤 사이 취좆발언이 전무하진 않았다. 보통 남초에서 많이 나왔고 사라다가 사쿠라 딸이라고 안경캐라고 까면서 스미레 올려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사라다 까는건 스미레 등장전부터였다. 중간에 스미레가 등장해 어쩌다보니 꼈을뿐] 2020년을 기준으론 음지가 아니면 거의없다. 취좆이 많았던 남초도 이제 보루토 그 자체에 대해선 히로인 쟁탈전 따윈 알 바 아니라는 취급이나 하고 있고 여초는 음지에서나 드물게 올라온다. 일본 쪽다 매한가지로 한국처럼 각자 파고싶은거 파는 분위기다.[* 애초에 양덕에 비해 한국, 일본 쪽은 보루토 팬덤 자체가 많이 탈주했고 --지금도 사실 전작캐 캐붕 등 사고 한 번씩 터지면 탈주하고-- 거의 팔 사람만 파는 수준으로 남아 (나루토에 비해) 중소규모 팬덤을 이룬 수준에 가까운데다 취존 문화가 발달해있어서 가끔 마찰이 일어나기는 해도 맨날 세력전을 해대는 수준으로 싸우지는 않는다. 그리고 보루스미랑 마찰을 일으키는 안티가 꼭 사라다나 보루사라 팬도 아니고 순수하게 스미레 안티인 경우도 간혹 있다. 이건 사라다나 보루사라 안티도 마찬가지이긴 하고.] 그래서 한국내에서나 일본내에서 보루토 커플링 싸움이 벌어지거나 한국과 일본이 서로 히로인 견제질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가끔 스미레 안티가 스미레 팬과 싸울때 사라다 문제를 걸고 넘어지기는 하지만 모든 스미레 안티가 무조건 히로인 견제질 전개로 가지는 않는다.] 서양 팬덤과는 드물게 논란이 있었다.[* 최근엔 가라앉아서 서로 무시하는 수준] 초반엔 사라다 외전 정도를 제외하면 비중도 좀 애매하다는 반응이 있었는데다 캐붕이 여러 번 벌어지기도 했고 중닌 승급 기회를 사스케 때문에 '''날려먹어서''' 제작진에 의해 사쿠라 너프 + 안티 계보를 밟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많이 있었다.[* 참고로 나루토 제작진은 [[하루노 사쿠라]] 항목에도 나와있듯이 사쿠라를 아주 싫어해서 작정하고 너프먹이는건 물론 공식석상에서도 후러치기를 시전하는 등 나서서 편파질하기로 악명높은 전적이 있다.] 마도카 텐도 에피소드에서도 코믹스보다도 전투씬 너프를 한 번 먹긴 했다(…)[* 다만 다른데서도 써져있듯이 이건 작화에 쏟아부을 예산부족 문제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다만 방영 후반으로 갈수록 작정하고 제작진이 캐붕내면서 어그로끄는 묘사는 확연히 줄어들기 시작했고 여캐들 중에서 분량과 비중 하나는 많이 챙기는 중. 게다가 굿즈에서도 보루토 캐들 한정으로 보면 가장 잘 밀어주는 여캐가 바로 사라다인데, 제작진이 정말로 사라다에 대해선 관심이 없거나 싫어한다고 쳐도 일단 현 시점에선 제일 돈이 잘 벌리는 캐다보니[* 나루토 완결 이후 보루토에서까지 세력이 엄청나게 큰 사스사쿠 팬덤이 보통 사라다도 함께 파고 사라다 굿즈도 잘 질러주고 사라다 인기투표에도 화력지원을 하는 등 이 캐를 대단히 아끼고 관심을 많이 가져주기 때문이다. 즉 '''확실히 돈이 된다'''. 게다가 나루토 보루토 굿즈 등에선 과거 잘 안 밀어주던 사스사쿠나, 공식도 아니고 그냥 팬덤 내에서나 흥하던 2차발 비엘 커플링 카카이루 같은 것도 돈이 된다는걸 사스케 열전과 카카시 열전에서 인지했는지 (참고로 저 두 커플링의 팬덤이 주로 여덕들인데, 장르야 노말과 비엘로 확연히 다르지만 그 그룹들 내에선 규모도 크고 반응도 활발하고 결정적으로 잘 지른다) 이 뒤로 사스사쿠 카카이루 조합을 이전에 비하면야 눈에 띄게 밀어줘서 공식이 (돈 되니까) 동인 눈치를 슬슬 보기 시작했다는 의혹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아까워서라도 밀어준다는 의견이 비꼼 반 한숨 반으로 제법 있다.[* 애초에 굿즈 등에서 밀어준다고 쳐도 과거 캐붕이나 비중의 애매함 등을 잘 인지하는 사라다 팬덤은 코믹스 제작진이고 애니팀이고 사라다를 별로 아끼지도 않고 나중에 슬쩍 쩌리화시킬 수도 있다는 의혹을 강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거에 무조건 긍정적으로 반응하진 않는다. 이전의 사쿠라도 주역이니 굿즈 등으로도 어필은 잘 했지만 애니팀에서 엄청나게 후러침을 당했던 전적도 있고. 그래도 질러주긴 열심히 질러주지만(...)] 팬덤에선 제작진들 측에서 별로 애정이 없는 캐라고 여겨서 미츠키, 코노하마루와 함께 미래를 걱정하는 반응이 제법 된다(…)[* 주인공 보루토야 어쨌든 주인공이라는 이유로 몰빵전개 하나는 확실히 챙겨가고 있고, 코믹스 제작진이 스작 그작 할 거 없이 주인공 포함 다른 캐들은 재미없게 다룰지라도 카와키는 서사고 작화고 잘 챙긴다는 의견이 우세하며, 애니팀의 경우 이전에 사라다를 여럿 캐붕낸 전적과 미츠키는 단순하게 보루토무새화, 코노하마루도 카카시 포지션이면서도 존재감 옅음 문제가 자꾸 팬덤 내에서 지적되는 와중에 아끼는 캐는 스미레라는 티를 공식석상 발언으로 해버렸기 때문이다.] 특히 코믹스에서 좀 괜찮게 나온 연출마저도 너프시키는 애니 쪽에 불안과 불만을 가진 팬덤이 상당하다. == [[우치하 사라다(NARUTO TO BORUTO: SHINOBI STRIKER)|시노비 스트라이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치하 사라다(NARUTO TO BORUTO: SHINOBI STRIKER))] == 관련 문서 == * [[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등장인물]] * [[우치하 일족]] [[분류:나루토/등장인물/나뭇잎 마을]][[분류: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등장인물]][[분류:나루토/등장인물/우치하 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