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움프, other1=H&K 사의 기관단총, rd1=H&K UMP)]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일 주체가 개최하는 한국에서 개최되는 뮤직 페스티벌, rd1=울트라 코리아)]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58e92532eb97430e8190651e.png|height=60]] ||{{{#fff '''{{{+1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br]{{{-2 Ultra Music Festival}}}}}}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MF 2023 Main Stage.webp|width=100%]]{{{-2 2023년 메인스테이지}}}}}} || ||<-2> '''{{{#white 장르}}}''' ||[[EDM]], [[테크노]] 등 || ||<-2> '''{{{#white 주최}}}'''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울트라 뮤직]]|| ||<|3> '''{{{#white 개최 연도}}}''' || '''[[미국|{{{#white 미국}}}]]''' ||[[1999년]] ~ 현재|| || '''[[크로아티아|{{{#white 유럽}}}]]''' ||[[2013년]] ~ 현재|| ||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2012년]] ~ 현재|| ||<|3> '''{{{#white 장소}}}''' || '''[[미국|{{{#white 미국}}}]]''' ||[[마이애미]] 베이프론트 파크|| || '''[[크로아티아|{{{#white 유럽}}}]]''' ||[[스플리트]] 믈라데시 파크|| || '''[[대한민국|{{{#white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울종합운동장]] || ||<-2> '''{{{#white 홈페이지}}}''' ||[[https://ultramusicfestival.com/|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Ultr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ultr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umf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3> {{{+1 {{{#white 2024 울트라뮤직페스티벌 개최일까지}}}}}} || ||<-3> '''{{{+5 D[dday(2024-03-22)]}}}''' || [clearfix] [목차] == 개요 == [[2001년]]부터 미국 [[마이애미]]를 시작으로 해마다 전세계에서 열리는 국제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약칭은 '''UMF'''. 1999년 전자음악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면서 러셀 파이비쉬와 알렉스 옴스의 이벤트 회사에 의해 처음 런칭되었으며 첫 개최부터 현재까지 장소만 바뀌었을 뿐 꾸준히 [[마이애미]]에서 개최되고 있다. 처음 열렸던 기간인 3월 17일에 맞춰서 보통 3월 말쯤에 열리며 대형 [[일렉트로닉 뮤직 페스티벌]] 중에서는 가장 먼저 열린다. 2012년에는 관객수 15만명, 2013년에는 양일 관객수 33만명, 2014년부터는 티켓이 불과 5분만에 매진 될 정도로 인기가 높은 전세계에서 손에 꼽는 페스티벌로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중에서 가장 먼저 브랜드를 프랜차이즈화 시켜서 해외에 브랜딩을 내주고 공연을 개최했다. 이후 [[EDC]], Creamfields 등 많은 대형 페스티벌 브랜드들이 이를 따라 울트라처럼 해외에서도 공연을 개최하고 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울트라 브랜드를 프랜차이즈화 시켜서 세계 여러 나라 등지에서 공연을 개최한 첫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이다. 그에 따라 세계적인 인지도도 높은 편. [[이비자]]를 포함해 '''대한민국''', 일본, 상파울루, 부에노스 아이레스, 산티아고, 크로아티아, 태국, 홍콩, 남아공, 대만, UAE, 페루 등에서 열리고 있고 2016년에는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도 개최되고 있다.. 한국에서 열리고 있는 [[울트라 코리아]]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참고로 해외에서 열리는 공연의 명칭에서 '뮤직 페스티벌'을 떼고 해당 국가의 명칭이 붙는다. 예를들어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코리아가 아닌 '울트라 코리아' 이런 식으로. 물론 "울트라" 네이밍으로 열리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해변 명칭인 경우("울트라 비치" 카테고리)와 별개로 "로드 투 울트라" 네이밍이 붙는다.[* 다만, 로드 투 울트라의 경우는 해당 국가에서 여러번 열리기가 쉽지 않은 탓인지 단발적인 면이 있다.] RESISTANCE 브랜드도 따로 열린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미국에서도 확산되는 바람에 본가인 UMF 마이애미가 '''개최 사상 최초로 취소되었고,''' 그 다음해인 2021년도 연속으로 취소되었으나 [[2022년]]에는 정상적으로 개최되었다. ---- {{{#!folding [2023 페스티벌 일정] 3월 : 아부다비(4~5일), 남아공(10~11일) 4월 : 호주(15일), 대만(16일), 브라질(21~22일), 페루(22일) 6월 : 비치 코스타 델 솔(24일) 7월 : 비치 바르Hvar(11일) 9월 : 일본(17~18일), 비치 발리(20~21일), 로드투태국(22일) 미정 : ~~R.이비자(여름)~~[* 해당 페스티벌 페이지에서는 2021년도부터 [[발레아레스 제도|관할]] 정부의 제한조치에 따라 취소된 것으로 나와있는데, 이 시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그 시기부터 계속 열리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로드투파라과이, 로드투볼리비아}}}[* 본가인 미국을 포함해 유럽, 코리아는 제외. "울트라" 네이밍이 아닐 경우 비치 또는 로드투(=로드 투 울트라), R.(=RESISTANCE)로 표기함] == 역사 == 1999년 [[마이애미]]의 해변에서 소규모로 시작한 게 효시였다. [[파일:Ultra1999.jpg]] 1999년 UMF 당시 사진이다. 사진에 보이는 대로 스테이지는 저게 전부 다다(...). [[https://ultramusicfestival.com/wp-content/uploads/2015/07/Miami-Flyer-1999.jpg|1999년 당시 라인업]][* 조촐하다고는 해도 무시해서는 안될게 네임드 헤드라이너로 Hybrid나 LTJ Bukem, 아만드 반 헬덴, 디미트리같은 당대 네임드 아티스트들도 있었다. 여담으로 이때 참가했던 Rabbit in the Moon은 아직도 활동 중이며 [[2016년]] [[울트라 코리아]]에 참가한다.] [youtube(RqpfzMPB8Aw)] UMF2001 당시 영상이다. 초창기땐 [[트랜스(음악)|트랜스]] 및 [[테크노]]위주가 대세였고 많은 발전을 이뤄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12년 대한민국 디제이 Koo 와 [[shut da mouth]] 가 한국인 최초로 메인스테이지에서 공연함. 2014년에는 [[deadmau5]]가 와서 광역 트롤링을 선사했다.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트롤링 사건|문서]] 참조. [youtube(F0xoBUDUYyo)] 2015년 UMF 요약 영상 맨 처음 봤었던 사진과 비교도 안될 정도로 거대해졌다. 여담으로 메인 스테이지에서 바라본 마이애미의 스카이라인이 아름답다. 밤이 되면 무대의 조명과 어울려 상당한 야경을 자랑한다. [[https://ultramusicfestival.com/previous-lineups/|1999년부터 2018년까지의 역대 UMF 라인업들을 볼 수 있는 곳]] [[분류:울트라 뮤직 페스티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