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울트라맨 티가]] [Include(틀:울트라 시리즈)] ||<:><-5>
<#8A2BE2>'''[[성운상|{{{#FFFFFF 역대 성운상 수상작}}}]]''' || ||<:><-5><#FFFFFF,#191919>[[파일:seiunprize.jpg|width=200]]|| ||<:><-5><#8A2BE2>[[성운상/미디어 부문|{{{#FFFFFF '''미디어 부문'''}}}]]|| ||<:>'''제28회[br]([[1997년]])'''||<:>{{{+1 →}}}||<:>'''제29회[br]([[1998년]])'''||<:>{{{+1 →}}}||<:>'''제30회[br]([[1999년]])'''|| ||<:> [[가메라 2: 레기온 습래]] || {{{+1 →}}} ||<:> '''울트라맨 티가''' || {{{+1 →}}} ||<:> [[기동전함 나데시코 -The Prince of Darkness-|기동전함 나데시코[br]-The Prince of Darkness-]] || ||<:><-5><#8A2BE2>|| ||
<-2><:>
'''{{{#!html 울트라맨 티가}}}'''[br]'''{{{#!html ウルトラマンティガ}}}'''[br]'''ULTRAMAN TIGA'''[br](1996)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티가.jpg|width=100%]]}}}|| || '''{{{#000000 방송 시간}}}''' ||매주 [[토요일]] 오후 18:00 ~ 18:30 (30분 방영) || || '''{{{#000000 방송 기간}}}''' ||[[1996년]] [[9월 7일]] ~ [[1997년]] [[8월 30일]] || || '''{{{#000000 방송 횟수}}}''' ||52화 || || '''{{{#000000 제작}}}''' ||[[마이니치 방송]][br][[츠부라야 프로덕션]][br]YOMIKO || || '''{{{#000000 채널}}}''' ||일본: [[마이니치 방송]][br]한국: [[MBC every1|MBC MOVIES]], [[재능방송]] || || '''{{{#000000 프로듀서}}}''' ||오이다 마사토, 모로토미 히로후미, 이게 히로이치 || || '''{{{#000000 감독}}}''' ||마츠바라 신고, [[카와사키 쿄타]] 외 || || '''{{{#000000 각본}}}''' ||미기타 마사카즈 외 || || '''{{{#000000 내레이션}}}''' ||[[후타마타 잇세이]]/[[임채헌]] || || '''{{{#000000 출연}}}''' ||[[나가노 히로시]], 요시모토 타카미, 오오타키 아키토시, 타카키 미오 외 || || '''{{{#000000 첫 에피소드}}}''' ||빛을 잇는 자(光を継ぐもの) || ||<-2> [[파일:logo_tiga.png|width=200]] || [목차] [clearfix] == 개요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a77zwAzXis, height=240, width=100%)]}}}|| ||<-2> {{{#black '''울트라맨 티가 신 프로그램 예고편'''}}}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Rlp2JwKaNQ, height=24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fmSQgrxEtE, height=240)]}}} || ||<-2> {{{#black '''울트라맨 티가 차회 예고편'''}}} || [[울트라맨(1966)|울트라맨]] 탄생 30주년 기념작이자, '''헤이세이 울트라맨 시리즈의 첫번째 작품'''이다. == 특징 == 훗날 TDG로 불리게 되는 헤이세이 울트라맨 3연작의 시작점이며, 타입 체인지, 이케멘 주인공, 레드와 실버 뿐 아닌 타 컬러를 도입한 디자인 등 후세 시리즈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 울트라맨의 '''[[중시조]]'''격인 작품이다. 마찬가지로 헤이세이의 초대 작품이자 똑같이 [[성운상]]을 수상한 옆동네의 '''[[가면라이더 쿠우가]]'''와 비슷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1996년]] 9월 7일부터 [[1997년]] 8월 30일까지 TBS 계열에서 매주 토요일 18:00-18:30에 전 52화로 방영되었다. [[울트라맨 80]]이후에 겹친 여러 사정으로 TV판 울트라맨 시리즈는 '''자그마치 16년간 그 맥이 끊기게 된다.'''[* 사실 그레이트나 파워드 같은 외국에서 만들어진 작품이나 애니메이션 작품도 있었지만 순수 일본판 장편 특수촬영 시리즈는 완전히 끊겨 있었다. 사실 1986년에 TV 시리즈 한 작품을 기획했었다! 그것이 바로 [[전광초인 그리드맨]]인데 이 작품을 새로운 울트라맨으로 방영하는 것이었고 실제로 방영 기획에 있었으나 이런 저런 어른의 사정으로 결국 지금의 전광초인 그리드맨으로 알려진 전혀 다른 작품이 되었다.] 그러나 90년대 중반에 들어, 과거의 작품들이 재방송과 비디오를 통해 인기를 얻고 관련 상품 또한 호조를 보이는, 소위 '울트라 붐'이 일어나게 된다.[* 16년 동안 츠부라야는 신작을 안 만들고 라이센스 장사와 특촬 하청만 받았는데도 회사가 유지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울트라맨을 다시 제작해보자는 이야기가 붙었고 여러 기획안이 오간 끝에 최대 특징인 타입 체인지가 추가되면서 제작이 성사되었다.[* 여러 기획안 중 최종 통과되지 못한 첫 기획안이 이후 [[울트라맨 네오스]]라는 제목의 비디오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그리하여 95년, 반다이에서 99년도까지 매출을 5천억엔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계획한 '플랜 99'의 첫 작품으로 뽑힌 울트라맨 티가는 반다이의 강력한 푸쉬를 받게 된다. 결과는 그야말로 대히트. 다시 한 번 울트라 시리즈가 부활하는 일등 공신이 되었으며, 특촬 TV 드라마로서 최초로 1998년 영화연극/미디어 부문 [[성운상]]까지 수상했다. 당시만 해도 울트라맨과 울트라 세븐 두 작품의 인기가 압도적이었고 이후의 작품들은 재조명을 받지 못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티가도 이 두 작품과 비슷한 노선으로 스토리를 전개했다. 그래서 스토리가 제법 무겁고 진지하며 의미심장한 에피소드가 많다. 두 작품에 대한 오마쥬도 상당히 많다. 그리고 옴니버스처럼 보이는 에피소드에 복선이 여러 개씩 깔려있고 그것이 후반부로 가면서 이어지는 전개를 보여준다. 원래는 쇼와 시리즈처럼 철저한 옴니버스로 가려고 했지만 [[하세가와 케이이치]]가 다른 각본가들이 쓴 에피소드의 미회수 복선을 회수한 게 좋은 반응을 얻었고 다른 각본가들도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전개가 많이 시도되었다. 훗날의 울트라맨 시리즈와 [[헤이세이 라이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각본은 최초의 기획안은 미기타 마사카즈가 작성했지만 기획부터 방영까지 시간이 별로 없었다는 점, 세대교체를 원하는 츠부라야의 의지에 따라 다양한 신인 작가들이 참여한 점 때문에 각본의 중심을 통솔하는 시리즈 구성 작가가 특별히 존재하지 않았고 각각의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전개했다. 그럼에도 기적적으로 일관된 주제가 이어졌고 복선이 회수되면서 하나의 이야기로서 완성되었고 이때 두각을 보인 작가가 [[코나카 치아키]]와 [[하세가와 케이이치]], 카와카미 히데유키다. 특히 코나카 치아키가 시청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고 후반부 시나리오는 코나카가 도맡아하면서 티가의 대표 작가로 꼽히게 되었다. 스토리에 대한 평가는 지금도 손에 꼽을 정도로 높다. [[쪽대본]]이 만든 기적인 셈. 연출 면에서는 [[카와사키 쿄타]] 감독이 두각을 보였으며 울트라 시리즈에서 오랫동안 멀어져 있던 쇼와 울트라 시리즈의 명감독 [[짓소지 아키오]]가 두 개의 에피소드를 감독하기도 했다. 다른 울트라 시리즈와 구분되는 이 작품의 특징은 일본에서 제작된 작품 중 최초로 쇼와 시리즈의 세계관인 M78 월드와 무관계한 별개의 세계관이라는 것이다.[* 초대 [[울트라맨]]이 중간에 한번 나오지만 팬서비스 에피소드이며 평행세계의 별개의 초대로 여겨진다.] 또한 울트라맨이 현대에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문명을 가진 울트라 전사의 힘을 빌린다는 설정을 썼으며 등장하는 괴수도 전설의 고대괴물들이 많다. 각본가 코나카 치아키의 취향이 반영되어 [[크툴루 신화]]에서 따온 괴수도 많아 분위기가 쇼와 시리즈와 크게 차별화되었다. 이 세계관은 속편 [[울트라맨 다이나]]에서 한 번 더 쓰이게 된다. 다만 액션은 구작 시리즈의 스피디한 움직임에 비해 약간 느린 편이다. 그레이트와 파워드의 영향을 받은 듯한데 이 작품 이후로는 슬로우 모션이 울트라맨의 상징처럼 자주 쓰이게 된다.[* 구작의 리스펙트를 담음 [[울트라맨 뫼비우스]]는 구작처럼 상당히 빠른 편이고 [[울트라맨 제로]]도 고속 전투를 컨셉으로 삼아서 빠르지만 그 외의 울트라맨들은 티가 정도의 속도를 보여준다. 티가가 표준이 된 셈이다.] 구작의 레슬링을 보는듯한 빠른 액션을 기억하는 사람이 보고 실망하는 경우도 있지만 무게감이 느껴지는 현실적인 연출이라는 호평도 있다. 울트라맨 시리즈 중에서는 [[울트라맨]](초대), [[울트라 세븐]], [[울트라맨 가이아]], [[울트라맨 뫼비우스]], [[울트라맨 Z]]와 함께 최고의 작품에 꼽히며 맥이 끊긴 시리즈를 소생시킨 작품으로 팬들의 평가도 높은 편이다. [[쇼와 시대]]의 초대 히어로인 초대 울트라맨과 더불어 그 다음 세대인 [[헤이세이 시대]]의 초대 히어로로서 매우 탄탄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같은 세계관의 완전한 속편으로는 [[울트라맨 다이나]]가 있다. 현재는 헤이세이 울트라맨 시리즈의 대표자로서 [[울트라맨 뫼비우스]] 극장판, [[울트라맨 긴가]] 극장판, [[울트라맨 X]] 극장판 등에도 게스트 출연하고 있다. 그런데 아래에 언급된 문제로 마도카 다이고 본인이 아니라 평행세계의 티가가 나오는 경우가 많으며 인간체로서의 등장이 매우 적다. [[울트라맨 트리거: NEW GENERATION TIGA]]는 티가의 계승작이라고 발표했는데 후속작인 다이나와 달리 관계성은 모호하게 처리한 점이 많다. 스포일러가 되니 직접 보는 것을 추천. === 아이돌 울트라맨 === 현재까지도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의 아이돌 그룹 [[V6]]와 깊은 관계가 있다. 주인공 마도카 다이고 역의 배우가 아이돌 그룹 [[V6]]의 멤버 [[나가노 히로시]]가 담당하였다. 또한 V6는 오프닝곡 [[TAKE ME HIGHER(V6)|Take me Higher]]를 담당하였다. 나가노 히로시가 워낙 작품에 애정을 가지고 성의 있는 연기를 보여줘서 울트라맨 팬들에게 나가노 히로시의 평가는 대단히 좋은 편이지만, 반대로 작품에는 상당히 안 좋은 영향을 주었다. 이들이 워낙 비싼 아이돌 스타인데다 이들의 소속사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쟈니스 사무소|쟈니스]]이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나가노 히로시는 티가 촬영 중에도 바쁜 스케쥴 때문에 일부 에피소드에선 얼굴이 5분도 채 안 나오는 경우도 있었으며, 주변 등장인물들이 극을 진행해 나가는 에피소드도 많았다. 방영 이후에는 쟈니즈는 나가노 히로시가 다이고로서 울트라 시리즈에 출연하지 못하게 했으며 그의 프로필 경력에서 울트라 시리즈를 지워버리기도 했다. 울트라 시리즈는 아이돌 이미지에 도움이 안 된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나가노 히로시는 이에 대해서 소속사에 항의를 하기도 했고 지금은 프로필 경력에 티가가 돌아왔다. 또한 츠부라야는 대부분의 시리즈를 VOD 서비스([[넷플릭스]], [[훌루]], [[아마존 프라임]])에서 계약 판매하고 있지만 마도카 다이고가 '''단 1번이라도''' 나왔던 작품들은 VOD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울트라맨 다이나]]도 졸지에 VOD 서비스 불가능 작품이 되었다. 이것도 쟈니즈와 계약 문제라는 설이 있다. 쟈니즈는 인터넷 같은 곳에서 아이돌을 쉽게 만나게 하면 팬들의 버릇이 잘못 들어서 상품이 잘 팔리지 않게 된다면서 2018년까지 인터넷에 사진 한 장 못 올리게 할 정도로 멍청하고 독한 회사이며, 쟈니즈가 나오는 프로그램은 인터넷 VOD 서비스를 안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울트라맨 열전]] 등지에서도 티가 에피소드를 픽업할 수 없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B-dTIweoC34|관련 영상]]) 그러나 2021년 9월 7일 방영 25주년 기념으로 TSUBURAYA IMAGINATION에서 최초로 공식 독점 VO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오프닝 주제가 저작권료도 비싸서 해외 수출 시에도 주제가가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 국내 수입시엔 [[울트라맨 가이아]]의 오프닝 곡으로 변경되었다. 그래서 울트라맨 가이아 주제가를 다른 작품에서 두 번 듣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이러다 보니 주인공 마도카 다이고도 이후 시리즈에서 얼굴보기가 참 힘들다. 현재 가장 최근 출연은 [[대결전! 초 울트라 8형제]]가 끝. [[울트라맨 다이나]]와 [[울트라맨 코스모스]]의 배우들이 신 레전드로 이후 시리즈에 계속 출연하면서 인기를 높인 것과 반대로 티가는 인간체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울트라맨 뫼비우스 극장판을 제외하면 울트라맨 형태만 나온다.] 아무래도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가 힘들고, 이로 인해서 티가의 인기는 방영 당시의 하늘을 찌르는 평가와 별개로 다소 낮아져가고 있다. 일각에선 [[울트라맨 제로]]처럼 다른 인간체 배우를 캐스팅하라는 소리도 있지만 나가노 히로시의 팬들이 워낙 많아서 쉽사리 배우를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다.[* 결국 2021년 방송된 울트라맨 Z와 울트라맨 티가를 중심으로 한 재방송 프로그램인 울트라맨 크로니클 Z: 히어로즈 오디세이는 나가노 히로시의 출연분량을 통편집해 버렸다. 다이고가 위기를 겪어야 할 장면에서 거츠 윙 1호의 불시착으로 나와서 사실 다이고가 거츠 윙 1호기였으며 그 거츠 윙 1호기가 울트라맨 티가로 변신한다는 드립까지 나오고 있다(...). 심지어 완구로 출시한 DX 거츠 윙 1호에 울트라맨 티가 변신음을 집어넣어 버렸다.(...)] 이런 리스크는 제작사에서도 예감했지만 그럼에도 인기 아이돌을 캐스팅한 이유는 당시로선 이게 망하면 울트라맨 시리즈를 더 이상 만들 수가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인기를 끌 수 있는 모든 걸 다 넣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나가노 히로시도 소속사와 츠부라야의 자금조달력 부족으로 인해 울트라맨에 나오지 못할 뿐이지 울트라맨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고[* 촬영 때 쓴 스파크 랜스를 아직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촬영에 썼던 정통 오리지널 스파크 랜스라고 전해지며, 굉장히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데, [[마나카 켄고]] 역의 배우인 테라사카 라이가가 촬영시 종종 GUTS 스파크 랜스의 트리거를 여러번 부러트리는 실수를 한 것과 재미있게 대조되는 부분이다.] 지금도 팬 서비스를 해주는 사람이니 너무 원망하지는 말고 소속사를 원망하자. 실제로 울트라맨 팬들도 소속사인 쟈니즈를 욕하면 했지 나가노 히로시를 욕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오히려 이런 속사정을 잘 모르는 팬(?)이 나가노 히로시를 욕하면 다른 팬들이 나서서 막아줄 정도. 2021년 3월 5일 [[진골조제법]] 울트라맨 티가 발매 PV에서 오랜만에 등장했다. 2022년 [[전 울트라맨 대투표]]에도 축하 메세지를 보냈다. == 국내 방영 == 국내에선 2004년 11월 15일부터 MBC MOVIES(현 [[MBC every1]])에서 선방영, [[재능방송]] 후방영하는 식으로 방영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로 '''TV 방영된 울트라맨 시리즈'''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애니메이션까지 포함한다면 울트라맨이라는 타이틀로 방영된 [[더★울트라맨]]이 최초. 또 80나 타로(극장판 포함), 그레이트와 파워드는 비디오로 소개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등장인물들과 지명들이 한국식으로 바뀌었다. 몇몇 부분에서 로컬라이징이 미숙한 부분이 눈에 띄지만, 원래가 일본 작품이니 어쩔 수 없는 부분일 듯.[* 대원들의 제복에 부착되어 있는 일본 이름의 로마자 표기 등.] 다만 특징은 타 작품의 더빙판과 달리 티가로 변신 후의 기합소리도 [[유동균(성우)|유동균]] 성우의 목소리로 더빙했다.[* 그래서 당시 유동균 성우는 변신 후엔 대사도 거의 없고 누군가와 대화를 하는 것도 아니라 혼자서 기합소리만 내질러 대서 곤욕스러웠다고 회고했다. 변신 후의 티가가 말하는 장면은 거의 없지만, 일반 대사는 나가노 히로시가 직접 하는 것과는 달리 기합소리는 다른 성우였다.] 사실 이 때문에 이 작품은 국내 울트라 시리즈 팬들 사이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가지고 있는 작품이기도 한데 우리나라에 울트라맨 시리즈 팬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난 계기가 된 작품이 본작이기 때문이다. 오프닝은 [[TAKE ME HIGHER(V6)|원곡]]의 저작권료가 비쌌던 [[쟈니스 사무소|관계로]] [[울트라맨 가이아]]의 오프닝을 편곡해 사용했다.[* 다만 예고편에선 그 음악의 일부를 썼다.] 2004년 말 당시 TV에 방영하던 이 작품을 접하면서 울트라 시리즈의 팬이 되거나 시간이 지난 현재 과거 방영했던 티가를 추억하면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한때는 [[울트라맨 가이아]]와 티가 팬이 한국 울트라맨 팬 양대 세력을 구축하기도 했다. 그리고 원래부터 티가는 한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요소가 상당히 많다. 옴니버스처럼 보여지지만 이어지는 이야기 구조, 진지한 이야기, 잘생긴 배우~~이건 만국 공통이지만~~ 등.[* 거기에 티가가 최초로 [[폼체인지]]를 시도한 울트라맨인 만큼, 한국인한테도 티가의 타입 체인지는 신선하게 다가왔다.] == 주제가 == * 오프닝: '''[[TAKE ME HIGHER(V6)|TAKE ME HIGHER]]''' * 엔딩: '''Brave Love, TIGA''' == [[울트라맨 티가/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울트라맨 티가/등장인물)] === [[GUTS(울트라 시리즈)|방위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UTS(울트라 시리즈))] Global Unlimited Task Squad, 통칭 거츠. == [[울트라맨 티가/괴수 & 우주인 일람|등장 괴수 & 우주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울트라맨 티가/괴수 & 우주인 일람)] == 관련 작품 == * [[울트라맨 다이나]][* 티가의 정식 후속작이며 가타노조아와의 싸움 이후 7년이 지난 시점을 그리고 있다.] * [[울트라맨 티가 & 울트라맨 다이나 빛의 별의 전사들]] * [[울트라맨 티가 & 울트라맨 다이나 & 울트라맨 가이아 초시공의 대결전]] * [[울트라맨 티가: THE FINAL ODYSSEY]] * [[울트라맨 티가 외전: 고대의 되살아난 거인]] 비디오로 발매된 외전작. 마도카 다이고와 야나세 레나의 아들인 마도카 츠바사[* 마도카 츠바사 역을 맡은 야마구치 쇼고는 [[마탄전기 류켄도]]에서 [[나루카미 켄지]] 역을 맡는다.]가 등장한다. 그리고, 본작의 출연 배우 중 유일하게 GUTS의 대장인 [[이루마 메구미]] 역을 맡았던 타카키 미오가 마을의 무녀 역으로 출연한다. * [[대결전! 초 울트라 8형제]] 명목상은 [[울트라맨 뫼비우스]]의 극장판이지만 막상 주인공이어야 할 뫼비우스는 공기가 되었고, 실질적인 메인 주인공은 마도카 다이고인 울트라맨 티가이다. * [[울트라맨 트리거: NEW GENERATION TIGA]] * 울트라맨 크로니클 Z 히어로즈 오디세이 2021년 상반기에 편성된 걸작선 프로그램으로, 티가와 Z에 포커스를 맞추었다. 본작 방송을 기념하여 거츠 윙 1호와 2호의 DX 완구가 25년만에 출시. == 회차 목록 == || '''{{{#white 방영일}}}''' || '''{{{#white 방영 화수}}}''' || '''{{{#white 에피소드 제목}}}''' || '''{{{#white 등장 괴수 & 우주인}}}''' || || 1996/9/7 || 제1화 || [[마도카 다이고|빛을 잇는 자]] || [[초고대괴수 고르자]][br][[초고대룡 메르바]] || || 1996/9/14 || 제2화 || [[암석괴수 가쿠마|돌]]의 신화 || [[암석괴수 가쿠마|암석괴수 가쿠마(알파, 베타)]] || || 1996/9/21 || 제3화 || [[염마인 키리엘인|악마]]의 예언 || [[염마인 키리엘인]][br][[염마전사 키리엘로이드]] || || 1996/9/28 || 제4화 || [[복합괴수 리가트론|안.녕.히. 지구]] || [[복합괴수 리가트론]] || || 1996/10/5 || 제5화 || [[좀비괴수 시리자|괴수]]가 나타난 날 || [[좀비괴수 시리자]] || || 1996/10/12 || 제6화 || 세컨드 콘택트 || [[공중서식생물 크릭터]][br][[변형괴수 가조트]] || || 1996/10/19 || 제7화 || [[악질우주인 레규란 성인|지구에 내려온 남자]] || [[악질우주인 레규란 성인]] || || 1996/10/26 || 제8화 || [[이차원인 기란보|할로윈의 밤]]에 || [[이차원인 기란보]] || || 1996/11/2 || 제9화 || [[수호괴수 마키나|괴수]]를 기다리는 [[우주인 소녀 사키|소녀]] || [[우주인 소녀 사키]][br][[수호괴수 마키나]] || || 1996/11/9 || 제10화 || [[배리어괴수 가기|닫히게 되는]] 유원지 || [[배리어괴수 가기]] || || 1996/11/16 || 제11화 || 어둠으로의 [ruby(진혼곡, ruby=레퀴엠)] || [[이형진화괴수 에볼류]] || || 1996/11/23 || 제12화 || [[심해괴수 레이론스|심해]]에서의 SOS || [[심해괴수 레이론스]] || || 1996/11/30 || 제13화 || [[유괴우주인 레이비크 성인|인간채집]] || [[유괴우주인 레이비크 성인]] || || 1996/12/7 || 제14화 || 풀려난 표적 || [[극악헌터우주인 무잔 성인]] || || 1996/12/14 || 제15화 || [[변형괴수 가조트|환상의 질주]] || [[공중서식생물 크릭터]][br][[변형괴수 가조트|변형괴수 가조트 Ⅱ]] || || 1996/12/21 || 제16화 || [[이면귀 스쿠나오니|되살아나는 귀신]] || [[이면귀 스쿠나오니]] || || 1996/12/28 || 제17화 || [[적색주형우주인 스탄델 성인 레도르|빨강]]과 [[청색야형우주인 스탄델 성인 아보르바스|파랑]]의 싸움 || [[적색주형우주인 스탄델 성인 레도르]][br][[청색야형우주인 스탄델 성인 아보르바스]] || || 1997/1/4 || 제18화 || [[초고대괴수 고르자#s-2|고르자]]의 역습 || [[초고대괴수 고르자#s-2.1.1|초고대괴수 고르자(강화)]] || || 1997/1/11 || 제19화 || GUTS여 하늘로 <전편> ||<|2> [[기계인형 고브뉴 바하]][br][[기계인형 고브뉴#s-3|기계인형 고브뉴 기가]][br][[기계인형 고브뉴#s-4|기계인형 고브뉴 오그마]] || || 1997/1/18 || 제20화 || GUTS여 하늘로 <후편> || || 1997/1/25 || 제21화 || 나갈 차례다 [[마스코트소괴수 데반|데반]]! || [[마신 에노메나]][br][[마스코트소괴수 데반]] || || 1997/2/1 || 제22화 || [[기생괴수 마그니아|안개]]가 오다 || [[기생괴수 마그니아]] || || 1997/2/8 || 제23화 || [[공룡인류 나가|공]][[공룡병기 웨포나이저|룡]][[공룡인류 아담 & 이브|들]]의 별 || [[공룡인류 나가]][br][[공룡병기 웨포나이저|공룡병기 웨포나이저(1호, 2호)]][br][[공룡인류 아담 & 이브]] || || 1997/2/15 || 제24화 || 가라! 괴수탐험대 || [[강산괴수 리트마르스]] || || 1997/2/22 || 제25화 || [[염마인 키리엘인|악마]]의 심판 || [[염마인 키리엘인]][br][[염마전사 키리엘로이드#s-3|염마전사 키리엘로이드 Ⅱ]] || || 1997/3/1 || 제26화 || [[강력괴수 실버곤|무지개 괴수 마경]] || [[강력괴수 실버곤]][br][[배리어괴수 가기|배리어괴수 가기(2대)]] || || 1997/3/8 || 제27화 || [[요괴 오비코|오비코]]를 봤다 || [[요괴 오비코]] || || 1997/3/15 || 제28화 || 물거품처럼... || [[갑수 조바리에]] || || 1997/3/22 || 제29화 || 푸른 밤의 기억 || [[침략우주인 나탄 성인]] || || 1997/3/29 || 제30화 || [[변이괴수 킹 모랫|괴수]] 동물원 || [[변이괴수 킹 모랫]] || || 1997/4/5 || 제31화 || [[인공생명체 비자모|습격]]받은 GUTS 기지 || [[인공생명체 비자모]] || || 1997/4/12 || 제32화 || 젤다 포인트의 공방 || [[괴조 시라]] || || 1997/4/19 || 제33화 || [[흡혈마수 큐라노스|흡혈도시]] || [[흡혈마수 큐라노스]] || || 1997/4/26 || 제34화 || 남쪽 끝까지 || [[생체병기 데시모니아]] || || 1997/5/3 || 제35화 || [[초우주인 데시모 성계인|잠자는 소녀]] || [[초우주인 데시모 성계인]][br][[우주강철용 구왐]] || || 1997/5/10 || 제36화 || [[초력괴수 골드라스|시공]]을 초월한 미소 || [[초력괴수 골드라스]] || || 1997/5/17 || 제37화 || 꽃 || [[모략우주인 마논 성인]] || || 1997/5/24 || 제38화 || [[신기루괴수 팔돈|신기루의 괴수]] || [[신기루괴수 팔돈]][br][[기수 데스몬]] || || 1997/5/31 || 제39화 || 울트라맨 님께 전해드립니다 || [[초고대괴수 가루라]] || || 1997/6/7 || 제40화 || [[몽환괴수 바쿠곤|꿈]] || [[몽환괴수 바쿠곤]] || || 1997/6/14 || 제41화 || 우주에서 온 친구 || [[패러사이트우주인 이루도]] || || 1997/6/21 || 제42화 || 소녀가 사라진 마을 || 메카생명체 파이버스[br][[극악헌터우주인 무잔 성인|극악헌터우주인 무잔 성인(홀로그램)]][br][[유괴우주인 레이비크 성인|유괴우주인 레이비크 성인(홀로그램)]] || || 1997/6/28 || 제43화 || [[지중상어 게오자크|지중의 상어]] || [[지중상어 게오자크]] || || 1997/7/5 || 제44화 || [[이블 티가|그림자]]를 잇는 것 || [[이블 티가]][br][[초고대당견괴수 가디]] || || 1997/7/12 || 제45화 || 영원의 생명 || [[초고대식물 기제라]] || || 1997/7/19 || 제46화 || 카마쿠라를 향해 || [[무지개빛괴수 타라반]] || || 1997/7/26 || 제47화 || 어둠에 작별을 || [[이형진화괴수 메타모르가]] || || 1997/8/2 || 제48화 || [[에일리언 멘쥬라|달에서 온 도망자]] || [[에일리언 멘쥬라]] || || 1997/8/9 || 제49화 || [[M78 성운#s-2|울트라의 별]] || [[우주마인 체리자]][br][[우주공룡 야나카기]][br][[울트라맨|초대 울트라맨]] || || 1997/8/16 || 제50화 || [[TAKE ME HIGHER(V6)|좀 더 높이! Take me Higher!]] ||<|3> [[초고대첨병괴수 조이가]][br][[사악신 가타노조아]][* 51화부터 등장.] || || 1997/8/23 || 제51화 || [[사악신 가타노조아|암흑의 지배자]] || || 1997/8/30 || 제52화[br](최종화) || 빛날 수 있는 것들에게 || == 타임라인 == * '''1화 ~ 52화''' * '''[[울트라맨 티가: THE FINAL ODYSSEY]]''' * [[울트라맨 다이나]] * [[울트라 갤럭시 파이트: 운명의 충돌]] * '''[[울트라맨 트리거]] - 19화, 25화''' == 기타 == * [[https://www.youtube.com/watch?v=aWQ7XsoN80Q|32가지 TMI]] * 'Take Me Higher'는 [[이탈리아]]의 [[유로비트]] 제작자인 "[[지안카를로 파스퀴니]]"(Giancarlo Pasquini)가 프로듀서 하였는데 나중에 이 곡을 영어 가사로 개사해 자신의 명의로 같은 이름의 곡과 앨범을 낸다. [[https://www.youtube.com/watch?v=hOKO51xM4oA|지안카를로 파스퀴니(데이비 로저스) 버전]] * 히로인인 레나 역의 배우는 초대 울트라맨에서 주인공 하야타를 맡았던 쿠로베 스스무 씨의 딸 요시모토 타카미이다.[* 쿠로베 스스무의 본명은 요시모토 타카시이다.] * [[미소의 세상]]에서 의외로 잠깐 나온다. 25화(더빙판에선 스페셜 1화)에서 잠깐 나온다. 애들이 오디션 보는 시나리오인데, 남자애가 울트라맨을 잠깐이지만, 언급한다. 여기선 저작권 문제 인건지 이상하게 '울트라맨 티가'가 아니고 '''울트라 세븐티 세븐'''이라는 괴악한 이름으로 나온다. 아무튼 얘는 울트라맨 팬인 것 같다. 희한하게도 한국에서도 [[울트라맨 타로]]의 한글 수입판인 '제트맨'에서 선배 울트라맨들을 세븐티 ○○맨으로 현지화한 적이 있는데 우연하게도 비슷하다. 아마 둘 다 [[M78 성운]]에서 따와서 그렇게 된 것 같다. 참고로 [[미소의 세상]]과 울트라맨 티가의 방송사는 둘 다 [[TBS 테레비]]로 같다. * 2002년 [[미국]]에서 [[4Kids Entertainment]]에 의해 제작된 영어 더빙판이 방영되었지만 인기가 없어 25화로 조기종영되었다. 당연히 주제가 등 각종 음악도 자체 제작한 음악으로 대체됐다.[* [[파워레인저]]나 [[슈퍼휴먼 사무라이 사이버스쿼드|컴퓨터 특공대]]와는 달리 '''[[미국]]에서 유일하게 [[영어]]로 [[더빙]] 방영된 일본 [[특촬물]]이다!''' 앞서 언급한 두 특촬물은 '''원작을 [[리메이크]]했기 때문.'''] [[https://www.youtube.com/watch?v=3zPxRI8ICI8|4Kids판 1화]] * [[파일:external/m-78.jp/bd-1.jpg]] HD 방송이 방영된 적이 있고, 2014년 9월 24일에 블루레이로 발매되었다. * [[http://zambony.egloos.com/819710|제작비화1]] · [[https://gall.dcinside.com/ultraseries/37653|제작비화2]] * [[http://zambony.egloos.com/3902911|티가와 그의 적들에 대한 글]], [[https://twitter.com/redfall1972/status/1391615257374691332|티가를 비롯한 TDG 3부작에 대한 공통점]] * [[중국]]에선 국민 특촬이라고 할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했다. 2004년 공중파에서 정식 방영되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티가 이후로 한동안 울트라맨이 공중파에 정식 수입되지 않아 티가의 인기가 더욱 급증했다고 한다. 중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울트라맨 시리즈이다. [[https://akiba-souken.com/article/57726/?page=2|#]] * 그러나 2021년 9월 당국이 폭력성과 선정성이 묘사된 아동용 애니메이션 등에 퇴출령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작품을 VOD 서비스 등지에서 배제하도록 요구되었다고 한다. 그 영향으로 본작이 폭력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는 이유로 중국의 주요 VOD 서비스 등지에서 일제히 사라졌다. [[장쑤성]] 당국이 2021년 4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미성년자에게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는 애니메이션 21개를 조사대상으로 선정되어 그 중 본작도 포함되었다고 한다.[* 그 외에 [[명탐정 코난(애니메이션)]], [[페파피그]], [[My Little Pony|마이 리틀 포니]] 등도 여기에 포함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927137700083|#]]) 이후 울트라맨 티가는 같은 해 9월 27일 편집된 형태로 중국의 모든 스트리밍 비디오 웹사이트에 복귀했다.[[https://radiichina.com/ultraman-tiga-has-returned/|#]] * 일본 현지에서 조사하는 울트라맨 인기 투표에서 항상 최상위권이다. * 2013년 츠부라야에서 조사한 '울트라 히어로 총선거'에서 티가가 9306표를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다.[[https://m-78.jp/news/n-2035|#]] * 2019년 일본인 8,000명이 뽑은 '당신이 좋아하는 헤이세이 시대 울트라맨 랭킹'에서 847표를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다.[[https://rankingoo.net/articles/movie/20190424/4|#]] * 2020년 일본인 6,000명이 뽑은 '가장 좋아하는 헤이세이 시대 울트라맨 랭킹'에서 1507표를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다.[[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68273/3|#]] * 2021년 일본인 5,000명이 뽑은 '인기 울트라 전사 랭킹'에서 울트라맨 티가가 895표를 득표하며 1위를 차지했다.[[https://nlab.itmedia.co.jp/research/articles/142254/4|#]] * 2022년 [[NHK]]가 주최한 [[전 울트라맨 대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완구의 비정상적인 프리미엄 === 티가의 변신기 스파크 랜스는 반다이에서 발매한 성인용 완구 시리즈인 울트라 레플리카 시리즈 중에서도 초대 울트라맨의 변신기인 베타 캡슐과 더불어 최고의 인기를 자랑한다. 원래 이런 마케팅쪽이 부실한 울트라맨 시리즈에서도 보기 드문 기현상으로 평가 될 정도. 일단 '''3000체 한정으로 발매했다.''' 신품은 말할 것도 없고 상태가 나쁜 중고품까지도 프리미엄이 심하게 붙은 상황으로 2020년 초 기준으로 발매 가격의 '''5배''' 이상은 줘야 신품에 도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프리미엄의 원흉은 [[V6]]의 [[나가노 히로시]] 때문이라는 평이 많다. 기존 울트라 시리즈 팬이나 특촬 팬뿐만이 아니라 V6, 쟈니스의 팬들도 스파크 랜스를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본의 아니게 기록적인 프리미엄을 자랑하게 되었다. [[그레이트 파이브|문제는 이 기이한 현상이 방영 20년 넘게 지난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고,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라는 것이다.]] 티가의 스파크 랜스로 돈 맛을 제대로 본 반다이가 상술을 부리기 위해 똑같이 3000체 한정으로 발매한 블랙 스파크 랜스는 안타깝게도 인기가 없다. 2021년 7월 발매 예정인 [[진골조제법]] 울트라맨 티가도 예약 전쟁이 치열했다. 본토인 [[일본]]에서는 더 화제였는데, [[울트라 시리즈]] 최초로 진골조제법 브랜드로 발매되면서 [[https://twitter.com/cosmos037278151/status/1367552804538048513|츠부라야 프로덕션과 슈트 액터가 직접 감수]]에 참가한 데다가 어지간해선 울트라맨 티가 매체에 참여하지 못하는 나가노 히로시까지 PV에 참가할 정도로, 기존 울트라 시리즈의 팬뿐 아니라 수집가와 [[특덕]]들에게도 관심이 높았다. 이렇게 울트라맨 티가의 상품은 일본의 울트라맨 팬만 노리는 게 아니고, [[나가노 히로시]]의 팬과, 중국 팬들까지 손을 대서 수요가 많아 구하기가 굉장히 어려우며, 가격 상승을 노리는 [[전매상]]이나 울트라맨엔 관심이 없으나 하나 정도는 사놨다가 놔중에 되팔 생각을 하는 개인 [[되팔기|되팔렘]]까지 붙으면서 정말 구하기 힘든 것으로 악명이 높다. 울트라맨 티가 상품을 예약 구매하고 싶다면 스케줄을 확실히 정해놓고 신속하게 예약할 것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