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OaWeaTtb_po)] 1986년 9월 23일부터 1986년 10월 3일까지 방영되었던 KBS 1TV 특집 8부작 미니시리즈. 기간을 보면 알 수 있듯 동년도에 개최된 서울 아시안 게임 특집으로도 볼 수 있다. 극본은 김운경, 연출은 최상식 PD, 조연출은 박광호 & 김규효 PD, 기술감독은 최창근, 조명감독은 김태섭, 미술감독은 이석우, 타이틀은 박한영, 주제가 작/편곡은 임택수, 야외촬영은 하병원 & 이성춘, 카메라는 박용근 외 5명, 편집은 김현우 외 3명, 고증위원은 박정식, 자문은 이기영과 정휴 등이 각각 맡았다. 춘원 [[이광수(소설가)|이광수]] 작가가 1942년 <매일신보>에 연재한 동명의 소설이 원작이며, 영상화로 치면 1962년작 영화 및 1967년작 TBC 드라마에 이어 세 번째다. 신라 시대의 고승 원효를 화랑과 승려, 사상가 등 3개의 서로 다른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다뤘으며, 멜로드라마적 측면을 다룬 원작과 달리 역사성 및 시대상황을 더욱 강화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6081200209208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8-12&officeId=00020&pageNo=8&printNo=19958&publishType=00020|동아일보 기사]]) == 등장인물 == * [[원효]]: [[전무송]] * [[요석공주]]: [[유지인]][* 1986년 제262호(8월 23일) 24~25쪽 기사에 따르면, 유지인 자신은 담당 연출자 최상식 PD로부터 출연 요청을 받을 당시 30세의 나이로 18세의 요석공주 역을 맡기에는 나이 차가 컸고, <태평무>의 옥봉 역이 썩 내켜지지 않은 터라 사극에 대한 부담이 커서 망설인 채 언니네 가족들과 함께 부산으로 10여일 간의 휴가를 떠난 후, 이에 따라 한결 마음이 가벼워져서 마음이 점점 굳혀졌다는 식으로 심경을 밝혔다. 또한 <태평무> 종영 후 이 작품 전까지 <내 마음 별과 같이>, <뜨거운 강>, <노다지> 등지의 캐스팅 과정에서 그녀의 이름이 거론되다 출연이 불발되었던 상태였다. 이 작품을 끝으로 결혼과 함께 연예계에서 은퇴했다가, 16년 만인 2002년 이혼과 동시에 복귀했다.] * [[의상(신라)|의상]]: [[안승훈]] * 심상: [[오욱철]] * 스님들: [[유종근]], [[강만희]], 김동완, 황민, 오기환, 박동과, 신철진, 임홍식, 김의상 * [[선덕여왕]]: [[서우림]] * [[진덕여왕]]: [[황정아]] * [[태종 무열왕]]: [[박인환(배우)|박인환]] * [[문명왕후]]: [[최선자]] * [[문무왕]]: 안대용 * 지소부인: [[배종옥]] * 왕궁 집사장: 반문섭 * 궁녀들: 박현정, [[장정희]], 문수화, 박연은 * 신라 대신들: 박정웅, [[유병준(배우)|유병준]] * 기녀들: [[남윤정]], [[장희수(배우)|장희수]] * [[김유신]]: 김길호 * 김유신의 부장: 김종구 * 신라 장수: [[한정국(배우)|한정국]] * [[김알천]]: 이종만 * 자장율사: [[박용식]] * 대안대사: [[윤문식]] * 아사가: 김수연 * 거진랑: [[강민호(배우)|강민호]] * 비녕자: 최헌철 * 걸인 노인: [[이치우(1939)|이치우]] * 불목하니: [[기정수]] * 걸인들: 김상락, 신원균, 박규식 * 노파: 지계순 * 신라 병사들: 김경하, 김영선, [[이원발]], 이배국 * 공역장 관리: 김상훈 * 백성들: 나정옥, 방숙례, 노영화, 최용욱, [[이원종(1944)|이원종]], [[유순철]], 차기환 * [[계백]]: 이정웅 * 계백의 부인: [[조양자(배우)|조양자]] * 계백의 부장: 이용진 * 백제의 첩자들: [[김갑수]], 김종엽, [[최주봉]], 최동균, [[박건식]], 남성식 * 고구려 장수: 김유행 * 당나라 칙사: 이영 * [[소정방]]: 김윤형 * 당나라 장수: 홍승일 * 뱃사공: 이영수 * 강현미 * [[조춘(배우)|조춘]] * 박상만 * 박시영 * 김월성 * 홍순석 * 이형진 * [[이한위]] * 심훈보 * 서동영 * 최건호 * 김성룡 * 김춘일 * 강덕미 * 공경구 * 조정국 * 민병이 * 김진오 * 김상룡 * 정주현 * 이승률 * 이상원 * 함원영 * 이재호 * 류대성 * 최용팔 * 현호진 * 이궁희 == 여담 == * 특집드라마로서 이례적으로 고증과 현장성 면에서 심혈을 기울인 측면도 있는데, 자문위원으로 김동욱, 김정기, 이강칠, 김기웅, 이두현 등 전문가 5명을 투입하여 극중 다뤄지는 실제 전쟁인 황산벌 전투 및 무산 전투는 경북 경주, 경남 밀양 등지에서 촬영했으며, 처용무와 민속놀이 등도 극중에 삽입했다. 극중에 쓰이는 소품, 소도구, 무대미술, 궁중 양식 등은 전문가들의 고증을 거쳤지만 같은 해 7월 경주 용강고분에서 발굴된 토용 발굴까지 반영해가며 일부 수정을 거쳤다. * 종영 후 제작진들은 1986년 12월 8일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으로부터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6121000329207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12-10&officeId=00032&pageNo=7&printNo=12680&publishType=00020|감사패를 받았고]], 1988년 3월 23일부터 탤런트 총파업 탓에 <황금의 땅> 녹화(19일 예정)가 펑크나자 며칠 간 땜빵 편성된 바 있었다. 2020년 11월 21~28일까지 매일 저녁마다 KBS 유튜브 채널 '같이삽시다'에 업로드됐다. [각주] [[분류:1986년 드라마]][[분류:1986년 종영]][[분류:KBS 드라마]][[분류:특집 드라마]][[분류:신라/창작물]][[분류:한국 사극]][[분류:소설 원작 드라마]][[분류:원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