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개의 품종 울프하운드, rd1=아이리시 울프하운드, other2=배틀테크 세계관에 등장하는 배틀메크(대형 로봇보행병기), rd2=울프하운드)] ||<-2>
{{{#000000,#dddddd '''{{{+1 울프 하운드}}}''' (2022)[br]Wolf Hound}}} || ||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액션, 전쟁}}} || ||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B. 체이트}}} || ||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B. 체이트, 티모시 릿체이}}} || ||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B. 체이트, 수 위덤}}} || ||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웨슬리 개스라이트}}} || ||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이클 크래머}}} || ||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MU Pictures}}} || ||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풍경소리}}} || ||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라이언스게이트]], 그림스톤 엔터테인먼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풍경소리, 플레이그램(제공)}}} || ||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2년 6월 3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9일}}} || ||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2.39:1}}} || ||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30분}}} || ||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3,013명''' ([[2023년]] [[2월 22일]] 기준)}}} || ||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lionsgate.com/movies/wolf-houn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2022년 액션, 전쟁 영화. 한국에선 2023년 2월에 개봉. 감독은 마이클 B. 체이트이고, 제임스 매스로우, 트레버 도노반 등이 출연했다. == 예고편 == [navertv(28457378)] == 시놉시스 == >'''코드네임 ‘울프 하운드’''' >'''런던 폭격을 막기 위한 비밀 전투 실화''' >연합군의 전투비행단이 독일 전투기에 급습을 당한다. >홀로 적진에 추락한 파일럿은 독일군의 추격을 받고 >런던 폭격의 일급 작전인 코드네임 ‘울프 하운드’를 알게 된다. >독일군 기지에 잠입해 포로로 잡힌 동료를 탈출시키고 >폭격을 막기 위해 함께 지상전과 공중전을 벌이는데… > >논스톱 전쟁 액션을 만난다! >---- >출처: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213406|네이버 영화]] == 등장인물 == * 제임스 매스로우 - 데이빗 홀든 역 미 공군 대위. 편대에서 호위 기체의 파일럿. 독일 전투기에 급습을 당하고, 낙하산을 타고 착륙해서 살아남았다. 붙잡힌 동료를 탈출시키려 한다. * 트레버 도노반 - 에리히 로스 역 KG-200 비행단 소속 독일 공군 장교. 노획한 연합군의 기체를 가지고 데이빗의 편대를 현혹시킨 뒤 급습한다. "한 놈도 살려두지 않는다."(No surviver!)라며, 다소 과격하게 살상에 집착한다. * 존 터크 - 크라이거 역 * 마이클 포스터 - 롤프 워너 역 * 존 웰스 - 잭 레이놀즈 역 미 공군 대위. 편대에서 주력 기체의 파일럿. 비행 중에 데이빗에게 "한 명이라도 전쟁을 바꿀 수 있다. 네가 생각하는 방식이 아닐지라도."는 대사를 남긴다. == 설정 == == 줄거리 == == 평가 == ## ## ## 영화 코드란, 개별 영화를 구분하기 위해 숫자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련번호입니다. 해당 사이트 UR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메타크리틱의 경우 'https://www.metacritic.com/movie/aquaman/critic-reviews'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aquaman' 부분이 코드입니다. ## 야후 재팬 영화의 경우 'https://movies.yahoo.co.jp/movie/%E3%82%A2%E3%82%AF%E3%82%A2%E3%83%9E%E3%83%B3/365472/'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일본어 부분은 무시하고 '365472'만 적으면 됩니다. ## 왓챠의 경우 URL이 'https://watcha.net/mv/aquaman-2018' 형식에서 'https://watcha.com/ko-KR/contents/mWqJbZX' 형식으로 바뀌었습니다. 'mWqJbZX'가 코드입니다. ## ## ## ## 영화코드와 평점을 입력하고 해당 틀 앞에 ##을 제거시 틀이 표시됩니다. ## 점수를 넣지않고 빈 틀만 넣는 것은 '추가 바람'이고 규정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https://board.namu.wiki/b/qna/2833648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영화코드, critic=XX, user=X.X)]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영화코드, tomato=XX, popcorn=XX)] ## 틀:평가/IMDb - 틀:평가/레터박스 는 list= 또는 rank= 매개변수를 쓸 때만 해당리스트가 표시됩니다. ##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IMDb, code=영화코드, user=X.X, list=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rank=XXX)] ##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rank=XXX)] ##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영화코드, presse=X.X, spectateurs=X.X)] ##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영화코드, MYMOVIES=X.XX, CRITICA=X.XX, PUBBLICO=X.XX)] ##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왓챠,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코드, light=XX.XX)] ##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코드, expert=X.XX, audience=X.XX, user=X.XX)] ##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CGV, code=영화코드, egg=XX)] ##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RQE,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X±)] ## [include(틀:평가/TMDB,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RogeEbet.com,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yDramaList,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영화코드, user=X.XX)] ##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영화코드, user=X.X)] ## [include(틀:평가/네이버 시리즈온, code=영화코드, user=X.XX)]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링크)/|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캐나다, 출력=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include(틀:국기, 국명=)]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1주차 ||2023-02-09. 1일차(목) || 1,286명 ||<|7> 2,923명 || -위 || -원 ||<|7> 23,409,397원 || ||2023-02-10. 2일차(금) || 282명 || 31위 || 2,250,400원 || ||2023-02-11. 3일차(토) || 423명 || 27위 || 3,395,499원 || ||2023-02-12. 4일차(일) || 292명 || 30위 || 2,347,198원 || ||2023-02-13. 5일차(월) || 246명 || 25위 || 1,969,800원 || ||2023-02-14. 6일차(화) || 203명 || 32위 || 1,619,600원 || ||2023-02-15. 7일차(수) || 191명 || 29위 || 1,512,800원 || ||<|7> 2주차 ||2023-02-16. 1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2-17. 2일차(금) || 30명 || -위 || 200,000원 || ||2023-02-18. 3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2-19. 4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2-20. 5일차(월) || 30명 || -위 || 200,000원 || ||2023-02-21. 6일차(화) || -명 || -위 || -원 || ||2023-02-22. 7일차(수) || -명 || -위 || -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 ~ 20XX/XX/XX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 [[북미]] ([[미국]]·[[캐나다]]) === === 기타 국가 === == 기타 == * 이 영화는 연합군의 전투기를 노획해서 연합군 공군을 현혹시켰던 실재했던 독일의 KG-200 비행단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 독일의 KG-200 비행단 편대가 미 공군을 현혹시킨 기종은 영국 공군에게서 노획한 [[슈퍼마린 스핏파이어|스핏파이어]]와 [[호커 허리케인|허리케인]]이었다. 그래서 데이빗의 편대가 영국 공군(RAF)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무전을 넣어 교신을 시도하는 장면이 나온다. * 극중에 미 공군이 독일군을 표현할 때 크라우트(Kraut)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는 2차대전 당시 독일을 비하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던 표현이다. * 독일군 장교가 포로로 잡힌 리코더 부는 유태인 미군 병사를 괴롭히면서 자기 엄마가 자주 불러줬다며 리코더로 불러달라던 노래는 [[요하네스 브람스|브람스]]의 In Stiller Nacht(Op. WoO 34, Nr. 8)이다. 이 유태인 미군 병사는 리코더로 [[The Star-Spangled Banner|미국 국가]]를 불러서 장교를 엿먹였다. [[분류:2022년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전쟁 영화]][[분류:전쟁 영화/제2차 세계 대전]][[분류:라이언스게이트]][[분류:실화 바탕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