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이빙 선수/경력]]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우하람)] [목차] == 개요 == [[우하람]]의 선수 경력을 다룬 문서 == 어린 시절 == 초등학교 1학년 때 학교 방과후 수업으로 다이빙을 배우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하고 있다. 당시 만났던 홍명희 코치는 우하람이 고등학생 때까지 계속 [[https://www.youtube.com/watch?v=YdqH6iqOrj4&t=11m43s|지도하였다.]] ==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 은메달 1개와 동메달 3개를 획득하였다. 개인전 메달의 경우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이선기의 동메달 이후로 28년 만이며, 1m 스프링보드 메달은 [[http://m.star.mt.co.kr/view.html?no=2014100121085141595&outlink=1&ref=https%3A%2F%2Fko.m.wikipedia.org&ref=https%3A%2F%2Fko.m.wikipedia.org|대한민국 최초]]다.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3m 스프링보드는 예선에서 탈락하였으나, 10m 플랫폼은 대한민국 다이빙 선수 최초로 결선에 진출하여 11위를 기록하였다.[* 여담으로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이 끝나고 진행한 인터뷰에서 올림픽 결승 진출이 [[https://youtu.be/mRuwiBgcJMw|목표]]라고 하였다. 10위 안에는 들지 못하였으나 목표는 이루었고, 이 일을 계기로 국민들의 관심이 시작되었다.] 또한 이 결선 진출은 '''대한민국에서 리우 올림픽 수영 종목에 출전한 선수들 중 유일한 결선 진출'''이기도 하다.[* [[박태환]] 조차 출전한 모든 종목 예선에서 전부 탈락하였다.] == [[2017 타이베이 하계 유니버시아드]] == 팀 은메달, 싱크로나이즈드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1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2019 세계선수권]] == 1m 스프링보드에서는 결승에 진출해 4위에 올랐고, 3m 스프링보드에서도 결승 진출에 이어 다시 4위에 오르면서 [[2020 도쿄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 [[2020 도쿄 올림픽]] == * 싱크로 10m 싱크로나이즈드 10m 플랫폼 결선에 [[김영남(다이빙)|김영남]]과 함께 출전해서 7위를 기록했다. 메달권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대한민국 최초 싱크로 결선 진출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 스프링보드 3m 3m 스프링보드 예선에서 1~3차 시기 모두 성공적으로 다이빙을 성공하며 [[https://youtu.be/77coW1Nkjdw|예선 5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https://youtu.be/pmi83RawAx8|12위]]를 기록하며 극적으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결선에 오른 12명 중 전체 첫 번째로 진행했고, 총점 481.85점으로 [[https://youtu.be/WEag3YcnzyE|최종 4위]]를 기록했다. 이는 대한민국 다이빙 역사상 최고 순위다. 대회가 끝나고 진행된 인터뷰에서 3m 스프링보드에 집중한다고 밝혔다. ---- * 플랫폼 10m [[https://youtu.be/D9NbaNjkqIM|10m 플랫폼 예선]]에 출전하여 7위로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7일 준결승에서는 16위를 기록하여 결승진출에는 실패하였다. 3차 시기에서 80점, 5차 시기에서는 무려 '''90점'''을 받았지만 4,6차 시기에서 큰 실수를 하며 순위가 미끄러졌다. == 2022년 == * 제103회 전국체전에서는 [[김지욱]]과 짝을 이루어 '복귀전' 싱크로 3m에 나섰으나 4위에 그쳐 메달이 무산되었다. 올림픽 이후 복귀전이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008035700007?input=1195m|#]] == 2023년 ==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싱크로 3m 스프링보드에서 은메달, 1m 스프링보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