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풍월드 무공]] [목차] == 개요 == [[풍종호]]의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에서 환상이면서 실재하는 비고인 [[묵연동]](默然洞)의 선가(仙家) 제1위 절기이다. 묵연동에 갇혔을 당시의 [[풍현]]은 강함을 추구하는 무인이라기보다는 복수를 위한 힘이면 충분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더구나 묵연동은 실물이 오가 [[제세칠성]](濟世七聖)의 환몽비결(豢夢秘訣)처럼 현실의 시간과 격리된 곳이 아니어서 그는 많이 조급해한다. 그래서 묵연동에서는 신혼(神魂)으로 함께 하고 있던 [[여의천환영]](如意天幻影)이 정서적인 부분을 제어하는 것이 기본인 선가의 무공을 익히기를 권유한다. 특히나 선가십종(仙家十種)에서 심공(心功)의 절정(絶頂)이라는 신정부(神庭府)의 '''원영신허인(元嬰神虛印)'''을 펼칠 수 있다면, 진실로 무념무아(無念無我)가 되어 망각(忘却)에 이를 수 있다고 꼬드겨 그는 마지못해 받아들인다. 원영신허인은 문무쌍수(文武雙修)로 심중원영(心中元嬰), 신중신허(身中神虛)에 이르러 이 경지를 하나의 인(印)으로 묶는 것이다. 즉, 이 세상에 뿌려진 씨앗 그대로의 형상인 원영으로 돌아가 그 원영을 시작으로 가장 순수한 태초(太初)의 형상인 신허에 이르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므로 원영신허인을 완성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아닌지 논쟁만 수백 년이었다고 한다. 그런 만큼 [[절대천마]](絶代天魔)는 차라리 신선이 되라고 할 정도로 성취하기 어려운 절기지만, 생각보다 풍현은 아주 쉽게 원영신허인을 완성한다. 그로 인해 멸마(滅魔)의 신병이라는 [[지존록#s-4|유령환]](幽靈環)을 선물로 얻는다. 오로지 마도(魔道)를 죽이기 위한 병기답게 그 주인의 마성(魔性)조차 베려고 한다. 그렇기에 순연한 마음가짐이 아니면 원형신허인의 독특한 심법 아래에서만이 유령환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작중에서 연혼전주(練魂殿主)가 원영신허인을 가지고 나온다! 이쪽은 풍현과는 달리 원영신허인 이외에는 순수한 사공 음부십마해(陰府十魔解)만을 익힌 상황.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일에 도전했던 셈인데, 실제로 등선이 가능했던 것으로 밝혀진다. 이와 달리 혈왕맥(血王脈)의 [[환우육존#s-2.2|혈혼신기]](血魂神氣)는 원영신허인을 핏빛으로 물들여 뒤튼 것으로, 그 원천이 혈영(血嬰)이다. == 특징 == * '''허권(虛圈)''': 전개 시 무념무아에 이르러 흘러나오는 무심(無心)의 독특한 기백(氣魄)을 뜻한다. 이러한 기백을 한 가지로 모아 단숨에 쳐내면 모든 형태의 요술(妖術), [[환술]](幻術), 진법(陣法)에 대해서 극성(剋性)이 된다. 다만 이렇게 하나의 인으로 묶었기에 한 번 전개에는 반드시 한 곳만을 노릴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아무리 연환격으로 빠르게 사용한다 해도 무조건 한 번에 한 곳이라 풍현이 [[암천향]](暗天香)의 비동에서 [[운령]]을 치료할 때, [[천상일월륜#s-2|오뢰봉삼절]](五雷封三絶)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없어 곤란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