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하이패스]] 미장착 차량 이용시, [[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재정 구간)와 [[민자도로|민자고속도로]]의 [[통행료]]를 중간 요금소 정차 없이 목적지 요금소에서 한 번에 납부하는 시스템이다. 재정 구간과 민자 구간이 교차하는 지점에 영상인식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번호를 식별하고, 목적지 요금소에 민자 구간 이용여부를 전달하여 요금을 정산한다. [[하이패스]] 장착 차량은 영상인식 카메라 설치 지점에서 그동안의 통행료가 납부되고, 목적지 요금소에서 나머지 통행료가 납부된다. == 역사 == 재정 구간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는 통합채산제를 실시하여 모든 노선이 하나의 고속도로로 간주되고, 어떠한 경로를 이용하더라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최단 거리에 해당하는 통행료를 부과한다. 그러나 민자고속도로는 이용 유무에 따라 [[한국도로공사]]와 민자 구간 운영사 간의 통행료 정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민자 구간에서 재정 구간으로 빠져나가는 지점에 [[요금소]]를 설치하여 민자 구간 이용차량을 확인함과 동시에 통행료를 중간 정산하였다. 운전자 입장에서는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여러 곳의 요금소에 정차하면서 통행료를 납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원톨링 시스템(무정차 통행료 납부시스템)'''이 2016년 11월 11일 도입되었다. '''(예시)''' [[서울TG]]→[[광주TG]]([[논산천안고속도로]] 경유(하이패스 미장착 차량 한정)) * 이전: [[서울TG]] 발권 → [[풍세TG]] 중간정산 및 발권 → [[남논산TG]] 중간정산 및 발권 → [[광주TG]] 최종정산 * 원톨링 시스템 도입 이후: [[서울TG]] 발권 → 풍세원톨링 무정차 통과 → 남논산원톨링 무정차 통과 → [[광주TG]] 일괄 수납 * 하이패스 차량의 경우 통과 속도가 빨라졌다는 장점이 있다. == 원톨링 시스템 현황 == 민자구간의 시점·종점과 중간분기점에 모두 원톨링 게이트를 설치해야 [[교차 검증]](cross checking)을 통해 오류를 줄일 수 있으나, 한쪽 방향에만 원톨링 게이트를 설치하거나, 아예 설치하지 않으면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북부구간은 유일하게 원톨링 시스템이 적용되지 않는 구간이니 참조 바란다.] * [[논산천안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25.svg|height=23]] * [[천안JC]]↔[[논산JC]]: 이중으로 체크 * [[천안JC]]↔[[공주JC]]: [[풍세TG]]에서만 체크 * [[천안JC]]↔[[북공주JC]]↔[[공주IC]]: [[풍세TG]]에서만 체크 * [[논산JC]]↔[[공주JC]]: [[남논산TG]]에서만 체크 * [[풍세TG]]와 [[남논산TG]]는 양방향으로 있으나, [[공주JC]]와 [[북공주JC]]에는 원톨링게이트가 없다. 정안(논산천안)↔천안(경부) 구간에서 오류가 발생한 사례도 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421&aid=0003637197|#]][[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14&aid=0000789117|#]][[https://m.anewsa.com/article_sub3.php?number=1125042|#]] * [[중앙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 * [[동대구JC]]→[[대동JC]]: [[김해부산TG]]에서만 체크 * [[대동JC]]→[[동대구JC]]: [[대구TG]]에서만 체크 * [[동대구JC]]→[[밀양JC]]: [[밀양JC]]에서만 체크 * [[밀양JC]]→[[동대구JC]]: 이중으로 체크([[밀양JC]]출구→[[대구TG]]) * [[대동JC]]→[[밀양JC]]: [[밀양JC]]에서만 체크 * [[밀양JC]]→[[대동JC]]: 이중으로 체크([[밀양JC]]출구→[[김해부산TG]]) * [[밀양JC]]에는 양방향으로 원톨링게이트가 설치돼 있으나, [[대구TG]]와 [[김해부산TG]]는 한쪽 방향으로만 톨게이트가 있다([[대구TG]]는 [[동대구JC]] 방향, [[김해부산TG]]는 [[대동JC]] 방향). * [[상주영천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301.svg|height=23]] * [[낙동JC]]→[[영천JC]]: [[영천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낙동JC]]→[[군위JC]]: [[군위JC]]출구에서만 체크 * [[낙동JC]]→[[화산JC]]: [[화산JC]]출구에서만 체크 * [[영천JC]]→[[낙동JC]]: 낙동 요금소에서만 체크 * [[영천JC]]→[[군위JC]]: [[군위JC]]출구에서만 체크 * [[군위JC]]→[[낙동JC]]: 낙동 요금소에서만 체크 * [[군위JC]]→[[화산JC]]: [[화산JC]]출구에서만 체크 * [[군위JC]]→[[영천JC]]: [[영천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화산JC]]→[[낙동JC]]: 낙동 요금소에서만 체크 * [[화산JC]]→[[군위JC]]: [[군위JC]]출구에서만 체크 * [[화산JC]]↔[[영천JC]]: [[화산JC]]의 구조상 통행불가 * [[군위JC]]와 [[화산JC]]는 양방향으로 원톨링게이트가 설치돼 있으나, 입구(도공→민자 방향)는 꺼 놓고 출구(민자→도공 방향)만 가동하고 있다. 낙동톨게이트와 [[영천JC]]톨게이트는 한쪽 방향으로만 톨게이트가 있다(낙동톨게이트는 상주 방향, [[영천JC]]톨게이트는 영천 방향). * [[광주원주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2.svg|height=23]] * [[경기광주JC]]→[[신평JC]]: [[신평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신평JC]]→[[경기광주JC]]: [[경기광주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경기광주JC]]→[[원주JC]]: [[원주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원주JC]]→[[경기광주JC]]: [[경기광주JC]]톨게이트에서만 체크 * [[신평JC]]↔[[원주JC]]: [[신평JC]]의 구조상 통행불가 * [[경기광주JC]], [[신평JC]], [[원주JC]] 모두 한쪽 방향으로만 톨게이트가 있다. [[경기광주JC]]는 [[동서울TG]] 방향, [[신평JC]]는 [[중앙고속도로]]로 진출하는 접속로 앞에([[춘천TG]]/[[만종JC]] 방향), [[원주JC]]는 강릉 방향. * [[서울양양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60.svg|height=23]] * [[남양주TG]]→[[춘천JC]]: 이중으로 체크 * [[춘천JC]]→[[남양주TG]]: [[남양주TG]]에서만 체크 * [[남양주TG]]는 시점이라서 양방향으로 톨게이트가 있고, 동산원톨링게이트는 [[춘천JC]]/양양 방향에만 있다. * [[평택시흥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53.svg|height=23]] * [[서시흥TG]]↔[[마도JC]]: 이중으로 체크 * [[서시흥TG]]→[[서평택JC]]: 이중으로 체크 * [[마도JC]]→[[서평택JC]]: 이중으로 체크 * [[서평택JC]]→[[마도JC]]: [[마도JC]]에서만 체크 * [[서평택JC]]→[[서시흥TG]]: [[서시흥TG]]에서만 체크 * [[서시흥TG]]와 [[마도JC]]에는 양방향으로 톨게이트가 있으나, 장안본선원톨링게이트는 [[서평택JC]] 방향에만 설치돼 있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마도-화성)]] [[파일:Expressway_kor_400.svg|height=23]] * [[마도JC]]↔청요원톨링[* [[남비봉팔탄IC]]와 봉담터널 사이에 있다.]: 이중으로 체크 * [[마도JC]]↔[[팔탄JC]]: [[마도JC]]에서만 체크 * [[팔탄JC]]↔청요원톨링게이트: 청요원톨링게이트에서만 체크 * [[마도JC]]에는 양방향으로 톨게이트가 있고, 청요원톨링게이트도 양방향으로 설치돼 있으나, [[팔탄JC]]에는 원톨링게이트가 없다. --어떻게는 판독이 되겠지?-- * [[당진청주고속도로|당진청주고속도로(옥산-오창)]] [[파일:Expressway_kor_32.svg|height=23]] * [[옥산JC]]와 [[오창JC]]에 원톨링게이트가 없고, [[서오창IC]] 상의 본선에만 원톨링게이트가 있다. 여기서 체크가 안 되면 다른 고속도로로 돌아간 것으로 인식하여 요금을 부과한다. [[서오창IC]]를 진출입하는 차량은 이중으로 체크가 된다. * [[동해고속도로]](65번) * [[울주JC]]↔[[기장JC]]: 이중으로 체크 * [[울주JC]]↔[[울산JC]]: [[울주JC]]에서만 체크 * [[기장JC]]↔[[울산JC]]: [[기장JC]]에서만 체크 * [[기장JC]]와 [[울주JC]]에는 양방향으로 원톨링게이트가 설치돼 있으나, [[울산JC]]에는 원톨링 시스템이 없다.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동탄-곤지암)]][[파일:Expressway_kor_400.svg|height=23]] * [[동탄JC]]→[[서용인JC]]: 서용인(동) 원톨링게이트에서만 체크 * [[서용인JC]]→[[곤지암JC]]: 노곡 원톨링게이트에서만 체크 * [[곤지암JC]]→[[서용인JC]]: 서용인(서) 원톨링게이트에서만 체크 * [[서용인JC]]→[[동탄JC]]: 중리 원톨링게이트에서만 체크 * [[동탄JC]]→[[곤지암JC]]: 이중으로 체크(서용인(동)→노곡) * [[곤지암JC]]→[[동탄JC]]: 이중으로 체크(서용인(서)→중리) [[분류: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