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2호 ||<|2> ← || '''93호''' ||<|2> → || 94호 || || [[대성사 목불좌상]] ||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 || [[이정영(1616)#s-5|효간공 이정영 묘역]]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3호}}}]]''' || ||<-2> {{{#fff {{{+1 '''원지동 석불입상 및 석탑'''}}}[br]{{{-1 院趾洞 石佛立像 및 石塔}}}}}}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 서초구 원지동 362-4번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 362-4번지 , 362-5 || || '''{{{#fff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 '''{{{#fff 수량 / 면적}}}''' || 석불 1軀, 석탑 1基, 토지 1.1㎡ || || '''{{{#fff 지정연도}}}''' || [[1993년]] [[4월 10일]]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서초구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륵당.jpg|width=100%]]}}} || || {{{#fff ''' 석불입상이 모셔진 미륵당[*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75&ccbaKdcd=21&ccbaAsno=0093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원지동석불입상.jpg|width=100%]]}}} || || {{{#fff ''' 석불입상[*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74&ccbaKdcd=21&ccbaAsno=0093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초구]] [[원지동]]에 있는 미륵당에 모셔진 석불입상과 석탑이다. 청계산로 청계산입구 사거리에서 [[경부고속도로]] 밑을 지나는 원터골 연결통로로 들어가는 길에 있다. == 상세 == 언제 만들었는지 모른다. 원래 이 일대에 [[절(불교)|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없고 미륵당과 석불입상, 석탑만 남아있다. 이 일대를 원터마을로 부르는데, 주민들이 이 [[불상]]을 마을의 수호신으로 생각하여 현재도 1년에 한 번씩 [[제사]]를 지내고 있다. 미륵당은 맞배지붕에 홑처마를 한 건물로, 측면과 후면 중하단에는 방화벽이, 그 위에는 회칠을 한 벽이 있다. 출입문은 정면에만 있으며 문에는 [[태극]] 문양을 그려넣었다. 미륵당 안에 있는 석불입상은 높이가 225cm이고 하얀 색으로 칠해져 있다. 머리에는 고깔모자를 씌웠고, 몸 부분에는 흰 옷을 입혔으며 그 위에는 빨간 색 천을 묶어 두었다. [[얼굴]]은 [[코]]가 뭉툭하며 [[눈]]과 [[입]]은 가늘고 작은 편이다. 그리고 콧수염도 묘사해두었다. 머리와 몸통이 바로 이어져 마치 돌기둥 같은 느낌을 주는데 이는 [[여말선초]] 양식의 대표적인 모습이다. 불상 뒤에는 [[병풍]]이, 앞에는 [[제단]]이 있으며 제단 위에는 [[제기]]를 올려두었다. 미륵당 앞에는 3층 석탑이 있다. 크기는 매우 작으며 곳곳에 깨진 흔적이 많이 보인다. 1층 탑신에 비해 2, 3층 탑신의 높이는 낮으며 전체적으로 별다른 장식이 없다. == 여담 == *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일제]]가 이 불상을 [[일본]]으로 가지고 가려다가 무산된 적이 있었다. 일설에는 이 [[불상]]에 영험이 있어 여기서 [[기도]]를 드리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에 [[일본인]]들이 불상의 배꼽을 훼손하자 영험이 사라졌다고 한다. [[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석조 불상]][[분류:좌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