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시아의 수도)] [include(틀:몽골의 행정구역)] ||<-2>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출력= )] '''{{{#000 [[몽골|{{{#000 몽골}}}]]의 수도, 최대 도시}}}''' || ||<-2><#d91e31> {{{#fff '''{{{+1 울란바토르}}}'''[br]'''Улаанбаатар | ᠤᠯᠠᠭᠠᠨᠪᠠᠭᠠᠲᠤᠷ | Ulaanbaatar'''}}} || ||<-2>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파일:울란바토르 시기.svg|width=100%]] || [[파일:울란바토르 엠블럼.svg.png|width=45%]] || ||<#ffd900> '''{{{#d91e31 깃발}}}''' ||<#ffd900> '''{{{#d91e31 문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몽골 울란바토르, 너비=100%, 높이=100%)]}}} || ||<#0065b3>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몽골)] || ||<#0065b3> '''시간대''' ||UTC+8 || ||<#0065b3> '''면적''' ||4,704.4㎢ || ||<#0065b3> '''인구''' ||1,612,005명^^(2021년)^^ || ||<#0065b3> '''인구밀도''' ||307명/㎢ || ||<#0065b3> '''시장''' ||Dolgorsürengiin Sumyaabazar || ||<-2><:>[[http://www.ulaanbaatar.m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_ulaanbaatar, 크기=23)] [[https://www.facebook.com/ulaanbaatar.m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https://www.youtube.com/user/MongoliaUlaanbaatar/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흐바타르 광장1.jpg|width=100%]]}}} || || '''[[수흐바타르 광장|{{{#fff 수흐바타르 광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복드칸 겨울궁전1.jpg|width=100%]]}}} || || '''[[복드 칸 겨울궁전|{{{#fff 복드칸 궁전 박물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루스카이 타워.jpg|width=100%]]}}} || || '''[[블루스카이 타워|{{{#fff 블루스카이 타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373743541.jpg|width=100%]]}}} || || '''{{{#fff 울란바토르 도심 일대의 모습}}}''' || [clearfix]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tQUqxkz7ZY)]}}} || || '''Улаанбаатарын үдэш (올랑바트린 우데슈: 울란바토르의 저녁)''' || '''{{{-1 Улаанбаатар, ᠤᠯᠠᠭᠠᠨᠪᠠᠭᠠᠲᠤᠷ(몽골어) / Ulaanbaatar, Ulan Bator}}}''' [[몽골]]의 [[수도(행정구역)|수도]]. 도시명은 [[몽골어]]로 ''''붉은 영웅''''이라는 뜻이다.[* 몽골 바로 위에 있는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의 중심도시가 [[울란우데]] 인데 '붉은 우데 강'이라는 뜻이다. 러시아에 사는 [[부랴트인]]들도 [[몽골어족|몽골어계]] 민족들이기 때문에(다만 원래 '가까운 종족'들이 늘 그렇듯 부랴트족과 할하 몽골족의 사이는 대체로 안 좋은 편이다.) 언어가 비슷해서 '붉다'는 어휘가 겹친 것. 그 외에 중국에도 적봉시(울란하드, 붉은 봉우리), 우란하오터(울란호트, 붉은 성) 등도 비슷한 지명이다.] 인구는 2021년 기준 161만 2,005명으로[* 참고로 2021년 기준 몽골 인구는 약 341만명이다.] 몽골 인구의 [[종주도시|거의 절반 가량이 거주]]하는, 압도적인 몽골 제1의 도시다. 제2의 도시인 [[에르데네트]]의 인구가 불과 10만여 명인걸 고려하면 어마어마한 격차란 것을 알 수 있다.[* 그나마 이 에르데네트도 큰 광산이 있어 [[몽골 인민 공화국|옛 공산주의 국가였던 시절]] [[러시아인]]들이 많이 넘어와서 몽골 지방도시치고는 나름대로 커진 도시이다. 이를 감안하면 [[몽골인]]의 기준에서 몽골이라는 나라 전체에 '도시'는 울란바토르 하나 밖에 없는 거나 마찬가지.] 지금도 이상 기후와 환경 파괴 등으로 [[유목]] 생활이 힘들어진 [[유목민]]들이 대거 [[이촌향도|몰려들며]]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때문에 울란바토르의 외곽 지역에는 이른바 게르촌이라 불리는 조잡한 가옥과 몽골식 [[천막]] [[게르]]가 뒤섞인 거대한 [[슬럼]]가가 있다. 전국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유목민들이 도심 지역의 비싼 집값을 감당하지 못해서 외곽에 게르를 치고 살고 있기 때문이다. 게르 가격이 비싸다고 해봐야 월세로 사는 것보다는 훨씬 싸게 먹히는데다가[* 2020년대 초반 기준 평균 200~300만원 정도라고 한다. 싼건 30만원대도 있고, 럭셔리 게르는 천만원 정도 한다고. 참고로 울란바토르 시내 제법 좋은 입지의 24평짜리 아파트는 1억 후반대 정도라고 한다.] 소유자가 불분명한 공터에 게르를 지으면 임대료 걱정을 할 필요도 없다.[* 몽골에는 사유지란 개념이 없다. 인구밀도가 원채 낮아 땅이 펑펑 남아돌기도 했고 유목생활 특성상 주거지를 수시로 옮기는 것이 당연시 되어왔기 때문에 일부 정주민을 제외하면 땅을 소유한다는 개념이 없었다. 이 당시 몽골에서 부자의 기준은 가축을 얼마나 많이 소유하느냐에 달렸지 땅을 얼마나 많이 가지느냐에 달려있지 않았다. 근대화 이후로는 [[몽골 인민 공화국|공산주의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유지라는 개념이 들어서지 못했다. 지금도 몽골의 모든 토지는 국가의 것이고,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것은 집(건물)이다.] 세계에서 가장 추운 수도로 알려져있다. == 명칭 == 통용 표기로는 울란바토르이지만, 이는 [[러시아어]] 표기(Улан-Батор)을 그대로 쓰는 것이며, [[몽골어]] 표기(Улаанбаатар / ᠤᠯᠠᠭᠠᠨᠪᠠᠭᠠᠲᠤᠷ)의 발음은 [ʊˌɮaːm‿ˈpaːʰtə̆r](오흘람바트르)에 가깝다. Л(로마자 L) / ᠯ 문자가 설측마찰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몽골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평범한 한국인이 들을 때 ㅎ 또는 ㅆ 으로 들린다고 하는 소리이다. [[티베트]]의 수도인 [[라싸]]를 [[로마자]]로 'Lhasa'로 표기하는데 [[티베트어]] 로마자 표기의 lh가 몽골어의 이 소리와 비슷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울란바토르라는 이름을 쓰고 있으니 본 문서에서는 울란바토르로 표기를 통일한다. 종종 УБ 혹은 UB라고 줄여쓴다. == 역사 == [[1639년]]부터 정식으로 [[역사]]에 등장한다. 처음에는 '우르거(ᠥᠷᠭᠦᠭᠡ, Өргөө)'라고 부르다가 18세기엔 '후레(ᠬᠦᠷᠢᠶ᠎ᠡ, Хүрээ)'라고 했다. [[중국어]]로 이를 음차해 쿠룬(庫倫)이라고 했고 '이흐 후레(ᠶᠡᠬᠡ ᠬᠦᠷᠢᠶ᠎ᠡ, Их Хүрээ)', '큰 후레'라는 식으로도 불렸다. 1910년대 [[복드 칸]]이 집권했을 때 '수도 후레', '성자의 후레'라는 식으로도 불렸다. 후레는 영어로 camp 정도의 뜻. 일단 앞의 우르거를 음차한 우르가(Urga)란 이름도 쓰인다. 과거에 중화민국에서 나온 영문판 세계 지도에서도 Urga를 사용하였다. 1919년 중국 [[안휘군벌]] [[쉬수정]]의 [[외몽골 출병]]으로 [[중화민국군]]이 진주했고,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였던 [[로만 폰 운게른 슈테른베르크]]에게 권력을 내주기도 했으나, 1921년 소련의 지원을 받은 [[담딘 수흐바타르]]가 군대를 이끌고 돌아와 이들을 축출하고 [[복드 칸]]을 복위시키면서 해방되었다. 이후 1923년 수흐바타르가 사망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1924년 지금의 이름인 울란바토르(ᠤᠯᠠᠭᠠᠨᠪᠠᠭᠠᠲᠤᠷ, Улаанбаатар)가 되었다고 한다.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인 1950년대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아파트를 비롯한 여러 건물들이 들어섰다. 이후 도시 자체는 이촌향도 등으로 큰 성장을 이뤄냈으나 동시에 사회, 환경, 교통 문제 등에 직면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인프라 == 인구 100만이 넘는 도시라 있을 건 다 있다. [[IMAX]]를 포함한 [[영화관]], [[클럽]]과 [[펍]], [[피자헛]], [[KFC]] 등도 두루 있다. 다만 한국과 다른 점은 공중화장실은 있는데 돈을 내야 한다. 급한 거라면 식당이나 카페에 들어가서 화장실을 이용해 보자. 하수구가 없어서 (자주 오진 않지만) 비가 한번 많이 오면 도시가 물바다가 되기 십상이다. 다만 지역 자체가 워낙 건조해서 와도 하루만 지나면 다 마른다. 굳이 배관시설을 따지자면 강 근처에서는 길가에 넘치는 물을 강가로 빠지게 한다는 정도. 2020년대 들어 한국인들이 처음 가면 놀라는 것 중 하나가 울란바토르 [[https://cboard.net/hit2/1312590|신시가지 일대]]는 한국과 크게 다를 게 없다는[* 참고로 울란바토르 도심부는 [[소련]]이 있던 시절 영향을 많이 받아 과거 [[모스크바]]와 비슷한 형태를 띄고 있다. 덕분에 시내에선 소련식 특유의 성냥갑 아파트인 흐루숍카(Хрущёвская квартира)를 심심찮게 볼 수 있고, 신시가지로 가면 한국식 성냥갑 아파트들이 나오는 편이다. 물론 상기했듯 도시 외곽엔 게르촌도 있다.] 점인데--[[동탄신도시|몽탄신도시]]--, 이는 한국 사업자나 기업이 몽골 유통업과 건설업 등에 제법 진출해있기도 하고, 몽골인들이 한국에 많이 일하러 오기 때문에 이들이 몽골로 돌아간 이후 필요에 의해 한국식 인프라를 몽골에 많이 주입시켰다고 한다.[* 한국 건설업계에서 일하다 돌아온 몽골인들도 꽤 많아 한국식 건물 시공 경험을 가진 인력도 제법 풍부한 편이라고 한다.] 때문에 한국식 [[노래방]], [[찜질방]], [[PC방]]도 있으며, 심지어 [[한류]] [[드라마]]를 보고 따라한 [[포장마차]]도 있다. 한국 편의점 브랜드 [[CU]]도 많이 있으며[* 몽골 전체로 따지면 2023년 기준 300호점을 돌파했다고 하며, 편의점 시장 점유율 1위라고 한다.], [[GS25]]와 일본 계열 편의점인 [[서클 K 선쿠스|Circle-K]]도 곳곳에 있다. МАРКЕТ(로마자 Market)나 Хүнсний Дэлгүүр[* ᢈᠦᠨᠡᠰᠦᠨ ᠦ᠋ ᠳᠡᠯᢉᠡᢉᠦᠷ. '훙스니 델구르'로 발음하며 식료품 가게라는 뜻이다.]라고 써있는 곳들은 음료수와 과자 등을 팔며, 한국 라면이나 과자도 값이 비싸기는 하지만 구입은 어렵지 않다. 당연히 한국식당도 많이 들어서있기 때문에 비빔밥, 불고기, 갈비, 제육볶음 같은 [[한식]]도 생각보다 쉽게 맛볼 수 있다. [[탐앤탐스]], [[카페베네]] 등 한국 프랜차이즈 카페도 있다. 2016년 8월에는 [[이마트]]가 울란바토르 현지 기업에 로열티를 받는 [[프랜차이즈]] 형태로 진출했는데, 몽골 마트 중 최대 규모라고 한다. 이후에도 이마트가 2군데 더 진출하여 2020년대 초반 기준 울란바토르의 이마트는 3군데가 있다. 다만 [[티베트 불교|라마불교]]가 주류인 몽골의 종교 인구 특성상 기독교(개신교) 교회는 잘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몽골에서도 한국인 선교사들이 많이 교회를 개척해서 활동중이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개신교 인구가 늘고 있긴 하나 아직까지 인구대비 1~5% 내외의 소수종교이다. == 중심지 ==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IMG_8581.jpg]] 몽골 수도의 중심지 [[수흐바타르 광장]]. 이 광장 한가운데는 몽골의 독립영웅 [[담딘 수흐바타르]]의 기마상이 세워져있다. 수흐바타르 광장 연혁을 보면 재미있는 게, 담딘 수흐바타르가 이 도시로 개선할 때 말이 지금의 동상 자리에 오줌을 쌌고, 이걸 길조로 여긴 몽골인들이 그 자리에 말뚝을 박아놓았는데, 후에 도시정비사업을 하면서 이 말뚝이 발굴되어 말뚝이 있던 곳에 수흐바타르 동상을 세워두고 그 동상을 중심으로 광장을, 광장 북쪽에 몽골 국회의사당을 만들었다고 한다. 오늘날 국회의사당 건물 앞 중앙에는 [[칭기즈 칸]] 동상이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오고타이 칸]], 우측에는 [[쿠빌라이 칸]] 동상이 버티고 있다. 칭기즈 칸 정면에는 [[보오르추]]와 [[무칼리]]의 기마상이 서 있다.[* [[파일:external/i706.photobucket.com/7304838.jpg]] 1990년대 수흐바타르 광장 사진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원래는 칭기즈 칸 동상이 없다가 2000년대 중반 리모델링할 때 만들어놨다. 과거 공산주의 시절엔 묻혀지내던 칭기즈 칸이, 탈공산화 이후 몽골 민족주의와 함께 숭배 분위기가 점점 강해지면서 이런 현상도 나타난 것. 물론 정치권에서 이용하는 측면도 있다.] 현재 수흐바타르 광장은 울란바토르 최고의 랜드마크로 각광받으며, 각종 국가적 행사나 문화행사, 인기가수 콘서트, 웨딩사진 촬영지, 각종 크고 작은 시위 등의 장소로 잘 이용 중이다. [[파일:external/www.blueskytower.mn/1.jpg]] 광장 앞에는 [[http://www.blueskytower.mn/english/index.php/gallery|블루 스카이 타워]]라는 이름의 돛 형태의 커다란 빌딩이 있는데, 이 건물은 '''몽골에서 제일 높은 빌딩(105m)'''이다. 한국인이 100% 투자해서 만든 것이라고 한다. 현재 빌딩 소유자는 몽골 사업에서 손을 뗀 상태라고. 지금은 몽골 기업인 chono corporation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5성급 호텔인 '블루 스카이 호텔'이라는 이름으로 운영 중에 있다. 한국인이 만든 건물이라서 그런지 한국식 [[커튼 월]]로 마감해 익숙한 건물 풍경이다. 의외로 외국인들을 위한 시설들도 꽤 잘 되어 있어서 국제 학교와 아메리칸 스쿨은 물론 [[미국]]식 거주 단지도 작게나마 있다. 울란바토르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 음식점 '야인시대'[* 2000년대 인기 드라마였던 [[야인시대]]의 영향을 받은 것 맞다. 당시 몽골에도 야인시대가 수출되어서 어마어마한 인기를 끌었는데(당시 젊은 시절 [[김두한(야인시대)|김두한]] 역을 맡았던 [[안재모]]가 국빈으로 몽골에 초청을 받았을 정도) 그 영향으로 음식점 이름이 야인시대가 된 것.]도 이 수흐바타르 광장 앞에 있다. 야인시대 사장은 당연히 한국인이며 2호점도 있다. 야인시대뿐만 아니라 다른 한국 음식점들도 찾아보면 꽤 많고, 그외 한국 기업들의 간판도 눈에 띄는 편이다. 한국 과자나 음료수 같은 것도 찾아 볼 수 있다. [[남양주시]]와 자매 도시라 남양주 거리도 있고 이곳에 한국인이 창시한 국제UB 대학교도 있다. 선교 목적으로 창립된 기독교 계열의 대학으로 추정된다.[[https://www.ulaanbaatar.edu.mn/|#]] 울란바토르의 도심부는 그렇게 넓지 않아 넉넉 잡아 한나절이면 걸어서 구석구석 둘러볼 수 있다. 여행사에서 제시한 [[여행]]상품으로 울란바토르에 왔으면 도심 북서쪽의 [[간단 사원]]을 시작으로 하여 고궁 [[복드 칸 겨울궁전]]을 거치거나 인근(겨우 50 km 정도)의 테를지 국립공원으로 가는 게 주요 여행 코스다. == 기후 == ||울란바토르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 평균 || ||평균기온(℃) ||-21.6 ||-17.7 ||-8.7 ||1.2 ||9.7 ||14.9 ||16.9 ||15.4 ||8.9 ||0.4 ||-10.3 ||-18.7 ||-0.4 || ||강수량(mm) ||2 ||3 ||4 ||10 ||21 ||46 ||64 ||70 ||27 ||10 ||6 ||4 ||267 || 울란바토르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건조기후]]에 속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추운 스텝 기후(BSk) -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c)에 해당하는 날씨로 흔히 냉대 건성기후라고 말하는 기후이다. 연 평균 기온이 불과 '''-0.4℃'''로 [[한반도]] 전역을 통틀어 가장 추운 곳이라는 북한 [[삼지연시]] 연 평균기온(0.2℃)보다 조금 더 낮다. 한마디로 '''어마어마하게 추운 곳'''이다. 다만 습도가 낮아 체감 온도는 실제 온도보단 그나마 나은 편. 참고로 울란바토르의 위도는 북위 47° 55′[* 오스트리아 빈과 비슷하다.]로 생각보다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울란바토르의 최한월 평균기온은 무려 -21.6℃로 '''세계에서 가장 추운 수도'''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위는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로 이곳의 최한월 평균기온은 -17.3℃이고 3위는 [[캐나다]]의 [[오타와]]로 최한월 평균기온은 -10.8℃이다. 그러나 아스타나의 연 평균기온은 영상 3.5℃이고 오타와의 연 평균기온은 6.6℃로 '''연 평균기온이 영하인 수도는 울란바토르가 유일'''하다.[* 물론 수도로만 한정짓지 않으면 울란바토르보다 추운 도시들도 꽤 많다. 당장 한국에서 직항편이 있는 시베리아 [[야쿠츠크]]의 연중 평균 기온은 '''-8.8도'''다.] 울란바토르의 역사상 최저기온은 -42.2℃라고 한다. 반면 여름은 서늘한 편이다. 울란바토르에 사는 몇몇 교민들이 가장 좋은 점으로 꼽기도 할 정도. 최난월인 7월의 평균기온은 16.9℃로 서울의 [[5월]] 평균기온보다 조금 낮다.[* 울란바토르도 낮에 한창 더울 땐 30~33도를 넘어가는 경우도 간혹 있다. 다만 습도가 낮아 꽉 막힌 실내만 아니라면 그늘에만 가도 선선한 편이며, 무엇보다 일교차가 심해서 [[열대야]] 현상은 거의 없다.] 즉, 여름은 비교적 서늘하고 겨울은 무진장 추운 동네라고 할 수 있다. 울란바토르의 [[연교차]]는 38.5℃로 매우 큰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연 강수량은 고작 26.7cm에 불과해 매우 건조한 날씨를 띠고 있다.[* 한 예로 남북한 전역을 통틀어 가장 추운 곳인 [[삼지연시]]는 겨울에도 강수량이 1m는 넘는데 울란바토르는 10cm도 오지 않는다.] 이렇게 건조한 덕분에 체감 온도는 그렇게 낮지는 않다. 여름철에 습도가 높으면 체감 온도가 상승하여 실제 온도보다 더 덥게 느끼는데 반대로 겨울엔 습도가 높으면 체감 온도가 하락하여 실제 온도보다 더 춥게 느껴진다. 같은 -30℃라고 해도 한국에서의 -30℃를 생각하면 안 된다. 재밌는 점은 한국 부산의 영상 10도 의상이랑 울란바토르의 영하 -10도 의상이랑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는 한국인이 두껍게 입는 경향이 있기 때문도 있다. 그러니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어쨌거나 추운 것은 사실이니 [[방한]] 대비를 해두는 것이 좋다. 만화가 [[허영만]]도 몽골 여행 겸 작품 취재를 하러 갔다가 울란바토르 겨울 날씨에 기겁했다고 한다.[*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후기에 언급된 내용을 보면, 한국 한겨울 깊은 산에서도 잘버티던 등산화를 신고도 울란바토르에선 추워 현지인들이 신는 양털 겨울 신발을 사 신었더니만 확실히 나아졌다고 한다.] === 환경오염 === 겨울철에 심각한 [[대기오염]]을 겪고 있다. '''2016년 1월에는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3320㎍/m³를 찍기도 했다'''.[* 한국 기준으로 75㎍/m³을 초과하면 매우 나쁨이다. 중국 웬만한 곳도 200㎍/m³을 넘는 곳이 없다.] 대륙 한복판 1300미터 고지대에 들어선 도시이다보니 겨울엔 정말 추운데, 난방 인프라가 잘 갖춰져있지 않아서 게르촌에 거주하는 빈민들이 저렴한 생[[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제된 연탄에 비해 불순물이 많다보니 공해 배출이 많은 것은 당연지사. 더 가면 폐타이어, 폐플라스틱까지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게다가 도시가 [[분지]]에 자리잡고 있어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강수량이 매우 적어 빗물로 먼지를 씻어내기 어렵다는 자연적 조건도 대기오염에 한몫했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111808413470641|머니투데이 기사]]. 때문에 매년 수천명이 대기 오염이 원인인 '''호흡기질환, 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몽골의 넓은 평원과 맑은 공기를 예상한 여행객은 울란바토르의 탁한 공기에 기겁하기 일쑤. 봄엔 [[황사]]도 심한 편이다. 그렇기에 만약 울란바토르 [[여행]]을 간다면 가급적이면 [[여름]]에 가는게 좋다.[* 다만 한가지 유의할건 울란바토르를 발판삼아 다른 먼 지역까지 여행을 갈 경우인데, 2020년대 초반 기준 기차 일반실에 에어컨, 선풍기가 없는 상태라 여름 특히 낮엔 더울 수 있다. 버스는 에어컨이 달려있긴 한데 틀어줄 때도 있고 안 틀어줄 때도 있는 모양.] == 행정구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Ulan_Bator_subdivisions.png|width=500]] ||||'''시내에 위치한 구''' ||'''면적''' ||'''인구(2020)'''[[http://www.1212.mn/tables.aspx?tbl_id=DT_NSO_0300_002V4&BAG_select_all=0&BAGSingleSelect=_5_51101_51104_51107_51110_51113_51116_51119_51122_51125_511_0&YearY_select_all=0&YearYSingleSelect=_2020&viewtype=table|#]] ||'''행정구역''' || ||바잉걸구 ||Баянгол дүүрэг / ᠪᠠᠶᠠᠨᠭᠣᠣᠯ ᠲᠡᠭᠦᠷᠭᠡ ||23.9km² ||228,679명 ||23동 || ||바잉주르흐구 ||Баянзүрх дүүрэг / ᠪᠠᠶᠠᠨᠵᠢᠷᠦᠬᠡ ᠲᠡᠭᠦᠷᠭᠡ ||1,231km² ||364,684명 ||28동 || ||성긴해르항구 ||Сонгинохайрхан дүүрэг / ᠰᠣᠩᠭᠢᠨ᠎ᠠ ᠪᠠᠬᠠᠶᠢᠷᠬᠠᠨ ᠲᠡᠭᠦᠷᠭᠡ ||1,204km² ||331,642명 ||32동 || ||수흐바타르구 ||Сүхбаатар дүүрэг / ᠰᠦᠬᠡᠪᠠᠭᠠᠲᠤᠷ ᠲᠡᠭᠦᠷᠭᠡ ||213km² ||144,512명 ||20동 || ||칭겔테구 ||Чингэлтэй дүүрэг / ᠴᠢᠩᠭᠢᠯ ᠲᠡᠢ ᠲᠡᠭᠦᠷᠭᠡ ||90.0km² ||150,090명 ||19동 || ||항올구 ||Хан-Уул дүүрэг / ᠬᠠᠨ ᠠᠭᠤᠯᠠ ᠲᠡᠭᠦᠷᠭᠡ ||503km² ||191,603명 ||16동 || ||||'''시 외곽에 위치한 구''' ||'''면적''' ||'''인구(2018 추정)''' ||'''행정구역''' || ||날래흐구 ||Налайх дүүрэг / ᠨᠠᠯᠠᠶᠢᠬᠤ ᠲᠡᠭᠦᠷᠭᠡ ||690km² ||38,174명 ||7동 || ||바가노르구 ||Багануур дүүрэг / ᠪᠠᠭᠠᠨᠠᠭᠤᠷ ᠲᠡᠭᠦᠷᠭᠡ ||625km² ||28,956명 ||5동 || ||바가항가이구 ||Багахангай дүүрэг / ᠪᠠᠭᠠᠬᠠᠩᠭ᠋ᠠᠢ ᠲᠡᠭᠦᠷᠭᠡ ||156km² ||4,293명 ||2동 || ||||'''울란바토르''' ||'''4,700km²''' ||'''1,444,669명''' ||'''9구 152동''' || 하위 행정구역은 9개 구(дүүрэг / ᠲᠡᠭᠦᠷᠭᠡ)와 152개 동(хороо / ᠬᠣᠷᠢᠶ᠎ᠠ)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구에는 이름이 붙어 있고, 동에는 번호만 붙어 있다. 행정 구역상 구성이 특이한데, 구 9개 중에 바가노르와 바가항가이라는 [[월경지]]가 2곳 있다. 이곳은 과거 공산 시절 [[소련]]의 군사 기지가 있던 곳이며, 특히 바가노르는 크기도 크고 인구도 많은 데다가(2만) 몽골에서 가장 큰 유연탄 노천 광산이 있어 실질적으로는 거의 독자 도시라고 봐도 무방하다. == 경제 == 울란바토르는 몽골 국내총생산(GDP)의 약 2/3을 차지하는 [[몽골/경제]] 및 산업의 중심지다. 몽골의 규모가 있는 기업들은 거의 모두 울란바토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주요 몽골 기업으로는 MCS Group, Gatsuurt LLC, Genco, MAK, Altai Trading, Tavan Bogd Group, Mobicom Corporation , Bodi, Shunkhlai, Monnis, Petrovis 등이 있다.] 서비스업과 광업이 울란바토르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 교통 == === 항공 교통 === [[칭기즈 칸 국제공항]]이 이 곳의 관문이다. [[미아트 몽골항공]]의 메인 허브로 [[인천국제공항|인천]]을 비롯, [[김해국제공항|부산]], [[나리타 국제공항|도쿄(나리타)]],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 [[홍콩 국제공항|홍콩]],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모스크바]], [[베를린 테겔 국제공항|베를린]] 등에 취항 중이다. 그 외에 [[중국국제항공]]이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베이징]]에, [[아에로플로트]]가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모스크바]]에 취항한다. 자세한 사항은 [[칭기즈 칸 국제공항]] 참조. [[한국]] 노선은 정규편으로는 [[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노선, 차터편으로는 [[제주국제공항]] 노선이 운항 중이다. 그러나 [[대한항공]]이 알짜 노선 중 하나인 인천 - 울란바토르 노선의 요금을 비싸게 받고 있어서 논란이 많은 편. [[김해국제공항]] 노선은 2016년 6월 24일부터 [[에어부산]]이 정기편으로 취항해 [[부산광역시]]에서도 직항이 가능하다. 소요 시간은 서울발 약 3시간 30분, 부산발이 4시간 정도 걸린다. 2019년엔 [[아시아나항공]]도 운수권을 얻어 양대 항공사가 취항하게 되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657055|#]] [[터키 항공]]도 울란바토르에 정규 취항하며, 많은 [[터키인]]들이 사업이나 관광차 울란바토르를 방문한다. 내리지는 않지만 [[홍콩]]의 [[캐세이퍼시픽 항공]]의 [[미국]] 동부 노선[* [[뉴욕]], [[시카고]]. 그리고 2015년 신설된 [[보스턴 로건 국제공항|보스턴]] 노선.] 및 [[캐나다]] [[토론토]] 노선이 울란바토르 상공을 지나 [[내몽골]]과 [[베이징시]], [[허난성]], [[후난성]], [[광둥성]]으로 이어지는 [[중국]] 종단 루트로 [[중국]] 본토를 거쳐 [[홍콩 국제공항|홍콩]]으로 향하기도 한다. [[북극]]을 찍은 뒤 [[사하 공화국]] 영공으로 진입하고 다시 [[바이칼 호]]나 [[내몽골자치구]]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으로 간 뒤 [[중국]]을 거쳐 가기 때문이다. [[몽골]] 및 [[중국]], [[러시아]]의 관제 능력이 매우 딸렸던 첫 개설 시기[* 현재도 몽골이나 러시아 관제사들은 영어를 못 하고 [[러시아어]]로 교신한다. 중국 내몽골로 들어가면서부터 관제사들이 영어가 된다.]에는 말 그대로 초긴장 상태로 갔으나, 현재는 주변국에서 관제 시스템을 손 봐줘서 잘 다닌다. [[대한항공]]도 [[북아메리카]] 동부 노선에서 북극항로를 타려고 [[칭기즈 칸 국제공항]]의 관제를 손봐줬고 이게 인천 - 울란바토르 노선의 대한항공 독점에 기여하기도 했다. 다만 [[난기류]]가 전 세계적으로도 심한 지역이다. 외몽골의 테셩쳉겔에서 세계 최고 기압이 관측되기도 했을 정도로 기압이 높아 바람이 많이 분다. 국적기인 [[미아트 몽골항공]]이 [[홍콩 국제공항|홍콩]]에 들어간다. 반면 외몽골인들도 [[홍콩]]에 가서 많이 일하는 편이다. 칭기스 칸 국제공항은 국제선뿐만 아니라 국내선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몽골은 인구 밀도가 낮은 나라라 육상 교통이 엉망이기 때문에 국내선에서 비행기 이용률이 상당히 높다. 현재 국제선 전용 공항인 [[칭기즈 칸 국제공항]]이 건설되어 운영중이다. 기존에 이 이름을 가졌던 공항은 [[보얀트 오하 국제공항]]으로 개명되어 운영되고 있다. === 궤도 교통 === ==== 여객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지선인 [[몽골 종단철도]]가 지나가고 있다. 이 노선은 몽골 혼자 쓰는 [[철도]]가 아닌 [[러시아]] [[모스크바]]와 [[중국]] [[베이징]]을 잇는 대부분의 [[국제열차]]가 도중에 통과하는 철도이기 때문에[* 대부분이라고 쓴 이유는 몽골을 우회해서 [[만주]] 쪽으로 지나가는 [[만주 횡단철도]]를 경유해서 러시아와 중국을 잇는 국제열차도 존재하기 때문. 그래도 몽골을 찍고 가는 것이 최단 거리라서 몽골을 통해 가는 열차가 많고, 이 열차들은 울란바토르에는 반드시 수십 분간 정차한다.] 몽골이라는 나라 자체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요에 비해서 열차는 상당히 자주 다니는 편이고 시설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 몽골 국내선과 국제 열차 표를 파는 매표소가 분리되어 있다. 몽골이라는 나라 전체에 철도 노선은 사실상 몽골 횡단 철도 한 가닥뿐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기에[* 제2 도시 [[에르데네트]]로 향하는 지선 등 약간의 짧은 지선들은 몇 존재한다.] 열차 타고 갈 수 있는 곳은 사실 별로 없다. 그러나 몽골의 도로 사정은 엉망 그 자체인지라 철도가 놓여진 곳들에 한해서는 철도 교통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철도로 갈 수 있는 주요 도시는 [[수흐바타르]], [[에르데네트]], 사인샨드, 자민우드, [[울란우데]], [[이르쿠츠크]], [[노보시비르스크]], [[모스크바]], [[다퉁]], [[후허하오터]], [[베이징]] 등으로 국내선은 하루에 여러 편, 국제선도 러시아 쪽은 매일, 중국 쪽도 일주일에 한두 편 이상 다닌다. ==== 도시 철도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140808019078706_thumb_400.jpg]] 현재는 [[무궤도전차]]가 운행 중이다. 울란바토르의 인구는 한국으로 치면 [[광역시]]급은 되지만 [[지하철]]은 아직 없으며, 계획상 17.7 km [[울란바토르 지하철]]이 예정되어있다. 2010년대 중반에 공사를 시작했고 2020년대 초 완공 예정으로 되어 있었지만 계속 연기가 되어 2023년 기준으로도 아직 개통하지 못했다. [[파일:external/www.ulaanbaatar.mn/p18oe3fiil1gs04uo18qqa03atf1.jpg]] 레일 버스라는 시내 열차를 운행 중이다.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개통 전까지 운행했던 [[동서통근열차]]와 유사한 것이다. 아직 지하철이 없어서 기존선을 이용해서 통근 수요를 처리하는 것. 참고로 저 열차는 러시아에서 제작했다고 한다. === 도로 교통 === ==== 버스 ==== [[파일:external/fw008613-4-flywheel.netdna-ssl.com/avtobus-TUYA1-960x500.jpg]] 러시아처럼 한국에서 수입한 중고 버스 등이 많이 다닌다. 사진 속의 차량은 [[현대자동차|현대]] [[현대 에어로시티|에어로시티 540L]]과 [[자일대우버스|대우]] [[자일대우버스 BS|BS106]].[* 사진 속의 에어로시티는 에어컨 슈트락의 형태로 보아서 1997년~1999년식이며, 전면 라이트는 2002년 이후 동글이 프론트램프로 개조한 것이다.] 2015년 8월부터는 울란바토르 버스 1번에 [[굴절버스]]가 다니고 있으며, 울란바토르 중앙을 가로지르는 '평화대로'의 버스 대량수송을 책임지고 있다. [[파일:external/img.etnews.com/671399_20150402163255_928_0001.jpg]] 2015년 8월부터 한국의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8년 기준 교통카드 이용률은 100%이다. 카드 없으면 버스를 못 타기 때문이다. 이전엔 어린이 100원, 어른 200원 정도의 투그릭 화폐를 [[안내양]]에게 내면 안내양이 티켓을 주는 형식이었지만, 카드를 도입한 이후 안내양이 없어졌다.[* 참고로 근처 러시아의 도시권에서는 아직도 안내양을 배치한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환승 제도를 도입하거나 택시에도 단말기를 부착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http://m.ddaily.co.kr/m/m_article.html?no=132877|기사 보기(모바일)]]. 2023년 1월2일 현재도 소식이 없다. ==== 택시 ==== 택시도 활발하게 운행 중이다. 기업형 택시, 개인 택시 등 약 6천 5백여 대가 운행 중인데, 몽골의 택시는 대부분 택시가 아닌 일반 자가용을 사용한다. 길거리에서 그냥 손을 흔들고 기다리면 택시로 추정되는 자가용이 정차한다.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매우 흡사하다. 물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택시도 존재하지만 압도적으로 일반 승용차의 비율이 높다. 손님이 이미 타고 있으면 정차를 안해주기 때문에 합승은 안된다. 가격은 1km당 1500투그릭(2022년 기준, 한화 약 700원)을 받으나 외국인의 경우 바가지 요금이 성행하니 주의하자. 한국과는 달리 시간당 요금, 심지어 기본 요금도 없으며 순수 거리 요금으로만 지불한다. 택시에서 한국어를 쓸 경우 바가지를 쓸 확률이 높다.[* 울란바토르의 택시기사들은 꽤나 성격이 거친 편이다. 다만 한국에 호의를 갖고 있다거나 한국에 살면서 잘 생활했던 사람들의 경우는 한국인을 좋아하는 경우가 많고 한국어도 꽤 한다. 기사가 먼저 "한쿡싸람?"이라 말을 걸면 이런 경우일 확률이 높으니 너무 경계하진 말자.] 이런 걱정을 덜하기 위해 UBcab이라는 어플이 등장하였고 이에 호응이 매우 좋은 편이다.[* 미국 어플인 우버는 미사용 국가이다.] 울란바토르 도시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편도 기준으로 12000투그릭(2022년 기준 한화 5600원 정도)이면 거의 대부분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 택시를 타면 어마어마하게 비싸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참고로 [[현대자동차]]에서는 울란바토르 택시 회사인 [[https://www.youtube.com/watch?v=nxUPlXX0KLc|UBTTS]]와 택시 공급 계약을 하여 [[현대 아반떼#s-2.3|아반떼 HD]] 800대와 [[현대 아반떼#s-2.4|아반떼 MD]] 1,200대를 납품했다고 한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0091715370940467&vgb=autom|기사]][* 그 외에도 현대차에서는 몽골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71718124266145|시외버스를 납품]]하고, 대한결핵협회와 함께 [[http://www.betanews.net/article/620207|몽골 결핵 퇴치]]를 지원하고, 몽골의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4052809145958849|폐차 처리를 지원하는]] 등의 다양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 교육 == 몽골 국립대학교, 몽골 과학기술 대학 등 몽골의 주요 [[대학]]들이 이곳에 위치하고 있다. == 자매 결연 도시 == * [[독일]] [[본(독일)|본]] * [[대만]] [[타이베이시|타이베이]]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인천]] *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 [[러시아]] [[모스크바]] * [[러시아]] [[울란우데]] * [[러시아]] [[이르쿠츠크]] * [[러시아]] [[엘리스타]] * [[러시아]] [[카잔]] * [[러시아]] [[크라스노야르스크]] * [[미국]] [[덴버]] * [[북한]] [[평양시|평양]] * [[불가리아]] [[스트렐차]] * [[에스토니아]] [[타르투]] * [[중국]] [[베이징시|베이징]] * [[중국]] [[인촨시|인촨]] * [[중국]] [[톈진시|톈진]] * [[중국]] [[하이커우시|하이커우]] * [[중국]] [[후허하오터시|후허하오터]] *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 [[튀르키예]] [[가지안테프]] * [[튀르키예]] [[앙카라]] * [[태국]] [[방콕]] == 여담 == [[서울특별시]]와 자매결연을 맺어, 서울시 쪽에서 [[신호등]]을 울란바토르에 제공해줬다. 그래서 울란바토르에 가면 왠지 익숙해보이는 신호등이 많다. [[파일:몽골신호등.jpg|width=50%]] 징기스칸 애비뉴의 교차로이다. [[파일:몽골카페베네와한국식보행자신호등.jpg|width=50%]] 한국식 보행자 [[신호등]]이 있으며, 뒷쪽에는 [[카페베네]]가 있다. [[2017년]]에는 [[인천광역시]]와도 자매결연을 맺었다. [[2011년]]부터 [[수원시]]와 함께 에르덴 솜 지역에 ‘수원 시민의 숲’을 조성하였다. 현재 환경단체 (사)푸른아시아가 이 지역을 관리한다. 몽골의 기후에 맞는 [[포플러나무]]를 주로 심으며 몽골 사막화 방지에 힘쓰고 있다. [[독립운동가]] [[이태준(독립운동가)|이태준]] 선생이 몽골에서 [[의사]]로 활동하였으며, [[복드 칸]]의 [[주치의]]였다. 이를 기리기 위해 2001년 울란바토르에 그의 이름을 딴 [[기념]][[공원]]이 세워졌다. [[1997년]] [[대만]]의 [[타이베이]]와도 자매결연을 하였다. 타이베이의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위안산역]] 2번 출구 바로 앞을 지나가는 도로 이름은 쿠룬제(庫倫街)이다. 이 도시에서 이름을 딴 [[프랑스]] [[포스트 록]] 밴드가 있다. [[울란 바토르(밴드)]]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아시아의 최대도시)] [[분류:울란바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