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 [목차] [clearfix] == 개요 == [[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의 음반 목록을 정리해 놓은 문서이다. == 정규 == === Betrayed in the Octagon (2007) === ||<-2> '''{{{#000 {{{+1 ''Betrayed in the Octag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PN_Betrayed In the Octagon.jpg|width=100%]]}}}|| ||<-2> '''{{{#000 발매일 : 2007. 11. 20.}}}''' || || '''{{{#000 #}}}''' || '''{{{#000 제목}}}''' || || 1 || Weird Times Docking This Orb || || 2 || Woe is the Transgression I || || 3 || Behind the Bank || || 4 || Eyeballs || || 5 || Betrayed in the Octagon || || 6 || Woe is the Transgression II || || 7 || Parallel Mind Overture || || 8 || Laser to Laser || === Zones Without People (2009) === ||<-2><#000> '''{{{#fff {{{+1 ''Zones Without Peop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PN_Zones Without People.jpg|width=100%]]}}}|| ||<-2> '''{{{#fff 발매일 : 2009. 8. 6.}}}''' || || '''{{{#fff #}}}''' || '''{{{#fff 제목}}}''' || || 1 || Computer Vision || || 2 || Format & Journey North || || 3 || Zones Without People || || 4 || Learning to Control Myself || || 5 || Disconnecting Entirely || || 6 || Emil Cioran || || 7 || Hyperdawn || === Russian Mind (2009) === ||<-2><#BFC0C2> '''{{{#fff {{{+1 ''Russian Mi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PN_Russian Mind.jpg|width=100%]]}}}|| ||<-2> '''{{{#fff 발매일 : 2009. 11. 9.}}}''' || || '''{{{#fff #}}}''' || '''{{{#fff 제목}}}''' || || 1 || Months || || 2 || Physical Memory || || 3 || Grief and Repetition || || 4 || Russian Mind || || 5 || Time Decanted || || 6 || Immanence || === Returnal (2010) === [[파일:OPN_Returnal_2010.jpg|width=500]] 2010년 [[오스트리아]]에서만 발매된 4번째 앨범. OPN이 본격적으로 뜨기 시작한 시기이다. [[노이즈]]와 [[드론(음악)|드론]] 사운드가 유달리 돋보이는 앨범이며, 초반부터 맹렬하게 사운드를 엎어내다가 그 이후부터는 계속 잔잔하게 흘러가는 전체적인 트랙 구성을 취하고 있다. 발매년도인 2010년에 각종 음악 매체에서 올해의 앨범에 높은 순위로 랭크되며 각종 평점 매체들의 눈길을 끌어모으는 데 성공했다. ||
'''#''' || '''제목''' || '''러닝타임''' || || I. ||‡ Nil Admirari || 5:06 || || II. ||Describing Bodies || 4:18 || || III. ||Stress Waves || 5:42 || || IV. ||Returnal || 4:42 || || V. ||Pelham Island Road || 7:35 || || VI. ||Where Does Time Go || 6:24 || || VII. ||Ouroboros || 2:02 || || 捌. ||‡ Preyouandi △ || 6:10 || === [[Replica(음반)|Replica]] (2011) === [[파일:external/www.mexicansummer.com/SFT010+-+Cover+(500).jpg|width=600]] [[앰비언트]]를 기반으로 과거의 광고 영상의 BGM, 영화의 OST 등의 샘플을 버무려 키치한 요소를 극대화시킨 앨범으로, 전작보다도 평이 좋다. 이 앨범 역시 여러 매체의 올해의 앨범에 높은 순위로 랭크되었다. === [[R Plus Seven]] (2013) ===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41yx1REEjlL.jpg|width=600]] 과거 실험적 일렉트로니카로 이름을 날리던 [[워프 레코즈]]에 합류한 뒤 낸 첫 앨범으로, 클라크, [[플라잉 로터스]], 러스티와 함께 워프 부활의 신호탄을 쐈다는 호평을 받았다. 또한 이 앨범을 통해 더 높은 대중 인지도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실험적 일렉트로니카 씬의 슈퍼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이전 작품들보다는 더 일렉트로닉스럽고, 그러면서도 동시에 발전된 사운드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는다. === Garden of Delete (2015) === [[파일:external/thump-images.vice.com/oneohtrix-point-nevers-i-bite-through-it-is-here-to-tweak-out-your-brain-body-image-1441293169.jpg|width=600]] 2015년 11월 13일 발매 예정. 'R'들은 끝났다며 전작인 Returnal, Replica, R Plus Seven 과는 다른 새로운 음악을 선보일 것을 암시했다. 매우 그로테스크하고 기괴한 컨셉의 티저 영상들과 웹 페이지로 팬들의 관심을 끌었고, 9월 3일 싱글 "I Bite Through It" 을 공개했다. 반응은 초창기의 쌈마이 [[베이퍼웨이브]]의 재현이라면서 까는 사람들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는 중. 그리고 계속해서 수록 트랙들의 미디들을 공개했다. 9월 23일 유출되었다.[* 근데 원오트릭스 본인이 유출시켰다는 [[카더라]]가 돌고 있다. (...)] 전작들과는 다르게 [[인더스트리얼]] 음악을 크게 수용한 모습이고, 빠르고 공격적인 사운드가 주를 이룬다. [[http://ouii.egloos.com/9813495|관련 인터뷰]] === Age Of (2018) === [[파일:opn age of.jpg|width=600]] 특유의 신비주의적인 콘셉트는 유지했지만, 음악적으로는 팝 성향이 짙어진 앨범이다. === Magic Oneohtrix Point Never (2020) === [[파일:Magic Oneohtrix Point Never_Oneohtrix Point Never.webp|width=600]] 본인의 전작들을 셀프 오마주한다는 컨셉으로 만들어진 앨범. 컨셉은 컨셉대로 유지하면서 팝스러운 변화도 잘 유지하여 여러모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위켄드]]가 프로듀싱에 참여한 덕인지 이 앨범으로 [[지미 팰런]]의 [[투나잇 쇼]] 에 출연하는 기염을 토해 팬들을 경악시켰다(...). === [[Again(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Again]] (2023) === 2023년 9월 29일 발매되었다. == Chuck Person 명의 == ||<-3> '''{{{#fff 음반}}}''' || || 앨범 아트 || 제목 || 발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uck Persons Eccojams Vol 1.jpg|width=100%]]}}} || '''Chuck Person's Eccojams Vol. 1''' || '''2010''' || [각주] [[분류:아티스트별 음반 목록]]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원오트릭스 포인트 네버, version=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