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 ||<-7>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프로미}}}]] {{{#ffffff 2017-2018 정규시즌 라운드별 진행 경과}}}''' || ||<|2> '''정규 시즌''' ||<-2>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1라운드|1라운드]]''' ||<-2>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2라운드|2라운드]]''' ||<-2>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3라운드|3라운드]]''' || ||<-2> '''4라운드''' ||<-2>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5라운드|5라운드]]''' ||<-2>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6라운드|6라운드]]''' || || '''플레이오프''' ||<-3> '''[[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4강 플레이오프|4강 플레이오프]]''' ||<-3> '''[[2017-18 KBL 챔피언결정전|챔피언 결정전]]''' || [목차] * 한 쿼터에서 {{{#blue 10}}}점 미만은 파란색 글씨, {{{#blue '''5'''}}}점 이하는 볼드체 추가. 쿼터에서 {{{#red 30}}}점 이상은 빨간색 글씨, {{{#red '''35'''}}}점 이상은 볼드체 추가.(연장 제외) * 경기 기록을 작성하실 때 슛 성공률의 소수점 뒤의 자리 수는 버려서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예:56.8%→56%) == [[12월 30일]]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인천 전자랜드]] {{{#red 敗}}} == ||<-6>
{{{#ffffff 12월 30일 15:00,}}} [[인천삼산월드체육관|{{{#ffffff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ffffff 인천 전자랜드}}}]] || 19 || 17 || 19 || 20 || '''75'''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15 || 14 || 17 || 15 || '''61''' || 2017년 마지막 경기. DB는 3점 슛이 터지지 않고 [[디온테 버튼|버튼]]이 부진하면서 경기 내내 끌려다녔다.단 한 쿼터도 스코어에서 앞서지 못했다. 결국 2017년의 마무리가 조금 아쉽게 되었고, 시즌 20승 달성도 다음으로 미루게 되었다. ~~지난 시즌엔 정규시즌 전체 통틀어서 26승 했는데 벌써 20승인가... 대단하다.. [[이상범(농구)|감]][[김영만(농구)|독]]의 차이인가?~~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14/33(41%) || || '''3점 슛''' || 8/31(25%) || || '''자유투''' || 9/15(60%) || || '''어시스트''' || 16 || || '''리바운드''' || 39 || || '''스틸''' || 7 || || '''블록슛''' || 5 || == [[1월 1일]] vs [[전주 KCC 이지스|전주 KCC]] {{{#blue 勝}}} == ||<-6>
{{{#ffffff 1월 1일 15:00,}}} [[원주종합체육관|{{{#ffffff 원주종합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0 || 12 || 21 || 26 || '''79''' || || [[전주 KCC 이지스|{{{#e1c52d 전주 KCC}}}]] || 27 || 15 || 16 || 12 || '''70''' || 2018년 첫 번째 경기. DB는 이 날 경기에서 시즌 20승에 도전한다. 1쿼터 DB가 리드를 내줬다. 27점을 내주면서 끌려갔다. 2쿼터에 점수가 12점에 묶이면서 전반전에 두자릿수 점수차로 끌려갔다. 3쿼터부터 DB가 추격하기 시작했다. DB는 [[김주성(농구)|김주성]]이 들어오는 3쿼터에 강하다. ~~나이가 들었지만 여전히 팀의 중심~~ 4쿼터에 윤호영이 에밋의 수비를 맡았는데 아주 잘 막았다. 에밋이 턴오버를 범하면서 분위기가 넘어갔고 [[두경민]]과 김주성 그리고 윤호영의 3점까지 터지며 승리를 가져갔다. 한편 이 날 경기부터 김주성의 은퇴 투어가 시작된다. 원정에선 1월 5일 [[서울특별시 학생체육관|잠실]] SK전부터 시작이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1/43(48%) || || '''3점 슛''' || 8/26(30%) || || '''자유투''' || 13/22(59%) || || '''어시스트''' || 13 || || '''리바운드''' || 41 || || '''스틸''' || 10 || || '''블록슛''' || 2 || == [[1월 3일]]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현대모비스]] {{{#blue 勝}}} == ||<-6>
{{{#ffffff 1월 3일 19:00,}}} [[울산동천체육관|{{{#ffffff 울산동천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 24 || 12 || 28 || 14 || '''78'''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4 || 27 || 12 || 18 || '''81''' || 또 다시 울산에서 승리하면서, DB와 현대모비스의 서로의 홈 경기 도장깨기는 현재진행형이다.[* 4라운드까지 상대전적이 서로 2승 2패인데, 승리를 모두 상대의 홈 경기장에서 땄다.] 1쿼터는 대등한 경기였지만, 2쿼터에서 현대모비스가 3점 슛 난조를 보이는 동안 달아나며, 15점차로 벌렸다. 하지만 3쿼터에서 현대모비스의 강력한 수비에 막혀 슛을 던질 기회조차 잡지 못하며, 16점의 리드를 허용, 결국은 1점차로 역전당했다. 하지만 4쿼터 막판, 버튼이 2점차에서 자유투 두 개를 모두 성공하며, 한숨 돌렸고 시간이 모자랐던 현대모비스에게서 승리를 가져갔다. 이것으로 현대모비스의 연승도 10에서 멈추고 말았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3/44(52%) || || '''3점 슛''' || 9/19(47%) || || '''자유투''' || 8/14(57%) || || '''어시스트''' || 19 || || '''리바운드''' || 35 || || '''스틸''' || 5 || || '''블록슛''' || 4 || == [[1월 5일]] @ [[서울 SK 나이츠|서울 SK]] {{{#blue 勝}}} == ||<-6>
{{{#ffffff 1월 5일 19:00,}}}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ffffff 잠실학생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서울 SK 나이츠|{{{#ffffff 서울 SK}}}]] || 22 || 17 || 20 || 26 || '''85'''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0 || 20 || 23 || 28 || '''91''' || DB는 SK와의 마지막 원정경기에서 승리하며 3연승을 질주, 단독 1위자리를 지켰다. 하프타임에는 김주성의 은퇴투어 행사도 진행되었다. 1쿼터 초반에 SK의 3점 슛을 막지 못하며 끌려갔다. 하지만 [[디온테 버튼|버튼]]이 들어온 이후 추격하며 2점차로 끝냈다. 2쿼터 1,2위팀의 경기 다운 팽팽한 흐름이 이어졌다. DB는 [[서민수(농구선수)|서민수]]의 득점으로 역전한 채 전반전을 마무리했다. 3쿼터 DB가 조금 달아났다. 하지만 3쿼터 스코어 역시 3점차로 그리 차이가 많이 나진 않았다.4쿼터에 DB가 공격이 잘 풀리며 격차를 벌렸다. [[최준용(농구선수)|최준용]]에게 3점 슛을 허용하며 추격당했지만 역전을 허용하지는 않았다. 이렇게 3연승을 질주했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0/41(48%) || || '''3점 슛''' || 9/21(42%) || || '''자유투''' || 24/31(77%) || || '''어시스트''' || 19 || || '''리바운드''' || 37 || || '''스틸''' || 9 || || '''블록슛''' || 1 || === [[김주성(농구)|김주성]] 은퇴투어 === [[파일:김주성 은퇴투어 잠실학생.jpg]] 김주성의 원정 은퇴투어 첫 번째 장소인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잠실학생체육관]]. SK 구단은 2002년, 2014년 아시안게임 금메달 기념 피규어를 전달했다. 그리고 DB와 김주성은 기념 유니폼 두벌을 SK에 선물했다. 하나는 SK 구단에 전해졌고 하나는 경기장을 찾은 팬들중 한명이 받았다. 기념 피규어의 주인공은 김주성과 [[문경은]](SK 감독), [[전희철]](SK 코치), [[김선형]](SK 주장)이다. 김주성은 2002년에 전희철 코치와 문경은 감독과 함께 아시안게임 우승을 이뤘고, 2014년엔 김선형과 함께 다시한번 아시안게임 우승을 달성한 바 있다. 이제 9개 구장중 1개 구장에서의 은퇴투어가 진행되었다. 다음 은퇴투어 행사는 1월 24일 kt와의 부산 원정경기에서 진행된다. == [[1월 7일]] @ [[부산 kt 소닉붐|부산 kt]] {{{#blue 勝}}} == ||<-6>
{{{#ffffff 1월 7일 15:00,}}} [[사직실내체육관|{{{#ffffff 사직실내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부산 kt 소닉붐|{{{#ffffff 부산 kt}}}]] || 23 || 22 || 23 || 18 || '''86'''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1 || 28 || 27 || 21 || '''97''' || DB가 또한번 승리하며 kt를 구단 역대 최다인 12연패로 몰아넣었다. 1쿼터 초반엔 kt가 단단히 준비한듯 했다. 그러면서 끌려갔다. 하지만 [[박병우]]가 [[3점 슛]] 3개를 꽂으면서 추격했고, 버튼이 들어온 이후 조금씩 따라붙기 시작했다. 1쿼터는 23-21로 두점 뒤진차로 마무리했다. 외국인 두명이 뛰는 2쿼터부터 조금씩 달아났다. 김주성이 뛰기 시작하는 3쿼터, DB가 더욱 달아났다. 격차를 8점차로 더 벌렸다. kt는 뒤로갈수록 수비가 더욱 더 안좋아졌다. 4쿼터 DB가 승리를 굳혔다. 10점 이상으로 격차를 벌리며 완전히 승기를 잡았다. 최종스코어 97-86으로 kt를 잡으며 12연패에 빠트렸다. 버튼이 22득점, 두경민이 18득점, 김주성이 8득점을 기록했다. kt는 12연패, DB는 4연승으로 극과 극이다. DB는 [[2018년]] 새해들어 무패를 기록하고 있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4/46(52%) || || '''3점 슛''' || 11/26(42%) || || '''자유투''' || 16/18(88%) || || '''어시스트''' || 17 || || '''리바운드''' || 44 || || '''스틸''' || 6 || || '''블록슛''' || 5 || == [[1월 10일]] @ [[창원 LG 세이커스|창원 LG]] {{{#blue 勝}}} == ||<-6>
{{{#ffff00 1월 10일 19:00,}}} [[창원실내체육관|{{{#ffff00 창원실내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창원 LG 세이커스|{{{#ffff00 창원 LG}}}]] || 20 || 12 || 27 || 10 || '''69'''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19 || 21 || 14 || 19 || '''73''' || 홈이든 원정이든 지난 시즌부터 LG에게 지지 않고 있던 DB가 결국엔 LG전 10연승까지 달성했다. 1쿼터 그야말로 접전이었다. 막판 [[양우섭]]에게 3점 슛을 허용하며 20-19 한 점 뒤진 채로 마무리됐다. 2쿼터 본격적으로 격차를 벌렸다. 40-32로 전반전 마무리. 하지만 3쿼터에 [[김시래]]에게 3점 3방을 포함, 11점을 내주면서 5점차로 역전당했다. 하지만 접전이었던 4쿼터, 그 김시래가 이번엔 LG의 역적이 되었다. 김시래는 3점 슛은 3개를 넣었는데, 자유투는 5개중에 2개밖에 못 넣으면서 결국 승리는 DB가 가져갔다. ~~그 와중에 [[정창영(1988)|정창영]] 인성 논란~~ 이것으로 DB의 17-18시즌 전반기는 1위, 그리고 5연승으로 마무리. 13일과 14일에는 올스타전이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체육관|잠실학생체육관]]에서 열린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1/43(48%) || || '''3점 슛''' || 7/28(25%) || || '''자유투''' || 10/14(71%) || || '''어시스트''' || 12 || || '''리바운드''' || 38 || || '''스틸''' || 11 || || '''블록슛''' || 2 || == 1월 13~14일: [[KBL 올스타전/2017-18 시즌|올스타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BL 올스타전/2017-18 시즌)] 13일 열린 3점 슛 콘테스트에는 [[김주성(농구)|김주성]]과 [[두경민]]이 참가했지만 아쉽게도 두 선수 모두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결승 진출자는 [[전준범]], [[김기윤]], [[송창용]], [[테리코 화이트]].] 3×3대학 OB 최강전에는 김주성이 중앙대, 두경민이 경희대, 서민수가 동국대 올스타로 뛰었는데 중앙대가 우승하며 김주성이 우승을 맛보았다. 또 14일 열리는 덩크 콘테스트에는 [[디온테 버튼|버튼]]과 [[서민수(농구선수)|서민수]]가 참가하며, 같은 날 올스타전 본경기에는 버튼과 김주성 그리고 두경민이 [[이정현(1987)|이정현]] MAGIC팀으로 출전한다. 이 중 버튼은 베스트 5로 나선다. ~~어째 서민수 빼곤 다 같은 사람만 나가냐~~ 올스타전 결과 외국인 덩크슛 콘테스트에서 버튼이 우승하였고, 본경기에서도 버튼이 만점짜리 활약을 펼치면서 MVP를 수상했다. 동부시절까지 포함해서 2008년 김주성 이후 10년만에 올스타전 MVP를 배출하였다. == [[1월 16일]] vs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KGC]] {{{#blue 勝}}} == ||<-6>
{{{#ffffff 1월 16일 19:00,}}} [[원주종합체육관|{{{#ffffff 원주종합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19 || 29 || 20 || 24 || '''92''' || || [[안양 KGC인삼공사|{{{#ffffff 안양 KGC}}}]] || 21 || 13 || {{{#red 31}}} || 24 || '''89''' || 이 날 경기 전까지 유일하게 KGC 상대로 상대전적에서 밀리던 DB였다. 또 지난 11월 KGC와의 홈경기에서도 20점차로 대패한 바 있었다. 1쿼터에 두점 뒤졌다. 하지만 2쿼터에 격차를 크게 벌리며 48-34 14점차까지 벌렸다. 하지만 3쿼터에 KGC에 31점이나 주면서 14점차가 3점차까지 줄어들었다. 4쿼터 마지막 1분이 가장 재미있었다. 3점차로 앞서고 있었던 상황에서 상대팀 슈터 [[전성현]]에게 11초를 남기고 3점 슛을 허용했다. 이어진 DB의 공격, 버튼이 공을 가지고 상대 진영으로 넘어갔다. 버튼을 상대팀 피터슨이 막고 있었는데 넘어졌다. 버튼이 그 틈을 놓치지 않고 3점 슛을 1.5초 남기고 꽂아넣으면서 경기를 마무리했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0/41(48%) || || '''3점 슛''' || 11/27(40%) || || '''자유투''' || 19/22(86%) || || '''어시스트''' || 18 || || '''리바운드''' || 40 || || '''스틸''' || 2 || || '''블록슛''' || 4 || == [[1월 18일]] vs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고양 오리온]] {{{#blue 勝}}} == ||<-6>
{{{#ffffff 1월 18일 19:00,}}} [[원주종합체육관|{{{#ffffff 원주종합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15 || 25 || 15 || 22 || '''77'''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ffffff 고양 오리온}}}]] || 16 || 11 || 13 || 29 || '''69''' || DB가 이번에도 승리하며 7연승을 기록, 1위를 굳건하게 지켰다. 전반전엔 2쿼터에 점수차를 크게 벌리면서 13점을 앞섰고 3쿼터에도 3점을 앞서며 3쿼터가 끝났을 때 까지의 격차는 16점. 꽤 벌어져 있었다. 그리고 4쿼터 시작하자마자 윤호영이 5점을 넣으면서 60-40까지 앞섰다. 하지만 오리온이 작전시간 이후 마찬가지로 5점을 넣으며 다시 15점차로 만들었다. 이후에 격차가 꽤 줄어드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역전까지는 허용하지 않으면서 이 날 경기까지 승리, 4라운드 7승 1패를 기록했다. 이틀 뒤 [[서울 삼성 썬더스|삼성]]만 잡으면 4라운드 8승 1패를 기록하게 된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6/55(47%) || || '''3점 슛''' || 5/19(26%) || || '''자유투''' || 10/15(66%) || || '''어시스트''' || 15 || || '''리바운드''' || 47 || || '''스틸''' || 5 || || '''블록슛''' || 5 || == [[1월 20일]] @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blue 勝}}} == ||<-6>
{{{#ffcc33 1월 20일 17:00,}}} [[잠실실내체육관|{{{#ffcc33 잠실실내체육관}}}]] || || '''팀명''' || '''1Q''' || '''2Q''' || '''3Q''' || '''4Q''' || '''합계''' || || [[서울 삼성 썬더스|{{{#ffcc33 서울 삼성}}}]] || 22 || 15 || 23 || 24 || '''84''' || || [[원주 DB 프로미|{{{#ffffff 원주 DB}}}]] || 24 || 13 || 29 || 27 || '''93''' || DB가 이번 경기마저도 승리하면서 8연승을 이어갔다. 삼성이 끈질기게 따라붙었지만 4쿼터에만 15점을 올린 [[두경민]]의 활약에 힘입어 승리했다. 이 날은 모든 선수가 다 잘해줬다. 1쿼터 13점을 넣은 김현호, 리바운드에 적극 가담한 [[서민수(농구선수)|서민수]]와 [[김태홍(농구)|김태홍]], 허슬 플레이를 보여준 [[이지운]]까지, DB가 8연승을 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마침 다음 상대가 [[부산 kt 소닉붐|kt]]이기에 이변이 없는 한 무난하게 9연승을 달성할 듯하다. ||<-2>
'''{{{#ffffff 경기 기록}}}''' || || '''2점 슛''' || 20/37(54%) || || '''3점 슛''' || 15/36(41%) || || '''자유투''' || 8/10(80%) || || '''어시스트''' || 20 || || '''리바운드''' || 36 || || '''스틸''' || 13 || || '''블록슛''' || 5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 version=773, paragraph=6)] [[분류:원주 DB 프로미/2017-18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