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1328번 (등산객 맞춤버스)}}} || ||<-2> 기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율리(율리공영차고지) ||<-2> 종점 || 경상남도 양산시 원동면 선리(백련마을) || ||<|2> 종점행 || 첫차 || 07:30 ||<|2> 기점행 || 첫차 || 09:00 || || 막차 || 18:10 || 막차 || 19:40 || ||<-2> 평일배차 || '''__미운행__''' ||<-2> 주말배차 || 1일 8회 || ||<-2> 운수사명 || 울산광역시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 ||<-2> 인가대수 || 2대 || ||<-2> 노선 ||<-4> [[율리공영차고지]] - [[울산대학교]] - 신복로터리 - 삼호지하차도 - 구영교 - [[24번 국도]] - 진목회관 - 24번 국도(무정차) - 울산역 - 언양고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축협 - 남천교 - 언양전화국 - 삼성아파트 - 경동청구아파트 - 향산초교 - 상북면주민센터 - 양등입구 - 신기 - 소야정 - [[석남사]] - 배내입구 - 내리정 - 신불산자연휴양림 - 죽전마을 - 백련마을 || == 개요 == 울산광역시 직행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였다. == 역사 == * [[영남 알프스]]의 유명세에 비해 대중교통편은 열악했다. [[울산 버스 328|328번]], [[울산 버스 807|807번]], 다시 [[울산 버스 328|328번]](폐선후 재개통) 노선 하나가 지원운행 형태로만 운행하다 보니 사실상 자가용밖엔 답이 없었다. 이로 인해 정상부에 주차난이 심각해지자 2013년 주말, 공휴일 한정 [[울산 버스 328|328번]]의 운행댓수를 1대 늘렸고([[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8345|관련 기사]])[* 이후 다시 1대로 감차되었다.], 이에 탄력받았는지 2014년 아예 [[울산 버스 323-1|간월산 쪽 323-1번]]과 [[울산 버스 328|328번]]을 기존 언양에서 시내(율리)까지 끌어온 것.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7813|관련 기사]]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360|관련 공지사항]] * 운행 초기에는 울산대학교 방면으로 운행하지 않고 문수자동차극장, 옥현주공아파트(정류장 미정차) 방면으로 운행했으나 2016년 4월 2일에 '율리 - 구.자동차극장 - 굴화주공아파트 - 울산역 - 언양터미널 - 경의고 - 석남사' 구간이 '율리 - 우신고 - 울산과학대 - 울산대 - 신복로타리 - 남운프라자 - 굴화주공아파트 - 굴화마을 - 울산상고 - 울산역 - 언양터미널 - 석남사'로 바뀌었고, 운행 시간대도 변경되었다. [[http://ulsanbus.or.kr/kboard/kboard.php?board=notice&act=view&no=10582|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1일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일반시내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으며, 번호도 1328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7월 1일에 승무원 확보 곤란, 수요 저조[* 어느정도나면 개통 당시, 어느 [[인프라 갤러리]]유저가 탑승했는데 본인 포함 2명만 탑승(...) 하였다고 증언할정도로 매우 저조하다.[[https://m.dcinside.com/board/infra/129540?page=13|#]]]로 폐선되었다. == 특징 == * 봄부터 가을(3~11월)까지 주말 및 공휴일에만 운행하는 등산객 맞춤 노선이었다. * [[24번 국도]]를 직통으로 운행했으며, 진목, 진목회관 이렇게 두 정류장을 제외하곤 울산역까지 무정차로 갔었다. 과기원과 반송은 물론이고, 구영리와 천상에도 정차하지 않았다. 때문에 시간만 잘 맞추면 울산역에서 시내(굴화, 무거)로 갈 때 5004번 대신 이 노선을 이용할 수도 있었다. 평일에는 이용할 수 없다는 게 큰 흠이긴 하지만 조금 저렴한 좌석 요금은 덤. * 배내골에서 [[원동역]]으로 가는 [[양산 버스 2|2번]]과 양산으로 가는 [[양산 버스 1000|1000번]]을 탈 수 있다. * 차량은 [[울산 버스 1401|1401번]], [[울산 버스 1421|1421번]]의 주말 감차분을 차출했었다. 입석시절에는 대형, 중형노선의 주말 감차분을 차출했다. [[http://gall.dcinside.com/transit/74830|관련 게시물]] * 직행좌석버스지만 일반버스마냥 경로상의 모든 정류장에 정차했었다. 아무래도 원래는 328번의 주말지원노선이라 이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 직행좌석노선 중 최초로 폐선된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울산역]](KTX, SRT) [[분류: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9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