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울산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 ||<-3> '''[[남구(울산광역시)|{{{#000000,#dddddd 울산광역시 남구}}}]]의 [[고등학교|{{{#000000,#dddddd 고등학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파일:울산여자고등학교 교표.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울산여자고등학교}}}'''[br]蔚山女子高等學校[br]{{{-1 Ulsan Girls High School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울산여자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2> '''교훈''' ||'''참되게, 아름답게, 슬기롭게''' || ||<|2> '''상징''' || '''교목''' ||태산목 || || '''교화''' ||[[백합]] || ||<-2> '''국가'''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2> '''분류''' ||일반계 [[여자고등학교|여자]] [[공립고등학교]] || ||<-2> '''개교''' ||[[1952년]] [[5월 6일]] {{{-2 ([age(1952-05-06)]주년)}}} || ||<-2> '''교장''' ||제27대 서정련 || ||<-2> '''교감''' ||한현숙 || ||<-2> '''재학생 수''' ||766명{{{-2 (2023년)}}} || ||<-2> '''교직원 수''' ||68명{{{-2 (2023년)}}} || ||<-2> '''관할 교육청''' ||[[울산광역시강남교육지원청]] || ||<-2> '''주소''' ||[[울산광역시]] [[남구(울산광역시)|남구]] [[삼산로(울산)|삼산로]]9번길 16 ([[신정동(울산)|신정동]]) || ||<-2> '''웹사이트''' ||[[http://ulsan-gh.hs.kr/ulsangh-h/M01/|[[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m.cafe.daum.net/ughs/_recl/|[[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ulsanghs_2022_2?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남구(울산)|남구]] [[신정동(울산)|신정동]]에 위치한 [[여자고등학교]].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52년]] [[5월 6일]] || 개교 (6학급) || || [[1954년]] [[6월 17일]] || 울산여자고등학교 6학급 인가 || || [[1954년]] [[6월 20일]] || 초대 김상도 교장 부임 || || [[1959년]] [[1월 30일]] || 울산여자병설중학교 3학급 인가 || || [[1970년]] [[3월 7일]] || 울산여중.고 분리 || || [[1971년]] [[2월 19일]] || 본교사로 이전 || || [[1998년]] [[8월 13일]] || 백합관 준공(체육관) || || [[1999년]] [[6월 28일]] || 급식소 증축 || || [[2007년]] [[2월 15일]] || 학칙 개정 40학급 인가 || || [[2018년]] [[9월 1일]] || 제26대 이상근 교장 취임 || || [[2019년]] [[3월 4일]] || 제68회 입학식 237명 || || [[2020년]] [[2월 13일]] || 제66회 졸업식 (313명, 누계 26,861명) || || [[2022년]] [[3월 2일]] || 제71회 입학식 260명 || == 학교 상징 == '''교기''' [[파일:울산여고 교기.gif]] '''교목''' [[파일:울산여고 교목.gif]] '''교목 : 태산목(목련과)''' 태산목(목련과) /다른이름 : 양옥란 이름유래 : 목련에 비해 꽃이나 잎이 크기 때문에 [태산목]이라함 분포 :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남부 지방에서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귀화식물 특징 : 상록교목이며 높이는 20m 안팎이다. 잎은 인도고무나무를 닮았고, 윗면은 짙은 녹색, 광택, 뒷면은 갈색털이 밀생한다. 꽃은 흰색으로 향기가 강하다. 6~7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 '''교화''' [[파일:울산여고 교화.gif]] '''교화 : 백합''' 분포 : 온대 아시아와 유럽 특징 : 흔히 백합은 나리속 식물 전체를 가리키지만, 특히 흰 꽃을 피우는 종을 지칭하며,키가 1m까지 자라고 비늘줄기는 약간 납작한 공처럼 생겼다. 잎은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싸며 어긋난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서 2~3송이씩 옆이나 아래쪽을 향해 피며, 보통 향기가 있으며, 흰색 꽃을 피우는 종류로 백합 이외에 일본이 원산지인 산나리, 중국이 원산지인 당나팔백합·리갈백합, 타이완이 원산지인 고사백합 등이 있다. == 교가 == [[파일:울산여고 교가.gif]] == 학교 특징 == == 학교 시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학교 일과 === === 시간표 === == 출신 인물 == * [[강혜순]] * [[김태희]]{{{-2 (45회)}}} * [[김지현(배우)|김지현]] * [[강진희]] * 노윤주 * 류경민 * [[안숙현]] * [[유지혜]] (1989년) * [[이상희(배우)|이상희]] * [[이은영(1966)|이은영]] (1966년 10월) * [[주경희]] * [[한소희]]- 재학 중 전학했다. * 한혜지 (1987년) (2005년 졸업) * [[우리동네산부인과, 우리동산#s-3.1|홍혜리]]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여담 == * [[1996년]]~[[1999년]] 당시 [[울산광역시]]는 보기 드문 고교 비평준화 지역이었다. 당시 울산여고는 울산 전체를 통틀어 [[남자고등학교]]였던 [[학성고등학교]]와 함께 압도적인 입결을 구축했다. 즉, 울산여고는 울산 및 근교의 모든 학교를 통틀어 반에서 5등 이내의 실력을 가진 여학생들만 모인 [[고등학교]]였던 셈이었다. * 고교 비평준화 시절, 입학시험이 매우 까다로운 학교로 입학하기 매우 어려웠다고 한다. * 현재 [[학성고등학교]]와 더불어 울산 내 여자/남자 고등학교 중 각각 가장 유명하다. * 현재까지도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들에게 공부 잘 하는 명문 [[여자고등학교]]라는 인식이 있다. * 학교 부지가 제법 크다. [[울산광역시]] 내 여고 중에서는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와 더불어 가장 큰 편이다. 다른 [[여자고등학교|여고]]들은 학교가 대부분 작다.[* 보통 여고들이 학교 부지 면적에 한몫하는 운동장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많이 좁아 보인다.] * 2021년 기준 작년 [[대학입시]] 결과가 매우 좋았다. [[서울대학교]]에 3명이, [[고려대학교]]에 7명이 진학했다. 아울러 [[인서울]] 대학에 입학한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해이다. 선생님들도 언급을 자주 한다. (다만 비평준화시절에는 서울대에만 2~30명씩 진학했다) * [[2019년]] [[배그 모바일]] 고교대항전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 [[1박2일]]에서 울산에 왔을 때, [[김종민]]이 [[김태희]]가 졸업한 학교라는 이유로 다녀간 적이 있다. [[분류:울산광역시의 여자고등학교]][[분류:남구(울산)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952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