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8대 울산시의원/지역구)] ||<-4> '''[[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height=20]]]] {{{#fff [[울산광역시|{{{#fff 울산광역시}}}]]의 [[울산광역시의회|{{{#fff 의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울산광역시의회|[[파일:지방의회 휘장.sv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울주군 제3선거구}}}}}}'''[br]{{{-1 {{{#fff 범서읍[br]蔚州郡 第三選擧區[br]Ulju District 3}}}}}}}}}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울주군_제3선거구8.png|width=100%]]}}} || ||<-2> '''선거인 수''' ||<-2> 55,977명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 ||<-2> '''상위 행정구역''' ||<-2> [[울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울주군 일부'''[br]범서읍}}}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김종훈 ,,(초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광역시의회]]의 마지막 순서인 선거구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일대를 관할한다. 읍 인구 하나가 거의 7만명에 육박하다보니 읍 하나만으로 선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과대읍일 정도로 90년대 이후 택지지구가 아주 많이 개발되었고 시내와 인접해 있어 보수성향이 비 공단권 선거구 중에서는 가장 보수 성향이 약한 편이다. 원래는 그나마 [[청량읍]], [[웅촌면]]이라는 보수세가 범서읍보다 월등히 높은 지역과 엮여있었으나, 그것마저도 범서읍의 인구 상승세로 다른 곳으로 관할이 옮겨지면서 범서읍 표심을 견제할만한 지역이 전무해진 상황이다. 다만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의 역대급 암흑기였던 [[2017년]] ~ [[2020년]] 때를 제외하면 대체로 보수세가 조금이라도 더 강세를 보여왔으며 [[부울경]]에서의 보수세가 대부분 회복된 채로 치러진 [[제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가 승리하며 이를 증명하였다. 그렇기에 범서읍의 인구 유입이 더 극적으로 진행되거나 다시 보수정당이 몰락 수준에 이르지 않는 이상 대체로 보수 약우위 구도[* 대략 [[충청북도]] 평균 수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런고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때를 제외하면 모두 보수정당 후보의 승리였다. == 역대 선거 결과[* [[울산광역시]]가 출범한 것은 [[1997년]] [[7월 15일]]로, 1대 시의회의 경우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은 관계로 경상남도의원 중 울산 지역구 의원들과 경상남도 울산시의원들이 그대로 계승하여 울산광역시의원을 역임했으므로 기술하지 않음.] ==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비고 || ||<-5> '''울주군 제2선거구''' || || 제2대 || 김광수 ||<|2>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 언양읍, '''범서면''', 두동면, 두서면, 상북면, 삼남면, 삼동면] || || 제3대 || [[서진기]] ||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4> [*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2001년]] [[3월 1일]]에 범서면이 범서읍으로 승격되었다.] || || 제4대 || [[천명수]] ||<|2> [include(틀:한나라당)] ||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 || || 제5대 ||<|2> [[윤시철]] || [[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 제6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1일]] ~ [[2018년]] [[4월 16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7회 지선]] 울주군수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 || || 제7대 || 윤덕권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범서읍''', 청량읍][* [[2018년]] [[4월 1일]]에 청량면이 청량읍으로 승격되었다.] || ||<-5> '''울주군 제3선거구''' || || 제8대 || 김종훈 || [include(틀:국민의힘)]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범서읍''']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언양읍, 범서면, 두동면, 두서면, 상북면, 삼남면, 삼동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광수(金光守)''' || '''19,38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8.46%''' || '''당선''' || ||<|2> {{{#FFFFFF {{{+5 '''2'''}}}}}} || 조종주(趙從主) || 4,721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6.67% || 낙선 || ||<|2> {{{#FFFFFF {{{+5 '''3'''}}}}}} || 김상원(金尙源) || 4,210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4.8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54,647 ||<|3> '''투표율'''[br]53.73% || || '''투표 수''' || 29,365 || || '''무효표 수''' || 1,046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진기]](徐鎭淇)''' || '''14,82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9.10%''' || '''당선''' || ||<|2> {{{#FFFFFF {{{+5 '''3'''}}}}}} || 하홍권(河洪權) || 6,629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30.8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1,685 ||<|3> '''투표율'''[br]53.16% || || '''투표 수''' || 22,161 || || '''무효표 수''' || 705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 {{{+5 '''1'''}}}}}} || 김석암(金石岩) || 4,050 || 3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15.79% || 낙선 || ||<|2> {{{#FFFFFF {{{+5 '''2'''}}}}}} || '''[[천명수(1966)|천명수]](千明秀)''' || '''9,679'''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7.75%''' || '''당선''' || ||<|2> {{{#FFFFFF {{{+5 '''4'''}}}}}} || 조정호(曺正鎬) || 4,006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5.62% || 낙선 || ||<|2> {{{#FFFFFF {{{+5 '''6'''}}}}}} || [[서진기]](徐鎭淇) || 6,061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3.62% || 낙선 || ||<|2> {{{#FFFFFF {{{+5 '''7'''}}}}}} || 이태우(李泰佑) || 1,84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7.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5,777 ||<|3> '''투표율'''[br]56.84% || || '''투표 수''' || 26,021 || || '''무효표 수''' || 382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시철]](尹侍喆)''' || '''17,79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53.05%''' || '''당선''' || ||<|2> {{{#000 {{{+5 '''7'''}}}}}} || 고성준(高成駿) || 15,746 || 2위 || || [include(틀:국민참여당)] || 46.9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0,588 ||<|3> '''투표율'''[br]56.89% || || '''투표 수''' || 34,470 || || '''무효표 수''' || 931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범서읍, 청량면, 웅촌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시철]](尹侍喆)''' || '''22,578'''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8.18%''' || '''당선''' || ||<|2> {{{#FFFFFF {{{+5 '''2'''}}}}}} || 이구섭(李球燮) || 16,224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41.8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67,834 ||<|3> '''투표율'''[br]58.74% || || '''투표 수''' || 39,851 || || '''무효표 수''' || 1,049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2선거구'''}}}}}}[br]{{{#ffffff 범서읍, 청량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덕권(尹德權)''' || '''25,09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4.16%''' || '''당선''' || ||<|2> {{{#FFFFFF {{{+5 '''2'''}}}}}} || [[김헌득]](金憲得) || 15,113 || 2위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32.62% || 낙선 || ||<|2> {{{#FFFFFF {{{+5 '''6'''}}}}}} || 최한석(崔瀚碩) || 3,802 || 3위 || || [include(틀:민중당)] || 8.20% || 낙선 || ||<|2> {{{#FFFFFF {{{+5 '''7'''}}}}}} || 김봉재(金奉才) || 2,318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5.0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70,110 ||<|3> '''투표율'''[br]68.48% || || '''투표 수''' || 48,016 || || '''무효표 수''' || 1,689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 {{{#ffffff {{{+1 '''울주군 제3선거구'''}}}}}}[br]{{{#ffffff 범서읍}}}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윤덕권(尹德權) || 14,075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75% || 낙선 || ||<|2> {{{#FFFFFF {{{+5 '''2'''}}}}}} || '''김종훈(金鍾勳)''' || '''16,684'''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4.24%'''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55,977 ||<|3> '''투표율'''[br]55.81% || || '''투표 수''' || 31,242 || || '''무효표 수''' || 483 || [[범서읍]]의 인구의 상승세로 인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난 선거]]에서 [[웅촌면]]을 옮긴 것에 이어서 이번에는 [[청량읍]]을 [[울주군 제1선거구]]로 넘겼다. 이제 범서읍의 민주당세를 견제할 지역이 전무해져 지역 구도상으로는 [[더불어민주당]]이 유리해졌으나, [[제20대 대통령 선거|얼마 전 대선]] 때 [[윤석열]] 후보가 범서읍에서 승리하면서 적어도 이번 선거만큼은 [[국민의힘]]에게 뺏길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리고 순서가 변경되어 기존 울주군 제2선거구였던 이 곳이 울주군 제3선거구로 변경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윤덕권 시의원이 그대로 단수공천을 받으며 재선에 도전한다. [[국민의힘]]에서는 공천 과정 중 꽤나 잡음이 많이 발생했었다. 원래 경선을 통해 이 지역에서 재선을 역임 중인 송성우 군의원이 공천을 받았지만, 송 후보의 아들이 벌금형을 선고받자 공천을 취소하고 김종훈 유엠아이티주식회사 이사와 공인중개사 출신인 심규환 후보가 재경선을 치러 김종훈 후보가 승리하였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구도가 형성되었다. 개표 결과 국민의힘 김종훈 후보가 8.5%p차 신승으로 끝이 났다. 관내투표는 물론 관외사전투표에서도 별 차이 없이 김종훈 후보가 신승을 거두었다. 그나마 한 자릿수차라 차후에도 더불어민주당이 해볼만한 지역구임은 증명되었지만, 투표율이 울주군 평균을 상회함에도 패배한 것은 많이 아쉬울 대목이다. [[분류:선거구/울산광역시]][[분류:울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