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1 院朴驛 / Weonbag Station }}} ||<-3> {{{+2 '''원박역'''}}}[br]{{{#red '''(폐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Weonbag || || [[한자]] ||<-2><|2> 院朴 || || [[가나(문자)|가나]] || ||<-3> '''주소''' || ||<-3>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 || ||<-3> '''관리역 등급''' || ||<-3> [[폐역]][br]--([[대한민국 철도청]])-- || ||<-3> '''개업일''' || || [[충북선]] ||<-2>1958년 ?월 ?일~[br]1974년 8월 15일 || ||<-3> '''열차거리표''' || || [[조치원역|{{{#!html
조치원 방면}}}]][[공전역|공 전]][br]← ?.? ㎞ || '''[[충북선|옛 충북선]]'''[br]원 박 || [[봉양역|{{{#!html
봉양 방면}}}]][[봉양역|봉 양]][br]?.?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옛 [[충북선]]선의 [[폐역]]. 원박리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신설된 역으로 195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개업하였으나 수요저조로 1974년 [[충북선]] [[복선|복선화]]로 인해 노선이 이설되며 폐역되었다. 폐역되기 전에는 충청북도 [[제원군]] 봉양면[* 현 [[제천시]] [[봉양읍]]] 원박리에 위치하였다. '''역은 지어놓고 폐역될 때 까지 역 운행을 한차례도 안한 유일무이한 역'''으로 유명하다. 충북선 복선화 추진 당시 이 역을 폐역시키고 대체역으로 [[연박역]]이 건설 될 계획이었다. 흔적은 존재하지 않는다.[* 의암로1길 도중에 흔적으로 추정되는 곳이 있다.] 1980년 복선화 때 이설되면서 철거되었고, [[철도 동호인]]의 활동이 활발해진 2000년대 이전에 흔적조차 사라진 지 오래였기 때문이다. 남아 있는 사진자료도 전혀 없다. 후술할 실존여부가 논란이 되었던 이유도 너무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 실존여부? == [[지도]]나 [[문헌]]에만 표기되어 있는 역으로 탑승객이 없어 [[연박역]]과 함께 실존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았다. 하지만 실제 플랫폼이 남아있었던 실재 존재했던 역이다. 그 당시 [[충북선]]을 운행하던 [[기관사]]분의 [[증언]]에 따르면 역은 만들어 놓았으나 옆에 도로가 신설되어 수요가 저조해 실제 운행은 한차례도 안한 채 폐역되었다고 한다. 2020년대 현재에도 공전역 동쪽에서 원박천을 따라 산으로 들어가는 선로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 옛 선로의 선형을 추적할 수는 있다. 평지 구간은 완전히 논밭으로 평탄화된 곳도 많으나 일부 구간은 비포장도로로 쓰이거나 교각이나 터널[* 통행로로 쓰이는듯 하다.] 등이 아직 남아있다. 카카오나 네이버 지도 서비스로도 상당한 구간이 보이지 않으므로 직접 답사하면서 찾아보는 수 밖에는 없을 듯하다. == 역사 == * 1958년 : 역 완공 * 1974년 8월 15일 : 폐지 == 둘러보기 == [include(틀:충북선의 역 목록)] [[분류:충북선]][[분류:1958년 개업한 철도역]][[분류:1974년 폐지된 철도역]][[분류:제천시의 폐지된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