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워커 뷸러)] [목차] == 개요 == [[워커 뷸러]]의 선수 경력을 담은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헨리 클레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2 드래프트에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에 지명되었지만 프로 입단 대신 대학 진학을 선택했다. 그후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2학년 때 12승 2패 111탈삼진 평균자책점 2.64를 기록하며, 팀의 대학리그 월드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미국 대표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렇듯 대학 시절에 맹활약한 후에 2015년에 다시 드래프트에 참가하고 다저스의 1라운드 지명을 받았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마이너 리그 시절 === 그러나 드래프트 당시 뷸러는 팔꿈치에 문제가 생겼고, 이에 MLB 파이프라인 기준 11위 유망주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저스의 순번까지 밀리고 만다. 결국 2015년 8월에 [[토미 존 서저리]]를 받고 재활한 뒤에 2016년 막바지에 복귀했다. 재활 기간이 짧아 우려도 있었지만 우려가 무색하게도 2017년에 마이너리그에서 활약했고 2017년 9월 확장 로스터 시기에 마이너 입성 1년만에 메이저리그에 입성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17년|2017 시즌]] === 9월 7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 MLB 데뷔전을 가졌고, 2이닝 2K 무실점 피칭을 선보이며 화려한 데뷔전을 치렀다. 하나 9월 10일 콜로라도와의 시리즈 4차전 등판에서 0.1이닝 2피안타 1피홈런 2볼넷 4실점으로 무너지며 메이저의 벽을 실감했다. 9월 2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 3:4로 뒤진 6회에 올라와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고, 팀이 7회 역전 결승점을 뽑아준 덕분에 데뷔 첫 승을 올릴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등판에선 이렇다 할 활약을 펼치지 못하며 메이저리그의 쓴맛을 경험했다. 2017년 최종성적은 8경기 등판, 9 1/3이닝, 11피안타, 8실점, ERA 7.71, 삼진 12개, 볼넷 8개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 [[워커 뷸러/선수 경력/2018년|2018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커 뷸러/선수 경력/2018년)] 콜업 후 연이은 호투로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하며 부상에 무너지던 다저스를 지탱했고, 타이 브레이커와 NLCS 7차전, 월드 시리즈 3차전에서 보여준 호투로 큰경기에서 강한 면모까지 입증하며 향후 다저스 차세대 에이스로서의 가능성을 보인 시즌. === [[워커 뷸러/선수 경력/2019년|20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커 뷸러/선수 경력/2019년)] 성공적인 데뷔 첫 풀타임 시즌. 그리고 지난해에 이어 포스트시즌에서 강한 면모를 입증하다. === [[워커 뷸러/선수 경력/2020년|20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커 뷸러/선수 경력/2020년)] 시즌 내내 물집 부상으로 고전하며 정상적인 시즌을 치르지 못했으나, 포스트시즌에서 빅게임 피처의 면모를 보이며 팀에 32년 만의 월드 시리즈 우승을 선사한 시즌. === [[워커 뷸러/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커 뷸러/선수 경력/2021년)] 꾸준함을 바탕으로 커리어 첫 이달의 투수상을 받고 사이 영 레이스에도 합류하는 등, 2020 시즌의 부상을 털고 다저스 소속으로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 [[워커 뷸러/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워커 뷸러/선수 경력/2022년)] 구속과 구위, 공의 회전수가 지난해보다 눈에 띄게 하락하며 부진한 시즌을 보냈고 불의의 부상으로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된 아쉬운 시즌.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3년|2023 시즌]] === 로버츠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올시즌 복귀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고, 뷸러를 건강하게 하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든 가치가 있으며 불펜 투수만 될 수 있더라도 복귀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3월 1일자로 캐치볼을 시작했다.[[https://www.instagram.com/reel/CpRQ9tZpntB/?igshid=YmMyMTA2M2Y=|#]] 4월 29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150피트 짜리 캐치볼을 소화했으며 [[데이브 로버츠]] 감독 피셜로 최고 88마일까지 올라왔다고 한다.[[https://twitter.com/Matthew__Moreno/status/1652439033786802176?t=OR1U1174UhCDG3cDaBuAmw&s=19|#]] 본인 언급으로는 적어도 9월 1일에는 복귀를 희망한다고 알렸다. 그러나 수술을 작년 8월에 받았으므로 재활을 1년컷을 한다는 얘기인데 과연 가능할 지는 의문.[* 과거 [[배영수]]가 토미 존 수술 후 재활을 너무 급하게 했다가 구속이 급락한 사례가 있다.] 7월 18일에는 다저스 매체인 '''SportsNet LA'''에 출현하여 본인 피셜로 최고 94마일까지 올라왔다고 알렸다.[[https://twitter.com/BlakeHHarris/status/1681467961536843777?t=TpgU6A4qXq4ns2BIpvYy9w&s=19|#]] 그리고 올라온 시뮬레이션 피칭 영상을 보면 팔스윙을 수술 전 대비 간결하게 수정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두 번째 수술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팔꿈치에 무리가 덜 가는 방향으로 교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수술 전처럼 빠른 구속을 기대하기는 힘들 듯. 8월 9일에는 올시즌 처음으로 타자들을 상대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소화했다. 패스트볼의 최고 구속은 94마일에 대개 92-93마일에서 형성되었다고 한다. 8월 14일에는 두 번째 시뮬레이션 피칭을 했는데, 첫 번째 피칭보다는 좋지 않았다고 한다. 9월 3일자로 트리플 A 경기에서 리햅 등판을 가졌고, 2이닝 2K 무실점으로 마쳤으며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94.4마일, 최고 구속 96.1마일로 첫 실전 등판 치고는 매우 준수했다.[[https://twitter.com/Dodgers/status/1698544647482867806?t=LvYtMi1MvwY1dmNFwst8eg&s=19|피칭 영상]][[https://twitter.com/ByJackHarris/status/1698419518786408624?t=4Cli5a3kezyyk7sYl0Qt-w&s=19|구종별 구속]] 그러나 [[훌리오 유리아스]]가 2019년 이후 4년만에 또 다시 가정폭력 혐의로 체포되면서 사실상 시즌 아웃되어버리는 바람에 다저스의 선발 뎁스가 그야말로 엉망이 되면서 뷸러의 복귀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하지만 구단에서 성명문을 통해 선수 보호를 목적으로 2023 시즌에는 뷸러를 복귀시키지 않기로 최종 결정을 내렸고, 이 자리는 [[라이언 페피오]]를 재콜업해서 로테이션에 포함시킨 뒤 시즌을 마감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다행히 페피오는 재콜업 후에 처음으로 선발 등판한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원정경기에서 7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면서 기대치만큼의 활약을 보여줬다.] == 정규 시즌 기록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워커 뷸러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7>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8 || 1 || 0 || 0 || 1 || 9⅓ || 7.71 || 11 || 2 || 8 || 0 || 12 || 2.036 || 56 || -0.1 || -0.2 || || 2018 || 24 || 8 || 5 || 0 || 0 || 137⅓ || 2.62 || 95 || 12 || 37 || 6 || 151 || 0.961 || 148 || 3.0 || 3.8 || || 2019 || 30 || 14 || 4 || 0 || 0 || 182⅓ || 3.26 || 153 || 20 || 37 || 7 || 215 || 1.042 || 126 || 5.0 || 2.3 || || 2020 || 8 || 1 || 0 || 0 || 0 || 36⅔ || 3.44 || 24 || 7 || 11 || 1 || 42 || 0.955 || 124 || 0.5 || 0.3 || || 2021 || '''33''' || 16 || 4 || 0 || 0 || 207⅔ || 2.47 || 149 || 19 || 52 || 6 || 212 || 0.968 || 165 || 5.6 || 6.7 || || 2022 || 12 || 6 || 3 || 0 || 0 || 65 || 4.02 || 67 || 8 || 17 || 2 || 58 || 1.292 || 104 || 1.0 || 0.4 || || 2023 ||<-16> 시즌 아웃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115 || 46 || 16 || 0 || 1 || 638⅓ || 3.02 || 499 || 68 || 162 || 22 || 690 || 1.036 || 137 || 15.1 || 13 || == 포스트시즌 기록 == ||<-16>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워커 뷸러의 역대 MLB 포스트시즌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결과 || || 2018 ||<|4>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4 || 0 || 1 || 0 || 0 || 23⅔ || 3.80 || 16 || 3 || 2 || 0 || 29 || 0.76 || '''WS 탈락''' || || 2019 || 2 || 1 || 0 || 0 || 0 || 12⅔ || 0.71 || 5 || 0 || 7 || 1 || 15 || 0.88 || '''DS 탈락''' || || 2020 || 5 || 2 || 0 || 0 || 0 || 25 || 1.80 || 18 || 2 || 12 || 0 || 39 || 1.20 || '''WS 우승''' || || 2021 || 4 || 0 || 2 || 0 || 0 || 18⅓ || 4.91 || 22 || 3 || 9 || 0 || 18 || 1.69 || '''CS 탈락'''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4시즌) || 15 || 3 || 3 || 0 || 0 || 79⅔ || 2.94 || 61 || 8 || 31 || 1 || 101 || 1.16 || '''WS 1승 1패[br]1CS[br]1DS'''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워커 뷸러, version=418, paragraph=4)]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워커 뷸러, version=387, paragraph=2)] [[분류:워커 뷸러]][[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