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아프리카TV|[[파일:아프리카TV 베스트BJ.svg|width=300]]]] || ||<-2> '''{{{#white 前 스타크래프트 1, 2 프로게이머}}}''' || ||<-2> '''{{{#white 現 아프리카TV BJ}}}'''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전직 프로게이머 원선재.jpg|width=100%]]}}} || ||<-2> '''{{{+1 원선재}}}'''[br]'''Won Seon Jae''' || || '''{{{#white 닉네임}}}''' ||Motive원선재 || || '''{{{#white 생년월일}}}''' ||[[1993년]] [[7월 12일]] ([age(1993-07-12)]세)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white 학력}}}'''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경북관광고등학교]] {{{-2 ([[졸업]])}}} || || '''{{{#white 신체}}}''' ||176cm, 78kg, [[AB형]] || || '''{{{#white 가족}}}''' ||아내 [[애공|김은하]][* 2022년 9월 17일 결혼.], 아들 원도준[* [[https://bj.afreecatv.com/byebye22/post/100612092#2|2023년 3월 20일 출생]].] || || '''{{{#white 소속}}}'''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2011~2013) || || '''{{{#white 데뷔}}}''' ||[[드림리그#s-2|KeSPA 드림리그]] 10-11 vs. [[유충희]] ([[2010년]] [[12월 23일]])[* 당시에는 준프로 시절이었다. 이는 드림리그의 경우 준프로나 아마추어도 참가가 가능했기 때문.] || || '''{{{#white 종족}}}''' ||[[프로토스]] || || '''{{{#white ID}}}''' ||'''Motive''', Lizzy || || '''{{{#white 별명}}}''' ||[[최종병기|비밀병기]][* 잘 하는 날에는 '''비밀병기''', 못 하는 날에는 '''비밀변기'''라고 불리기도 했다.], 1주본좌, 왕꼬치[* [[염석대]]의 코치를 맡게 되며 [[염보성]]에게 원코치라고 불리는데 계속 원코치 원코치 하고 부르다 보니 발음이 왕꼬치 비슷하게 들려서 생긴 별명. 그 이후 게임내 아이디를 왕꼬치로 변경했다.]|| || '''{{{#white 프로리그 BGM}}}'''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 Infinitize || || '''{{{#white 방송국}}}''' ||[[http://bj.afreecatv.com/zealot0846|[[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와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OGN|온게임넷]] 게임 연출 담당. == 선수 경력 ==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3|2011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의 2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에서는 KT팬을 제외하고는 인지도도 없다시피한 그저 그런 KT의 신인이었지만, 그 차기 프로리그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 [[스타크래프트2]]가 병행되게 되고, KT팀 내에서 가장 스타 2를 먼저 시작한 선수다. 시즌 초에 시작했는지 팀 내 유일한 그랜드 마스터 등급을 달성했다.[* 참고로, [[이영호]]는 사전 유출 영상으로 마스터 날개급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데뷔전 날이었던 2012년 5월 20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 개막전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와의 경기에서 [[정우용|정읍읍]]과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를 잡아내며 자신의 이름 석자를 확고히 알렸으며, 스타2 커뮤니티에서도 경기력도 조금 더 다듬는다면 코드 A 정도는 노릴 수 있겠다는 평가도 받았다. 그러나 2012년 5월 22일 벌어진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 [[공군 ACE]]와의 경기에서는 세트 스코어 1:1인 3세트 [[일렉트릭 써킷|네오 일렉트릭 써킷]]에 스타1으로 출전해 [[고인규]]를 상대로 매우 어설픈 투게이트 날빌을 시전하다 아주 무난히 막혀버리고 [[GG]]. 이 때 원선재는 프로 맞냐는 소리를 들을 정도의 한심한 경기력을 보였고[* 근데 이건 당시 대회 규정 때문에 나온 것에 가까운데, [[KeSPA]] 측에서 스타 1 또는 스타 2 전담 선수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전반전에 출전한 선수는 다음 경기 출전 시 후반전에 출전해야 하고, 반대로 후반전에 출전한 선수는 다음 경기 출전 시 전반전에 출전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다.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었고, 스타 1이나 스타 2 한 쪽에만 나온 선수들도 많았다. 추가로 원선재는 본 대회에서 스타1 데뷔전을 치른 몇 안되는 선수인데, 다른 선수로는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의 [[변영봉]]이 있다.], 스타 2와는 너무나도 다른 모습을 보이며 팀도 세트 스코어 2:4로 패했다. 2012년 5월 27일에 열린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 [[8th TEAM|제8게임단]]과의 경기에서 에이스 결정전 [[안티가 조선소|WCS 안티가 조선소]]에서 [[이제동]]과 맞붙었는데, 이제동의 멀티태스킹에 역장을 너무 난사하며 순식간에 쓸리며 패배했다. 몇몇 스갤러들은 '이제동이 이제 스2먹는다', 'GSL 게이머 은퇴' 드립을 쳤으나, 원선재가 역장을 너무 난사했고 또 이제동 특유의 멀티테스킹이 발휘될 수 있는 운영인 바퀴+저글링+감염충 조합을 쓰면서 이겼기에 아직 한 경기로 속단하기는 일렀다. 원선재의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2 1라운드 총 성적은 2승 4패. 스1 2전 전패는 그렇다 쳐도 스2도 첫 출전 2연승 후 2연패를 하였기 때문에 1라운드 결과의 평가는 좋지 않았다. 한때 갓선재로 불렸을 정도로 스2 기대주였으나, 정작 스2에서 2연패를 찍으면서 에이스 결정전 출전도 [[이영호]]에게 밀려버렸다. 무대 적응이 덜 된 듯. 7월 7일 [[SouL|STX SouL]]전에서 4연패를 끊어냈다. 상대는 [[신대근]], 맵은 안티가 조선소. 중반 찌르기가 막히며 전황이 불리하게 돌아갔으나 분전하며 경기를 장기전으로 끌고가 [[모선(스타크래프트 2)|모선]]을 띄우며 대저그전 극후반 조합을 갖추는데 성공. 중앙에서 신대근의 [[가시 촉수]]라인과 대치하며 지속적인 교전을 벌였다. 이때 신경기생충에 모선을 두 번이나 빼았기며 경기가 불리해지는듯 싶었으나 12시 멀티에 추적자를 통해 지속적인 견제를 가하고, 차원분광기로 본진, 앞마당, 삼룡이에 암흑기사와 광전사를 보내서 신대근의 자원줄과 주요테크건물을 파괴. 이후 중앙교전에서 소용돌이 대박을 내고 마지막 부화장을 밀면서 승리. 그동안의 부진을 털어낼 계기가 될지도 모르는 1승을 얻었다. 7월 23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전에서 [[이예훈]]에게 지고 난 뒤에 못하는 스1으로 출전할 차례였는데, 팀이 실낱같은 [[포스트시즌]] 진출 희망을 부여잡고 있는 상황이다보니 출전하지 못했다. [[2012 HOT6 GSL Season 5]] Code A 예선 4강에서 [[전종범]] 선수에게 탈락했다. 커뮤니티에서 원선재의 예선 참가 언급도 거의 안 된 것을 보니 잊혀진 듯했다. 2012년 12월 29일, [[SK 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 1라운드 SK텔레콤 T1과의 경기 1세트 [[구름 왕국]]에서 [[어윤수]]를 3연결체 후 6차관 타이밍 러시로 꺾었다. 이름값을 생각해 보면 제법 이변이었고, 팀의 4:1 승리에 한몫 했다는 평가. 엄밀히 말하면 팀을 위해서는 꼭 이겨줘야 할 경기를 진 어윤수가 또 까였던 거지만. 그리고 SK플래닛 프로리그 12-13을 끝으로 [[은퇴]]했다고 한다. 은퇴 이후에는 [[OGN|온게임넷]]에서 게임 연출로 활동했다. == 개인방송 시작 == 2019년 10월 17일부터 개인방송으로 [[아프리카TV]]를 시작하였고, 11월 18일부터 캠방송을 시작하였다. 주로 [[스타크래프트]]를 한다. 2020년 12월 11일부터 BJ명을 비제이원탑을 거쳐 '아몬드선봉'으로 바꾸고 남캠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BJ명을 지금의 '''Motive원선재'''로 바꾸면서 다시 스타크래프트 등의 게임방송 위주로 진행할 것이라는 공지와 함께 다시 스타크래프트 위주로 방송을 하고 있다.[* 특히 같은 팀 동료였던 [[김성대]]가 어차피 다시 돌아올거라고 예언했는데, 이것이 적중한 것이다.] 이후 여성BJ들에게 스타크래프트를 가르치는 방송을 자주 하였고, '메가스타디'라는 것을 기획하여 프로토스 여성BJ들 양성에 매진하였고, 2021년 9월 30일에는 베스트BJ가 되었다. 이후 스타대학교 컨텐츠가 사실상 종료됨에 따라 개인 래더 방송을 이어가다가 'K리그'에도 출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처음엔 저점의 모습을 보이며 아쉬움을 보였지만 점차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상당히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슈퍼 에이스결정전에서도 승리하며 팀의 승리에 큰 기여를 하는 등 프로리그에서도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염석대 === 그러다가 2021년 11월 7일 [[염보성]]과 [[정윤종]]의 합동방송으로 진행된 [[염석대]] 교수 및 학생 선발 컨테스트에서, 그의 교육 이력이 화려한 것이 참작되어 프로토스 교수진으로 선발되었다. 이 날 선발된 염석대 교수진으로는 원선재 외에도 저그에는 [[이영한]], 테란에는 [[박성진(프로게이머)|박성진]]이 있다. 11월에는 염석대 프로토스 성적이 그닥 좋지 못하다가, 12월에는 프로토스 학생들에 의해 대학대전 승리가 보장된다고 할 정도로 매우 높은 성과를 보이며, 원선재와 정윤종의 합동 교육방식이 옳았음을 증명하였다. 염석대가 2022년 1월 1일 기준으로 보름간 방학에 돌입하자, 원선재는 1월 첫 주에 프로토스 학생들의 방문교육을 실시하였고, 처음은 애공 단독 교육, 그 다음은 단잉과 디임 합동교육, 세 번째로 기룡과 구보라 합동교육을 연달아 진행하였다. 염석대가 규모가 커짐에 따라 주로 메이저 방송(염보성, 정윤종)과 여성BJ 방송으로 시청자가 쏠리는 환경임에도, 원선재가 보여주었던 교육의 성과는 수많은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어 스타크래프트 BJ로서의 인지도가 상당히 상승했다. 그에 원선재는 사라배 시즌 1 이후 단순 기본기 갈아주기 코치에서 차츰 빌드를 주도적으로 제안할 수 있는 교수로서의 면모를 보이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바로 치명적인 실수가 된다. 안타깝게도 원선재는 이후 교수로서 이렇다 할 성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물론 염석대 프로토스 학생들의 삽질이 적잖았다. 디임의 3질4마, 단잉의 템플러 아카이브 취소는 100대 0 게임을 진 대표적인 경우로 꼽힌다.] 특히 빌드가 먹혀도 자신의 책임을 외면하고 학생 탓만 하는 면모,[* 물론 이건 스타1 커리어가 없다시피한 데다, ASL 본선 진출을 노려볼 실력도 되지 못하는 원선재가 단순 기본기 코치가 아닌 교수로서 자리매김하고 싶은 욕심을 부리는 순간 예정된 것이나 다름 없다. 기실 스타대학판에서 교수코치는 무척이나 중요한 매물로 꼽히지만 단순 기본기 코치냐, 빌드를 짤 수 있는 교수냐는 몸값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위기의 상황에서 제발, 제발하며 기도만 하는 특유의 모습(기도메타) 등으로 그의 이미지는 급속도로 안 좋아졌다. 결국 염석대 프로토스 라인이 강한 이유는 정윤종이 있기 때문이다, 원선재는 거품 낀 매물이다, 그냥 기본기를 갈아주는 코치 급이지 교수급 매물은 절대 아니다. 등의 평가가 공공연하게 퍼지기 시작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염석대가 대학대전 우승이라는 금자탑을 쌓아올렸기 때문에 적어도 염석대 팬들 사이에선[* 염석대의 팬들이 많고 또한 그 충성도도 높았기에 적어도란 표현이 어울리지 않을 순 있다.] 든든한 프로토스 라인을 책임지는 교수 이미지를 굳히는 데 성공한다. 2022년 1월 기준으로 스타크래프트의 '''잭 티어'''에 포함되어 있다. 2022년 7월 19일 염석대 폐교 시까지 염석대 교수로 남아 있었다. === 라저대 === 염석대 해체 후 원선재를 원하는 메이저 대학이 전무했다. 엄밀히 말해 염석대 내에서 그가 맡은 역할 자체가 기본기 코치(시간 갈아서 다듬어 주는 코치)였는 데다 사라배 시즌 1 이후로 이렇다 할 보여준 게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미 원선재라는 매물에 어느 정도 거품이 끼었다는 것을 다른 대학들은 이미 파악하고 있었고 프로토스 교수코치가 부실한 곳은 중소대학뿐이었다. 하지만 원선재는 중소대학의 오퍼를 거절한다. 원선재 입장에서 보면 비메이저 대학에서 기본기 코치 또는 교수가 되더라도 사실상 염석대 때의 위상이나 낙수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판단한 듯했다. 그렇게 메모장 펀딩 사건[* 어깨가 잔뜩 올라간 원선재는 메모장을 켜서 각대학 팬들에게 펀딩을 받아 마치 가장 많이 펀딩을 해주는 곳으로 자신이 가겠다는 뉘앙스를 풍긴다. 웬만한 메이저 교수도 하기 힘든 짓을 자행한 것이다. 당연하게도 이는 그에 대한 여론을 더욱 악화시키는 데 크게 일조했다. 심지어 그는 메이저 대학 오퍼가 없자, 이미 후술할 라저대 창단에 마음을 굳힌 상태였다.]으로 거하게 후원을 받아낸 원선재는 정작 염석대 망령(염석대를 잊지 못한 팬들)을 끌어모아 새로운 염석대 "네오 염석대"를 창단하기로 마음을 굳힌 상태였다. 그에 2022년 7월 30일, [[저라뎃]][* 훗날 저라뎃이 말하길 네오 염석대 계획에 동조한 것에 원선재의 지분이 크다고 밝혔다. 사실 저라뎃은 스타대학판에 어느 정도 미련이 남아 있었으나, 대회 준비가 너무 힘들고 군입대를 앞두고 있는 데다가 이미 염석대 멤버들 가운데 상당수가 다른 대학으로 입학한 상태여서 스타대학판에 더이상 몸을 담그지 않으려했다고 밝혔다.]과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와 함께 네오염석대. 즉, 라저대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조용히사라배 시즌2 패배로 결국 라저대는 해체되었고 본인 스스로도 코치급이 아닌 교수급 매물이라는 점을 증명해내지 못하였으며 결국 염석대 프로토스는 정윤종이었을 뿐이다만 증명해냈다.[* 바스포드 루루 대 구래햇살아 전에서 그가 보여준 태도가 결정적인 문제였다. 당시 루루는 구래햇살아의 BBS를 상대로 코어 건설 후 서치라는 완전히 먹힌 빌드를 준비했었는데, 원선재는 자신의 책임을 외면하고 그저 드라군 컨트롤에 달렸다라는 반응으로 일관하였다. 이는 당연하게도 상대편 교수이자 전 염석대 교수 유영진 그리고 그 밖의 수많은 프로게이머들과 극명히 다른 판단이며 그로써 그는 그간 원선재는 빌드에 관여할 수 있는 교수급 매물은 아니다라는 얘기를 증명해버렸다. 이에 해체하는 당일 저라뎃 조차 원선재에게 실망했다고 말했다.] 당연하게도 그를 원하는 메이저 대학의 오퍼는 전무한 것으로 알려졌다. === JSA === 이후 2022년 9월 26일 JSA로 들어가 철감봉남 스타대학대전 광탈 후 해체까지 활약했다. 좀 특이한 빌드에 많이 꽂혀있어서 얼척없는 빌드를 많이 주문해 말이 많았다. 그래도 이사장 시조새가 박준오와 더불어 무한정 믿어준 코치라 해체 5개월 뒤 동아리판으로 재편되는 스타판에서 재결성하면서 다시 합류했고, 대학 시절과 달리 코칭과 더불어 대전서 교수전 할당 비중이 높아 출전 비중이 꽤 높은데 매치 5전 전승이라는 미친 성적을 찍고 있다. --분유 버프-- == 여담 == [[파일:attachment/최연성/Choi3.jpg|width=100%]] * 온게임넷 연출자로 활동할 당시, [[허완욱]]과 함께 [[최연성]]이 출연했던 [[스타행쇼]] 시즌3의 게임 연출을 담당한 적이 있다. * [[https://v.daum.net/v/M0NXxYZ50D?f=p|프로게이머 초창기 시절]]에는 안경을 쓰고 있었지만, 라섹수술을 하여 안경을 벗게 되었다고 한다. * 염석대 시절부터 좋은 기류가 흐르던 [[애공]]과 2022년 9월 17일 결혼을 하게 된다. * 2023년 3월 20일 득남하였다. [[https://bj.afreecatv.com/zealot0846/post/99781451|#]] == 둘러보기 == [include(틀:염석대)] [include(틀:라저대)] [include(틀:JSA)] [각주] [[분류:1993년 출생]][[분류:2011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전직 프로게이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인터넷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 2]][[분류:프로게이머 출신 아프리카TV BJ]][[분류:아프리카TV 베스트B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