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원신/설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원신/설정)] [include(틀:원신)] [include(틀:리월)] [목차] == 개요 == [[원신]]의 지역 [[리월]]의 설정을 정리한 문서. == 집단 == === 리월 칠성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리월 칠성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리월 칠성)] ||<-3>
'''{{{+1 리월 칠성}}}'''[br]{{{#fff Liyue Qixing}}}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Liyue Qixing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璃月七星, ruby=Líyuè Qīxīng)][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璃月七星, ruby=リーユェしちせ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구성원 [ 펼치기 · 접기 ] ||
칠성명 || 이름 || 신의눈 || 담당 || 비고 || || '''천추'''[br],,,天枢 | Tiānshū,,, || [[천추]] || 불명 || 불명[* 명확하진 않으나 야란 전설퀘에서 뒤에서 암약하는 존재라 언급.] || NPC || || '''천선'''[br],,,天璇 | Tiānxuán,,, || 불명 || 불명 || 불명 || 미등장[* 감우의 캐릭터 스토리에서 언급만 등장.] || || '''천기'''[br],,,天玑 | Tiānjī,,, || 불명 || 불명 || 불명 || 미등장 || || '''천권'''[br],,,天权 | Tiānquán,,, || [[응광]] || 바위 || 입법 || 플레이어블 캐릭터 || || '''옥형'''[br],,,玉衡 | Yùhéng,,, || [[각청]] || 번개 || 국토개발 || 플레이어블 캐릭터 || || '''개양'''[br],,,开阳 | Kāiyáng,,, || 불명 || 불명 || 불명 || 미등장 || || '''요광'''[br],,,瑤光 | Yáoguāng,,, || 불명 || 불명 || 불명 || 미등장 ||}}} }}} || '''리월의 수뇌부.''' 암왕제군을 대신하여 리월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고 있는 7명의 상인들이다. 정부수반 역할을 7명이 집단지도체제 형태로 맡고 있다. 3,000년 전 선인들이 요마를 상대로 리월을 지킬 때부터 존재해 리월의 인간세상을 다스려왔다고 한다. 총 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칠성(七星)'''이라는 이름, 각 인물들의 칭호는 '''[[북두칠성]]'''을 이루는 일곱 별의 좌명에서 따왔다. 구성원 수와 포지션상 모티브는 아무래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추측된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은 각각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군사),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국무원]] 총리(행정), [[전국인민대표대회]] 당조서기(입법),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자문), 중앙서기처 서기(정치국 실무), 중앙기율위검사위원회 서기(감찰), 국무원 부총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국무원 현직 부총리인 [[한정(중국 정치인)|한정]]은 중국 국토개발과 관련된 여러 직무를 겸직하고 있으므로 리월 칠성의 나머지 인원들의 직무를 예상할 수 있다.] 대체로 대중 앞에서 모습을 드러내지 않지만, 응광과 각청은 예외인 듯하다. 칠성의 자리를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선 정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확실한 건 세습제는 아니다. 응광과 각청, 칠성이 되겠다는 야망을 드러내는 공무원 NPC의 대사까지 합쳐보면, 성별 · 나이 · 귀천 · 공직/비공직 등의 제한을 두지 않고 '''능력 중심으로 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 종신직인지 임기직인지는 불명이나, 종려가 "응광은 군옥각을 포기하느니 천권 자리를 내놓을 사람"이라고 평한 것을 보아, 최소한 자진사퇴는 가능한 모양이다. 후에 [[야란]]의 전설 임무를 통해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났는데, 여기서 등장한 선발 과정은 뒤에서 암약하는 천추성을 뽑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선발할 수는 없어 칠성의 선발 과정이 다 같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일단 천추성이 주관하는 후보 심사의 절차가 있고, 천추성이 추천한 자를 나머지 칠성들이 공동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본래는 심사도 천추성이 직접 하지만, 야란처럼 천추성의 사정이 좋지 않을 경우에는 대리인을 내세우는 것도 가능한 모양. 심사 과정에서는 실무 능력과 그 자질을 파악하기 위한 대면 면접을 실시한다. 중간에 부정행위가 있다면 심사관의 주관하에 자격 박탈도 가능하다. ==== 월해정 ==== ||<-3>
'''{{{+1 월해정}}}'''[br]{{{#fff Yuehai Pavilion}}}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Yuehai Pavilion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月海亭, ruby=Yuèhǎitíng)][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月海亭, ruby=げつかいてい)] || '''리월의 정부'''로, 칠성 밑에서 리월의 실무를 맡아보는 '''칠성8문(七星八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영역은 입법, 국토개발, 소금 생산(은원정), 광업(휘산청), 문화유산 관리(성로청), 해운 물류 조정(화기청) 뿐이다. 산하조직으론 월해정(비서실)이 있으며, 칠성 총괄비서 [[감우]]가 이 월해정 소속 인물이다. '''월해(月海)'''는 말 그대로 '''달이 비치는 바다'''를 뜻한다. ==== 칠성 청신의례[anchor(청신의례)] ==== ||<-3>
'''{{{+1 칠성 청신의례}}}'''[br]{{{#fff Qixing's Adeptus Invitation Ceremony}}}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Qixing's Adeptus Invitation Ceremon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七星请仙典仪, ruby=Qīxīng Qǐng Xiān Diǎn Yí)][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七星迎仙儀式, ruby=しちせいげいせんぎしき)] || 리월에서 1년에 한번 옥경대에서 치러지는 제사로, 이날이 되면 리월 칠성이 암왕제군으로부터 예언을 받아 앞으로의 1년 동안의 리월의 경영 방향을 듣는다. 일종의 [[신탁]]. [[마신 임무]] 제1장 제1막에서 본격적으로 다룬다. 제1막 시점에서의 1년 전에는 옥형성인 [[각청]]이 청신의례를 주관했고, 본편인 제1막에서는 천권성인 [[응광]]이 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청선전의(請仙典儀)'''로, 일본어 버전에서는 '''영선의식(迎仙儀式)'''으로 번역했다. 각각 ''''선인께 강림을 청하는 의식'''', ''''선인을 맞이하는 의식''''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본래 [[모락스(원신)|암왕제군]]이 신이기도 하지만 최초의 '''선인'''이라는 리월 사람들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어로는 어감이 이상했는지 그냥 '''청신의례(請神儀禮)'''로 번역해 의미가 희석되어 버렸다. === 천암군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천암군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천암군)] ||<-3>
'''{{{+1 천암군}}}'''[br]{{{#fff Millelith}}}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illelith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千岩军, ruby=Qiānyán Jūn)][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千岩軍, ruby=せんがんぐん)] || >'''귀신 잡는 천암군, 드높은 위상은 변치 않지.''' '''리월의 정규군'''으로 주로 리월항을 순찰하는 역할이나, 마물 소탕이나 리월 외곽 치안을 위해서 변방에 근무하는 천암군도 일부 있는 모양이다. [[백출(원신)|백출]]의 전설임무에서는 실종신고를 받아 수색하는 모습을 보여쥐기도 했다. [[층암거연]]에서 돌탑을 쌓아 놓고 '천암이 보우하사' 로 시작되는 기도문을 읊는 광부가 있는 걸 보면 중국에서 관우를 비롯한 명장들을 숭배하듯 천암군을 숭상하는 민간신앙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력의 대부분이 원정을 나가 남아있는 인물들 중 상당수는 군기가 빠질대로 빠진 몬드의 페보니우스 기사단에 비해 상당히 군기가 잘 서 있고[* 페보니우스 기사단도 명성이 자자한 정예군이지만 통치 대행을 위해 잔류한 유능한 몇몇 인원들을 제외하면 원정에 떠나기는 부적합한 병사들만 성에 남았는지 유독 군기가 빠져보인다.] 스스로에 대한 자부심이 높은 모습을 보인다. 리월항이 처음 세워졌을 때부터 자진해서 바위 신을 따라 전쟁에 나선 이들이 시초이다. 신의 눈 사용자인 네임드 플레이어블 캐릭터는 딱히 등장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우인단 집행관인 [[스카라무슈]]조차 천암군이 근처에 있다는 이유로 여행자의 암살을 미루거나 우인단 대원인 카타리나 역시 천암군을 적으로 돌리는 건 우인단한테도 좋을 것이 없다고 말하는 것을 볼 때 티바트 대륙 전체를 통틀어서도 '''상당히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리월 스토리 완결 이후에는 응광이 선인의 장치인 귀종기를 모방하여 열화판으로 보급함으로써 천암군만으로도 [[베이슈트|마신급 존재]]에게 대항할 수 있을 만큼 전력이 올랐을 정도. 천암군의 영문명은 '''밀레리스(Millelith)'''로, '''천(千)'''에 대응하는 [[라틴어]] '''밀레(Mille)'''와 '''암(巖)'''에 대응하는 [[그리스어]] '''리토스(λίθος)'''를 합친 것이다. 여담으로 표어가 '''귀신 잡는 천암군'''인데, 묘하게 우리나라의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와도 겹친다. === 남십자 함대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남십자 함대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남십자 함대)] ||<-3>
'''{{{+1 남십자}}}'''[br]{{{#fff The Crux}}}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The Crux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南十字, ruby=Nánshízì)][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南十字, ruby=みなみじゅうじ)] || 리월항의 해적단([[사략선]])이자 '''실질적인 해군.''' [[북두(원신)|북두]] 선장이 이끌고 있다. 묘사를 보면 말이 해적이지 '''[[용병|용병단]]'''에 더 가깝다. 여태까지의 공적과 의협심 있는 행적들로 리월 시민들에게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신임을 받지만 칠성들과는 규칙을 어기는 문제 때문에 종종 충돌한다고 한다. 리월 칠성을 이끄는 응광이 북두와 티격태격하는 모습이 나오기는 하나 실제로는 서로를 신뢰하는 등 현실 친구에 가깝다. 칠성과 매우 가깝고 원리원칙을 중시하는 [[감우]]도 북두를 매우 믿고 있다. 기함의 명칭은 '''사조성호'''로, 고운각 정상에서 비행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처음에 도달하게 되면 선원들이 어떻게 왔냐고 묻는 이벤트가 발생하면서 몇가지 퀘스트를 할 수 있으며, [[이나즈마(원신)|이나즈마]]에 가기 위해선 반드시 거쳐야 한다. 2.3 패치 이후에는 사조성호에도 워프포인트가 할당되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이름은 '''[[남십자성|남십자성(南十字星)]]'''에서 따온 것인데, 이로 인해 티바트 대륙이 사실은 남반구에 위치한 게 아니냐는 가설의 근거 중 하나로 쓰이고 있다. === 비운 상회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비운 상회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비운 상회)] ||<-3>
'''{{{+1 비운 상회}}}'''[br]{{{#fff Feiyun Commerce Guild}}}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Feiyun Commerce Guild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飞云商会, ruby=Fēiyún Shānghuì)][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飛雲商会, ruby=ひうんしょうかい)] || 리월에서 손꼽히는 규모의 상회로 여러 나라의 상인들과 무역 거래를 맺고 있다.[* 작중 리월 사람들의 반응을 보면 그 위세가 리월 최고 갑부인 응광 다음가는 리월항 굴지의 상회로 보인다.] 특히 주력사업은 예상꽃 재배와 비단 직물 제작으로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은 큰 규모의 예상꽃 농장을 보유하고 있다. [[행추]]가 이 상회의 도련님이지만 본인은 경영보다는 무예와 소설 집필에 더 관심이 많다. 참고로 상회의 이름인 '''비운(飛雲)'''은 ''''떠가는 구름''''이라는 뜻으로, 이 상회가 위치한 '''비운 언덕(緋雲坡)'''과는 [[동음이의어]]이다. 중국어, 일본어로도 발음이 똑같아 이중적인 의미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 왕생당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왕생당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왕생당)] ||<-3>
'''{{{+1 왕생당}}}'''[br]{{{#fff Wangsheng Funeral Parlor}}}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Wangsheng Funeral Parlor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往生堂, ruby=Wǎngshēng-táng)][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往生堂, ruby=おうじょうどう)] || '''리월의 [[상조]]'''로 장례를 관리하며, [[페이몬]]은 왕생당의 왕생은 "'극락왕생(極樂往生)'"에서 따온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런데 이상하게 돈이 엄청 많고, 리월과 우인단 사이의 충돌이 일어났을 때 왕생당도 나서서 대치했을 정도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사병 규모가 천암군 안 부러울 수준인 데다가 하는 일도 수상하기 그지 없다. 사실 왕생당은 단순한 상조가 아니라 의식과 절차를 중요하게 여기는 리월에서 온갖 의례에 관여하며 자문료를 뜯어가는 '''예법 자문사업체'''이며, 본업으로 내세우는 장례 관리의 실상도 퇴마사를 동원해서 [[귀신|망자]]에게 적법한 장례를 해줘 극락왕생하게 성불시키는 [[퇴마]] 의식이다. [[행추]] 프로필의 대사에서도 왕생당의 퇴마법은 대단하다고 높게 처줄 정도. 이는 '''[[이승|산 자]]와 [[저승|죽은 자]] 사이의 경계가 파괴되지 않게 막음으로써''' 음양의 균형을 수호하고 산 자에게 해가 가는 것을 막는 것이 왕생당의 목적이기 때문이다. 마신 전쟁이 끝난 직후, 암왕제군의 명을 받아 선중야차들이 마신의 재액을 멸할 때 인간 세상에 끔찍한 [[역병]]이 돌았다. 이를 마신의 저주라 여긴 사람들이 우왕좌왕하고 있을 때, 왕생당의 초대 당주는 [[원신/무기/장병기 #s-2.2.2|자신의 지팡이]]로 공기를 정화하고 시체를 태워 역병을 저지하였다. '''즉, 왕생당은 원래는 [[의료]]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던 조직이었다.''' 이후 [[심연(원신)|인간의 어리석음]]으로 다시 한 번 역병이 돌았을 때도 활약하였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현재의 장례 업무를 맡는 조직이 되었다. 현재는 77대 당주인 [[호두(원신)|호두]]가 왕생당 조직을 이끌고 있다. 현 당주인 호두의 말에 의하면, 역대 당주들 중 죽은 후에도 이승에 머물러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고 한다. 호두는 이를 왕생당의 당주라는 자리가 후회가 남지 않는 자리이기 때문이라 여기고 기쁜 마음으로 받아들였다. === 불복려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불복려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불복려)] ||<-3>
'''{{{+1 불복려}}}'''[br]{{{#fff Bubu Pharmacy}}}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Bubu Pharmac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不卜庐, ruby=Bùbǔ-lú)][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不卜廬, ruby=ふぼくろ)] || 리월에서 가장 큰 '''의료 시설'''로 오늘날에는 '''[[백출(원신)|백출]]'''이 불복려의 주인이다. [[해등절]] 같은 명절만 되면 위장약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서 늘 바빠진다고 한다. 불복려는 위의 왕생당과도 인연이 있는데 백출의 스승이 왕생당의 75대 당주의 동생, 즉 [[호두(원신)|호두]]의 종조부(從祖父)이기 때문이다. 왜 병원 이름이 뜬금없이 ''''점을 보지 않는 집''''이라는 뜻의 '''불복려(不卜廬)'''가 되었는지는 백출 캐릭터 스토리에 나오며, 백출이 스승으로부터 계승을 받은 후 장생을 데리고 리월항에 약방을 창업하기 전의 이야기를 다룬다. 리월 관습에 따라 새 가게는 점으로 길일을 쳐야 개업하면서 손님을 맞이할 수 있었는데 길일이 되기도 전에 한 어머니가 딸을 안고 백출이 있던 약방을 방문했었다. 그 다음날 리월 사람들이 모여서 보니 백출의 약방이 예정보다 수일 앞당겨 개업했고, 분위기도 심각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응급 진료를 봤을 뿐, 개업할 필요도 없었지만 하루 늦게 개업하면 환자가 하루 더 기다려야할 수도 있다는 이유로 미리 개업했던 것이다. 이후 백출은 자신과 장생의 운수는 '''신에게 빌거나 점을 볼 필요도 없다'''는 의미를 담아 불복려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 === 북국 은행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북국 은행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북국 은행)] ||<-3>
'''{{{+1 북국 은행}}}'''[br]{{{#fff Northland Bank}}}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Northland Bank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北国银行, ruby=Běiguó Yínháng)][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北国銀行, ruby=きたくにぎんこう)] || '''[[스네즈나야]]의 금융기관'''인 [[원신/설정/스네즈나야#북국 은행|북국 은행]]의 리월 지점이다. 리월과 스네즈나야는 티바트 7국 중에서도 경제력이 가장 강한 두 국가라, 교역을 위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워낙 거대한 규모의 은행이기 때문에 리월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우인단이 리월에서 대놓고 활동할 수 있는 원동력 노릇을 한다. 우인단이 대놓고 북국 은행을 통해 활동하고 있지만, 어쩐지 뒷통수나 치고 다니는 쫌생이 장사꾼들이 바글거리는 리월 분위기 상 리월에서 그나마 정상적인 거래가 가능한 몇 없는 장소 중 하나 처럼 묘사되는 걸 보면, 기존의 금융 사업자(?)들에 비해 그나마 양심적, 원칙적으로 거래를 하기 때문에 그 존재가 용인되고 있는 모양이다. 모험가 길드 리월 지부 옆 명화 전장에 있는 [[#덕안공|덕안공]]이, 스네즈나야가 북국 은행을 리월에 확장하면서 사업이 망했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걸 볼 수 있다. 그런데, 뜬금없이 뛰어난 "[[깡패|경비]]"를 잃어서 사업을 말아먹었다는 식의 수상한 언급을 한다. 아무래도 썩 떳떳하게 사업을 한게 아닌 모양. 물론 북국 은행도 대놓고 우인단의 채무 관리 요원과 [[타르탈리아]]를 동원해 불법적인 추심 행위를 하고 있지만, 이렇게 추심 받는 인물들은 떳떳하지 못한 사업을 하고 있거나, 아예 보물 사냥단 같은 도적떼(...)들이 대부분인걸 보면 차라리 북국 은행쪽이 그나마 더 정상적인 대부업을 해서 리월에서 그 입지를 다진 것으로 보인다. 우인단 협력업체는 채무 처리 요원도 용역으로 빌릴 수 있다.[* 신의 눈 능력자 상대같은 큰일은 안해주고 영세한 민간인들을 압박해주는 업무를 봐준다.] 은행 건물 2층에 올라가보면 구석에 무려 '''20만 모라'''가 들어있는 보물 상자가 있다. 또한, 흥정 요소가 들어가 있는 몇몇 퀘스트에서 쓰는 돈주머니에 잔돈이 남았을 경우, 북국 은행에서 사례금으로 쓰라며 모라로 바꿔준다. === 운한사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등장하는 운한사 소속 인물들, rd1=원신/등장인물/리월, anchor1=운한사)] ||<-3>
'''{{{+1 운한사}}}'''[br]{{{#fff Yun-Han Opera Troupe}}}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Yun-Han Opera Troupe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云翰社, ruby=Yúnhàn-shè)][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雲翰社, ruby=うんかんしゃ)] || 리월의 전통극인 '리월극'을 전문으로 하는 배우 집단. 간판 스타인 [[운근]]이 있다. '''운한(雲翰)'''은 '''상대방의 편지를 높여 부르는''' 존칭어다. === [[선인(원신)|선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선인(원신))] ||<-3>
'''{{{+1 선인}}}'''[br]{{{#fff Adeptus}}}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deptus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仙人, ruby=Xiānrén)][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仙人, ruby=せんにん)] || 3700년동안 암왕제군과 계약을 맺어 리월을 지켜온 종족. 현재는 월해정 총괄 비서인 감우를 제외하면 통치 전반을 인간들인 리월 칠성에게 넘겨줬다. == 역사 속 국가 == === 귀리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하겐투스)] ||<-3>
'''{{{+1 귀리집}}}'''[br]{{{#fff Guili Assembly}}}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uili Assembly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归离集, ruby=Guīlí-jí)][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帰離集, ruby=きりしゅう)] || 흙의 마신 [[하겐투스]]와 바위의 마신 [[모락스]]가 힘을 합해 귀리 평원에 건설한 국가로, [[리월]]의 시초이다. 건국 시기를 보아 모티브는 [[중국]] 최초의 국가라고 불리는 [[상나라]]로 보인다. 마신전쟁 당시 경기 들판이 마신들의 침입으로 인해 주군이었던 귀종이 사망하고, 그 전쟁의 여파로 홍수로 침수되면서 멸망하고 말았다. === 훌리야의 영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훌리야)] ||<-3>
'''{{{+1 훌리야의 영지}}}'''[br]{{{#fff Domain of Havria}}}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omain of Havri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赫乌莉亚, ruby=Hèwūlìyà)][ruby(之领土, ruby=zhī Lǐngtǔ)][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ヘウリアの[ruby(領域, ruby=りょういき)] || 대지의 소금을 중심으로 뻗어 있었던 소금의 마신 [[훌리야]]가 다스리던 땅. 마신 전쟁 때 점차 그 영역이 줄어들다가 결국 발안 겨우 붙일 땅만 남았고, 백성들이 마침내 [[훌리야]]를 죽이면서 멸망했다. === 청허포 문명 === ||<-3>
'''{{{+1 청허포 문명}}}'''[br]{{{#fff Civilization of Qingxu Pool}}}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Civilization of Qingxu Pool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青墟浦文明, ruby=Qīngxū-pǔ Wénmíng)][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青墟浦, ruby=せいきょうら)]の[ruby(文明, ruby=ぶんめい)] || 청허포의 유적을 남긴, 정체를 알 수 없는 문명. 학자 소라야의 연구에 따르면 지금은 이름을 알 수 없는 오만방자한 마신을 따르던 백성들이 살았다고 한다. == 백무금기 비록 == ||<-3>
'''{{{+1 백무금기 비록}}}'''[br]{{{#fff Sigils of Permission}}}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igils of Permission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百无禁忌箓, ruby=Bǎiwújìnjì Lù)][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禁忌滅却, ruby=きんきめっきゃく)]の[ruby(札, ruby=ふだ)] || 본편으로부터 1100여 년 전 암왕제군이 선력을 불어넣어 인간들에게 나눠준 일종의 증표로, 신력을 이용해 인간들의 전쟁을 도와줬다. 마신 임무 본편에서는 여행자가 [[타르탈리아]]로부터 백무금기 비록을 받아 선인들에게 위협을 받지 않고 암왕제군이 서거한 사실을 알릴 수 있었다. [[타르탈리아]]가 백무금기 비록을 가지고 있었던 이유는 [[우인단]]이 몰래 백무금기 비록을 연구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결국 마신 임무 본편에서는 계획이 예상대로 흘러가지 않자 타르탈리아가 이것을 이용해 소용돌이의 마신 오셀을 깨워버린다. == 선조의 허물 == ||<-3>
'''{{{+1 선조의 허물}}}'''[br]{{{#fff Exuvia}}}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Exuvi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仙祖法蜕, ruby=Xiānzǔfǎ Tuì)][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仙祖, ruby= せんそ)]の[ruby(亡骸, ruby=なきがら)] || 암왕제군의 유해(로 추정된 것). [[황룡]]과 [[기린(상상의 동물)|기린]]을 합쳐 놓은 것처럼 생겼으며, [[우인단]]의 [[타르탈리아]]는 칠성이 선조의 허물을 황금옥에 숨긴 이유가 신의 심장을 사수하기 위해서일 것으로 추측했다. == 송신의례 == ||<-3>
'''{{{+1 송신의례}}}'''[br]{{{#fff Rite of Parting}}}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Rite of Parting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送仙典仪, ruby=Sòngxiān Diǎnyí)][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送仙儀式, ruby=そうせんぎしき)] || '''[[선인(원신)|선인]]에게 작별을 고하는 의식.''' 청신의례와 마찬가지로 본래 이름은 '''송선전의(送仙典儀)'''이다. 청신의례와 달리 거행할 일이 그동안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전승이 끊겨 작중에서는 [[종려]]가 주관했다. 청신의례와 동일하게 옥경대에서 거행했다. 여러 단계로 나눠져 있는데 최상급의 야박석과 예상꽃으로 만든 향고, 야생 유리백합을 공양하고 척진령이라는 방울과 연을 장식한 뒤, 영생향으로 향을 피운다. 작중에서의 송신의례는 결국 암왕제군의 장례식이 아닌 암왕제군과의 계약을 끝맺기 위한 의식으로 이뤄졌는데, 이 의례에 사용될 물품들을 구할 때 리월인들이 얼마나 암왕제군을 기억하는지 엿볼 수 있다. 이 의례를 처음에 준비한 [[종려]]에 대해서 고찰이 있다. 문서 참조. == 귀종기 == ||<-3>
'''{{{+1 귀종기}}}'''[br]{{{#fff Guizhong Ballista}}} || ||<-3> [[파일:Object_Guizhong_Ballista.png|width=50%]] || ||<-3>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Guizhong Ballista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归终机, ruby=Guīzhōng-jī)][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帰終機, ruby=きしゅうき)] || 리월의 천형산 곳곳에 위치한 '''대형 쇠뇌'''([[발리스타]]). 흙의 마신 [[귀종]]이 만든 물건이라 '''귀종기(歸終機)'''라고 불린다. 고배율 조준경을 통한 망원 기능도 있다고 하며, 발리스타이니만큼 기본적으로 강력한 쇠뇌를 쏠 수 있다. 그 외에도 귀종기 자체의 자기방어 능력도 있는 모양이다. 작중 보물 사냥단이 화살을 맞아가며 부쉈다가 여행자 일행이 참교육을 놔준 후 설계도와 예비 부품으로 고쳤으며, 선력을 불어넣을 경우 빛의 유도 미사일이나 강력한 연사형 무유도 빔포(기관포 예광탄)도 발사한다. 발사 시 [[예광탄]]처럼 날아간다. 수십 대의 포대로 마신 [[오셀]]에 큰 피해를 입히고 매우 열화시킨 양산판마저도 지상, 공중, 해상에서 사용한 더욱 많은 포대로는 [[베이슈트]]에 중상을 입히고 퇴각하게 만들 정도로 강력한 병기로, [[귀종]]이 설계하고 그녀 사후 [[류운차풍진군]]이 설계를 개량하여 완성시켰다. == [[요괴(원신)#s-2.1|요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괴(원신), 문단=2.1)] ||<-3>
'''{{{+1 요괴 / 요마}}}'''[br]{{{#fff Daemons / Daemonic}}}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Daemons / Daemonic[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妖邪, ruby=Yāo Xié)] / [ruby(妖魔, ruby=Yāomó)][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妖怪, ruby=ようかい)] / [ruby(妖魔, ruby=ようま)] || == 축제 == === [[해등절]]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리월의 행사에 대한, 문서명=해등절)]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2021년에 진행된 1차 해등절에 대한, 문서명=밤하늘을 수놓은 등불)]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2022년에 진행된 2차 해등절에 대한, 문서명=화려히 수놓인 유년)]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2023년에 진행된 3차 해등절에 대한, 문서명=선율이 흐르는 밤)] ||<-3>
'''{{{+1 해등절}}}'''[br]{{{#fff Lantern Rite Festival}}}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Lantern Rite Festival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海灯节, ruby=Hǎidēng-jié)][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海灯祭, ruby=かいとうさい)] || === [[원신/이벤트/달빛 속 광경|축월절]] ===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축월절에 대한, 문서명=달빛 속 광경)] ||<-3>
'''{{{+1 축월절}}}'''[br]{{{#fff Moonchase Festival}}} || || '''{{{#FFFFFF 언어별 표기}}}''' ||<-2>[[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oonchase Festival [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ruby(逐月节, ruby=Zhúyuè-jié)][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ruby(月逐, ruby=つきお)]い[ruby(祭, ruby= さい)] || 리월의 또다른 축제로 음식과 관련된 축제이다. 요리대회 등이 열린다. == 관련 문서 == * [[리월]] * [[원신/등장인물/리월]] * [[원신/연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리월, version=544, title2=원신/등장인물/리월, version2=1376, title3=원신/설정, version3=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