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원불교 모스크바교당'''}}}[br]{{{-1 '''Вон-буддизм Московский кёдан'''}}}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원불교 모스크바교당.jpg|width=100%]]}}} || || '''{{{#221f20 설립}}}''' ||원기 77년([[1992년]]) [[9월 3일]] ^^{{{-2 ([age(1992-09-03)]주년)}}}^^ || || '''{{{#221f20 위치}}}''' ||125057 г.Москва, ул. Острякова, д.9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125057 г.Москва, ул. Острякова, д.9а, 높이=224px, 너비=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원불교]] 교당. 단순히 종교 시설을 넘어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 역사 == 소련의 개방정책 이후 현지 상황을 파악하고자 재미교포 경제인 및 언론인과 초타원 백상원 교무가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와 한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알마타, [[타슈켄트]]를 방문해 현지인들과 만났다. 원기 76년(1991년), 모스크바에 종교법인을 설립했다. 원기 77년(1992년), 초타원 백상원 교무와 여타원 한은숙 교무가 교화를 시작했다. 원기 78년(1993년) 1월, 모스크바교당은 원불교 교화활동과 문화활동을 시작한다. 초타원 백상원 교무는 [[고려인]]들의 뿌리를 찾아주기 위해 현지 전문대학교를 임대해 주말학교인 ‘원광한국학교’를 개설했다. 러시아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친다. 원광한국학교는 문화센터 맥과 한국어 교육기관 원광세종학당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원기 97년(2012년), 경산 [[장응철]] 종법사가 모스크바를 방문해 모스크바교당, 원광세종학당을 둘러보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636199|#]] == 특징 == [[러시아]]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접하고 싶은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다. 많은 노력 덕분인지 [[주러시아 대한민국 대사관]], [[주러시아 한국문화원]] 등 정부기관에서도 문화행사 참가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해마다 러시아인에게 큰 행사로 알려진 '러시아의 날'인 6월 12일에는 '한러 친선 한민족 문화큰잔치'를 개최한다. [[고려인]]들이 한국전통문화를 즐기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도록 원광한국학교 학생들의 운동회로 시작한 행사다. 민속놀이, 전통예술공연, [[K-POP]] 등 한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됐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모스크바교당은 종교활동과 문화활동을 엄격히 구분하고 있다. 문화활동을 할 때는 종교적 색채를 전혀 띠지 않고 순수하게 문화활동만 해서 국적과 인종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분위기를 형성했다. 이는 모스크바에서 [[원불교]]가 현지의 신뢰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종교활동인 법회는 러시아 국적의 [[고려인]]들뿐 아니라 러시아 현지인과 [[재외동포]]들이 참석한다. 2012년에는 [[러시아어]]로 번역된 [[정전(원불교)|정전]]을 발간했다. == 교통 == [[아에로포르트 역]]과 가깝다. == 여담 == * [[러시아]] 포교가 어느 정도 잘 갖춰져 사이가 원만해서인지, 2020년에는 [[러시아 정교회]] [[테오파니스 김]] 대한대주교가 익산 중앙총부를 방문하기도 했다. [[분류:교당]][[분류:1993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