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원지}}}(遠志, 蕘繞)[br]Chinese Milkwor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enega-WE-website_800x.webp|width=100%]]}}} || || '''학명''' || ''' ''Polygala tenuifolia'' '''[br]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ddd '''계'''}}}]] ||[[식물|식물계]](Plantae) || || [[생물 분류 단계#문|{{{#000,#ddd '''문'''}}}]] ||속씨식물문(Angiosperms) || || [[생물 분류 단계#강|{{{#000,#ddd '''강'''}}}]] ||진정쌍떡잎식물강(Eudicot) || || [[생물 분류 단계#목|{{{#000,#ddd '''목'''}}}]] ||콩목(Fabal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ddd '''과'''}}}]] ||원지과(Polygalace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ddd '''속'''}}}]] ||원지속(Polygal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ddd '''종'''}}}]] ||원지(''P. tenuifolia'') || [clearfix] [목차] == 개요 == 콩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지초(阿只艸)', '아기풀뿌리'라고도 불린다. 한반도의 함경도와 황해도, 러시아, 몽골, 중국 후베이성과 후난성 일대에서 주로 자생한다. 20cm 이상 자란 개체는 7~8월에 나비 모양의 푸른 꽃을 피우고, 열매는 삭과로 납작하다. 주로 한약재로 쓰이는 뿌리 부분을 채취하기 위해 기르는데, 습기에 취약해 장마철에 땅이 축축해지면 쉽게 썩으니 주의해야 한다. == 한약재 == 달여서 그냥 마시거나 꿀과 섞어먹는 방식으로 섭취하며, 주요 약효로는 두근거림, 건망증, 불면증, 우울증, 가래가 많은 기침에 효과적이라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어, [[도라지]]보다 약효가 강하다. [[분류:콩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