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1 '''울산 요금소'''}}}[br]{{{-2 '''蔚山 料金所'''}}}[br]{{{-2 '''Ulsan Tollgate'''}}}}}}}}} || || [[언양JC|{{{#!html언양 방면}}}]][br][[울산JC]][br] ← 1.0 km || [[울산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6.svg|height=23]]{{{#!html
울산선}}}]]'''{{{#fff {{{+1 TG}}}}}}''' || [[울산IC|{{{#!html울산 방면}}}]][br][[장검IC]][br] 0.5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울산TG,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 ||<-3> {{{#fff '''관리기관'''}}} || || [[울산고속도로|{{{#fff 울산선}}}]] ||<-2>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울산지사 || ||<-3> {{{#fff '''개통'''}}} || ||<-3> [[1969년]] [[12월 29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에 있는 [[울산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요금소#s-3.2|폐쇄식]] [[요금소]]. 명칭은 소재지인 [[울산광역시]]에서 유래했다. 개통 당시에는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했으나, [[부산울산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그래서 [[울산고속도로]] 본선 요금소인데도 부산울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관리한다. 이 때문에 한동안 [[후불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했지만, 2016년 11월 11일 개시되었다. == 구조 == === [[울산IC|울산]]방향(상행선)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6차로 (부산포항선 8차로 울산고속도로 이용불가) * 일반 진출차로 : - === [[언양JC|언양]]방향(하행선) === * '''[[하이패스]] 전용 진출차로''' : 1, 4차로 * 일반 진출차로 : - == 역사 == * [[1969년]] [[12월 29일]]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울산고속도로 언양 - 울산 구간 개통과 함께 요금소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9122900329203001|京釜高速도로 大邱~釜山간개통]], 1969-12-29, 경향신문] * [[2008년]] [[12월 8일]] 동해고속도로 부산 - 울산 구간 개통에 앞서 요금소의 위치를 언양읍 반송리에서 범서읍 굴화리의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http://news.donga.com/3/all/20081208/8668019/1|[부산/경남]울산고속도 요금소 오늘 이전]], 2008-12-08, 동아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143&aid=0001969994|울산요금소 울산방향으로 이전]], 2008-12-07, 쿠키뉴스] == 회차로 개방 문제 == 2008년 2월 5일 [[장검IC]]가 개통되면서 울산 시내에서 [[범서읍]] 택지지구(굴화, 천상, 구영리)로 이동하는 차량들이 [[신복로터리]]를 거치지 않고 신복고가차도를 지나 [[장검IC]]로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신복고가차도 종점부에서 [[장검IC]]까지 약 150m 구간에 3~4개 차로를 넘어야 해서 교통사고 위험이 컸고, 2013년 5월 30일 가드레일 설치가 완료되여 [[장검IC]] 진출이 불가능해졌다. 그러자 차량들이 울산TG 회차로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울산TG의 회차로는 백천2길을 거쳐 [[24번 국도]]([[울밀로]])로 연결되어, [[장검IC]]를 대체하여 [[신복로터리]] 우회로 역할을 하였다.[[https://www.yna.co.kr/view/AKR20130702176100057|#]] 2018년 2월 5일 [[장검IC]]가 이설되어 신복고가차도를 넘어온 차량도 안전하게 [[장검IC]]로 진출할 수 있게 되면서 위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었으나, 장검길을 거쳐 약 250m만에 [[24번 국도]]와의 교차로에서 신호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출퇴근시간 정체가 심각하다. 그러나 울산TG 회차로가 연결되는 백천2길은 구영육교 하부에서 [[24번 국도]]와 접속하여 신호 주기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좌회전 없이 직진만으로 구영리 진입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또한 2018년 4월 10일 백천2길과 천상지구를 잇는 왕복 2차로 포장도로가 개통되면서 [[http://www.iusm.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5040|#]], 천상지구와도 빠르게 오갈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장점을 살려 울산TG의 회차로를 상시 개방하여 [[장검IC]]와 [[24번 국도]]의 교통량을 분산하자는 의견이 있어 [[울주군]]에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나, 관리 주체인 [[한국도로공사]]는 회차로 개설 목적에 반하는 이용은 허가할 수 없다고 반대하고 있다.[[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6884|#]]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울산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요금소]][[분류:울산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