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주군]][[분류:울주군의 교통]][[분류:울산광역시의 교통]]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울주군)] [목차] == 철도 == *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서생역]], [[남창역]], [[망양역]], [[덕하역]] 철도로는 [[동해선]]이 군의 남동부를 지나며 지선으로는 온산공단으로 향하는 [[온산선]]이 있다. [[경부고속선]]이 군의 서부를 지나가며 [[삼남읍]] 신화리에 [[KTX]]와 [[SRT]] 정차역인 [[울산역]]이 있다. 또한 울산광역시 차원으로 태화강과 울산역을 거쳐 밀양과, 창녕, 함양을거쳐 전주로 연결하는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34781|울산-전주간 고속철도]]를 만들려고 모색중에 있지만 노선은 어떻게 될련지 철저히 두고볼 일이다. == 도로 == [include(틀:울주군의 로)]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통도사IC]],[* [[통도사]]는 양산에 있지만 나들목 입구와 요금소는 삼남읍으로 연결된다.] [[서울산IC]], [[활천IC]])가 군의 서부를 지나가며, [[언양JC]]에서 [[울산고속도로]]([[장검IC]])가 [[범서읍]]을 거쳐 울산시내로 향한다. 때문에 [[울산고속도로]]는 졸지에 도시고속도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이다. 이 외에도 [[동해고속도로]]([[온양IC]], [[청량IC]], [[문수IC]], [[범서IC]])가 군의 남부와 [[범서읍]]을 지나간다. [[함양울산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서부권을 지나는 [[경부고속도로]]([[서울주JC]])와 남부권을 지나는 [[동해고속도로]]([[울주JC]])가 연결되었다. 또한 북서부권을 위한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에도 적극적으로 추진중이다. === [[일반국도]] === [[7번 국도]], [[14번 국도]], [[24번 국도]], [[31번 국도]], [[35번 국도]]가 지나간다. 언양권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국도는 [[7번 국도]], 웅촌은 [[14번 국도]], 온양 및 청량읍은 [[14번 국도]]로 연결되며, 언양과 울산시내를 잇는 국도는 [[24번 국도]]이다. === [[지방도]] === [[69번 지방도]]가 경유되어 있고 [[921번 지방도]][* 문북로]와 [[1028번 지방도]][* 용당내광로]가 울주군과 인접해있다. == 대중교통 == === 시외버스 === * [[언양시외버스터미널]] : 언양읍에 위치하고 있고 현재 시외버스 8개 노선이 하루에 95회 운행한다. 과거 시외버스였다가 시내버스로 전환된 노선도 일부 운행하고 있다. 행선지는 영남권 방면으로 경산, 경주, 김해, 동대구, 동곡, 양산, 창원, 포항, 부산등 9개 방면으로 운행 중. * 봉계시외버스터미널 : 두동면 소재로 1993년에 시외버스터미널로 인가받았다. 1993년에 시외버스터미널로 인가받았다. 울산~봉계, 경주~봉계, 언양~봉계 노선이 운행되었으나, 울산시·군과 경주시·군이 통합된 이후, 이곳의 노선들이 모두 시내버스로 전환되고, 2003년에 시외버스터미널 인가가 해지되었다. 이후에는 울산 시내버스 308번(언양터미널~봉계), 802번(울산 연암차고지~봉계), 경주 시내버스 500번(경주터미널~봉계)의 회차지로 사용되었지만 시내버스 업체들이 임대료를 지불하지 않자 2010년 11월 13일에 터미널 부지 소유주가 회차지를 폐쇄해 버렸고, 울주군이 봉계불고기특구 뒤편 하천부지에 임시회차지를 운영하였다. 울주군이 터미널 부지 일부를 매입하여 도시계획도로 개설을 추진하면서 부지 소유주가 설치한 장애물은 철거되었지만 현재 시내버스들은 하천 부지에 조성된 주차장에서 회차한다. == 항구.어항 == *무역항 : [[울산항]](온산항) *지방어항 : 나사항, 신암항 *어촌정주어항 : 대송항, 송정항, 신리항, 진하항, 평동항 *소규모어항 : 강양항, 골매항 총 : 9개소(항만제외. 울산 관내에서 가장 어항이 많은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