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원희룡]]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원희룡)] [include(틀:원희룡)] [목차] == 개요 == [[윤석열 정부]] 초대 [[국토교통부장관]]인 [[원희룡]]의 대권주자로서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한 문서.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 장점 === * '''[[자수성가]]한 수재·엘리트 이력''' : 부모가 빚쟁이한테 시달릴 정도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났지만, 공부를 굉장히 잘해 자수성가한 케이스이다. 고등학교 때 1등을 놓쳐본 적이 없었고, [[대학입학 학력고사|학력고사]] 수석을 차지했으며,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 법대]]에 수석으로 진학했고 [[사법시험]]까지 수석으로 패스했다. 그는 학력고사 전국 수석을 하며 지역의 자존심을 세워줬기에 이때부터 '''제주가 낳은 천재'''로 유명했고, 그의 수재 이미지는 명백히 지역민들에게 어필하는 큰 자산이다. 제주도 출신 인물 중 전국적으로 유명한 것으로는 몇 손에 꼽히는데 그 인지도에 상당 부분 기여한 것이 수재 이미지다. * '''개혁·소장파 이미지''' : [[한나라당]] 시절부터 [[남경필]], [[정병국]]과 함께 일명 '[[남원정]]'이라는 개혁적인 소장파 의원으로 꼽혀왔고 지금까지도 이 이미지가 어느 정도 남아있다. * '''뛰어난 토론 실력''' : 국민의힘 내에서 토론을 굉장히 잘하는 정치인으로 꼽힌다. 일례로 [[제20대 대통령 선거|2022년 대선]]을 앞두고 벌인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국민의힘 경선]] 토론회에서 [[유승민]] 후보와 매우 수준 높은 정책토론을 벌여 호평을 받은 바 있다. 안보·경제·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심도 있는 토론을 벌여 두 사람 모두 경제 전문가 VS 행정 전문가로서의 경험과 자질이 빛났다는 평.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11015_0001615782|#]] [[진중권]] 역시 "원희룡 후보가 가장 합리적이고 준비도 잘 됐다"라고 호평했다.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092928267|#]] * '''국토교통부장관으로서의 업적 및 성과''' : 국토교통부장관 재임 중 ▲ [[재건축]] 3대 대못으로 꼽히는 [[분양가상한제]]·[[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안전진단에 대한 개편안 발표 ▲ [[외국인]] [[부동산 투기]] 규제 강화 ▲ 건설노조 불법행위 강경대응 통한 건설현장 정상화 ▲ 사우디아라비아 아미랄 프로젝트 등 해외 건설수주 성공 등의 성과를 보았다. 다만 아직까지도 여러 과제들이 산적해있어 온전한 평가는 힘들다. * '''강한 존재감 및 친서민적인 사이다 행보''' : 국토교통부장관으로 재임하면서 강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고 사이다 행보도 보이고 있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2157553i|#]] 건설노조의 불법행위에 대해 칼을 들이대고, [[https://www.yna.co.kr/view/AKR20230221125000003|#]] [[대한항공]]이 소비자가 불리한 방향으로 마일리지를 개편하려 하자 이를 질타해 결국 개편안을 전면 재검토하게 만들고,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2200221|#]] [[GS건설]]이 건설하는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현장 붕괴사고|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붕괴]]되자 "설계와 달리 철근 빼먹으며 부실공사한 GS건설의 셀프 점검은 못 믿겠다"며 공개저격하고 국토부 직접 조사와 문제 확인 시 최강 조치를 공언하고,[* 결국 GS건설은 붕괴한 아파트를 전면 재시공하기로 결정해, 원희룡 장관의 단호함이 통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https://www.news1.kr/articles/5099261|#]]] [[https://biz.sbs.co.kr/article/20000118193|#]]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6143200003|#]] 미분양 아파트 매입을 요구하는 건설사에 "반시장적, 반양심적"이라고 직격하고,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303/118159750/1|#]] LH의 미분양주택 고가매입 논란에 대해 감찰 지시를 내리고, [[https://www.khan.co.kr/economy/real_estate/article/202301301624001|#]] [[호반건설]]을 비롯해 위장계열사를 동원한 벌떼입찰을 한 건설사들을 수사의뢰 및 공개저격하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70438|#]]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041114350005511|#]] 실거래가 띄우기에 대해 조사에 나서고, [[https://www.yna.co.kr/view/AKR20230412142951003|#]] 하자 아파트의 입주자 조롱에 대해 지적하고 나서는 등 [[https://www.khan.co.kr/economy/real_estate/article/202301090825001|#]] 다수의 국민들, 특히 서민들과 약자들이 충분히 공감할 만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 '''현장 밀착형 업무 스타일''' : 장관실 책상에만 앉아있지 않고, 현장을 찾아가는 행보를 매우 자주 보이고 있다. 부실공사 현장을 찾아가서 강한 메시지를 내고, 해외 건설수주를 위해 사우디아라비아나 인도네시아 등으로 직접 출장을 가는 등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취임 1년 동안 국내 현장 방문은 354차례, 기자간담회·브리핑은 28회, 해외 출장 거리는 11만 km[* 대략 지구 3바퀴쯤 되는 거리다.]에 달한다고 한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50310115094288|#]] [[https://www.fnnews.com/news/202305160541230021|#]] === 복합적 === * '''제주도지사 시절 평가''' : 도정운영에 대해 잘했다는 의견[* '''1.''' 제주판 3김 ([[신구범]], [[우근민]], [[김태환(1942)|김태환]]) 22년 정치 종식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60487|#1]], [[https://www.pol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117|#2]] '''2.''' 제주 특유의 괸당정치 종식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4060418367610745&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 '''3.''' 제주 공직사회 줄세우기·편가르기 문화 청산 [[https://www.newsjeju.net/news/articleView.html?idxno=321352|#]] '''4.''' 2018년 민주당 돌풍 속에서도 무소속으로 재선 성공 [[https://www.fnnews.com/news/201806132326415044|#]] '''5.''' 도지사 재임기간 중 제주도 경제성장률 전국 1위 [[http://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3513|#1]],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21578|#2]],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98582|#3]] '''6.''' 고용률 전국 1위, 실업률 전국 최저 [[https://www.fnnews.com/news/201602231529574961|#1]],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46631|#2]],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4969|#3]] '''7.''' 주민생활만족도 전국 1위 [[http://www.media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313097|#1]],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9061216167615073|#2]] '''8.''' 대중교통 만족도 전국 1위 [[https://www.ilyosisa.co.kr/news/article.html?no=202551|#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2171439335102|#2]] '''9.'''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전국 1위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582|#]] '''10.''' 청렴도 전국 1위, 부패방지시책 전국 1위 [[http://www.newsnjeju.com/news/articleView.html?idxno=43174|#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118000826|#2]] '''11.''' 지방채 감축률 전국 2위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630|#]] '''12.''' 1차산업 조수입 전국 최고수준 [[http://www.ihalla.com/read.php3?aid=1629881040712946010|#]] '''13.''' 문화예술 예산 비중 전국 최고수준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0142|#]] '''14.''' 생활임금제 전국 최고수준 [[https://www.nocutnews.co.kr/news/4855643|#]] '''15.''' 자원 재활용률 전국 1위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58017&ref=A|#1]],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58834&ref=A|#2]] '''16.''' 전국 유일 버스 내 무료 와이파이 설치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595|#]] '''17.'''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 전국 시.도지사 공약이행률 평가 전국 1위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203372|#]] '''18.''' 법률소비자연맹 주관 전국 시.도지사 공약이행률 평가 전국 1위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424012013&wlog_tag3=naver|#]] '''19.''' 원희룡 7년 재임동안 지역 총생산 46.0% 성장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01_0001533489&cID=10813&pID=10800|#]] '''20.''' 원희룡 7년 재임동안 지역 예산 72.9% 성장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801_0001533489&cID=10813&pID=10800|#]] '''21.''' 4000억원이 넘는 지방채무 전액 상환하여 채무제로 달성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6/28/2018062803795.html|#]] '''22.''' 대중교통체계 전면개편정책 성공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2171439335102|#]] '''23.''' 쓰레기 요일별 배출제 정착 [[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10851|#1]],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310945|#2]] '''24.''' 도두 하수종말처리장 현대화 사업 및 확장공사 추진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6015|#]] '''25.''' 제주 더 큰 내일센터(청년취업 정책) 성공 [[https://shindonga.donga.com/3/all/13/2074464/1|#1]], [[https://www.fnnews.com/news/201910060027481840|#2]] '''26.''' 제주4·3특별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결실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12502|#]] '''27.''' 제주도·제주도의회·강정마을 상생화합 공동선언(해군기지 갈등 해소)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53112440001886?did=NA|#]] '''28.''' 중국자본 차단 및 난개발 방지 (송악산 선언) [[https://www.news1.kr/articles/?4097729|#]] '''29.''' 외국인투자이민(영주권)제도 대폭 축소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607209842a|#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91126612716816&mediaCodeNo=257&OutLnkChk=Y|#2]] '''30.''' 제주 무비자입국(무사증 제도) 전면 중단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928|#1]], [[http://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921|#2]]]과 못했다는 의견이 반반으로 엇갈린다. 다만 서울, 경기 같은 주요 지자체들과 달리 제주도의 인구가 얼마 안 되고 주목도도 낮기 때문에[* 일단 중앙과 가장 멀리 떨어진 곳이 제주도이며, 제주도 자체의 인구도 70만이 채 되지 않는다.], 전체 국민들 입장에서는 [[이명박]], [[오세훈]], [[이재명]] 등 다른 수도권 지자체장과는 달리 원희룡이 도지사 시절 뭘 했는지조차 인지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이 시절의 평가가 본인의 이미지에 크게 좋거나 크게 나쁜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 * '''국토교통부장관 재임 중 성과 여부''' : 이 부분이 21대 대선 기간에서의 성과를 좌우할 굉장히 중요한 변수이나, 장관을 지낸 지 1년이 조금 넘어 아직 온전히 평가를 내리기는 힘든 부분이다. 물론 일부 성과가 있긴 했지만, 아직까지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부동산·교통 관련 문제들은 그 특성상 단기간에 성과를 보기 힘든 문제인지라,[* 택지개발·재건축·재개발 등의 주택 공급이나 철도·공항 등의 인프라 건설은 최소 몇 년은 걸릴 수밖에 없고, 심지어 [[티스푼 공사|10년 넘게 안 풀리고 질질 끄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원희룡이 윤석열 정부 5년동안 계속 국토부 장관만 해도 자기 임기동안 큰 건수를 끝까지 완료하기는 매우 힘들다.] 비교적 단기간에 어느 정도 성과를 낼 수 있는 법무부장관 [[한동훈]]에 비해서 대권주자로서의 여건이 불리할 수 있다. * '''부동산 가격 추이''' : 윤석열 정부의 첫 [[국토교통부장관]]으로 있으면서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문재인 정부]] 시기에 저금리와 잘못된 정책의 영향으로 인해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집값이 급등했다가]], 2022년 윤석열 정부 시기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금리를 계속해서 빅스텝 또는 그 이상으로 인상하고 있고, [[이창용]] [[한국은행|한은]] 총재도 미국을 따라서 비슷한 수준으로 금리를 올리면서 부동산 값이 잡히고 있다. 원희룡 본인은 2022년 10월 국토부 국감에서 부동산 가격 등락에 대해 "전국 집값이 50% 올랐다가 6% 하락했다"며 "폭락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6CFPAXUEF|#]] 엄밀히는 본인보다는 파월과 이창용이 잘한 덕이지만, 집값이 계속 내려간다면 적어도 대권가도에 장애물이 되지는 않는다. 단 집값이 지나치게 폭락하기 시작하면 장애물로 돌변할 수 있다. * '''각종 부동산·교통 정책들의 추진''' : [[1기 신도시]] 등의 [[재건축]], 부동산 세금,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가덕도신공항]] 등 각종 부동산 및 교통 정책들이 얼마나 순조롭게 추진되느냐에 따라 대권가도가 달려있다. 재건축 문제의 경우는 한때 규제 완화 속도가 너무 느린 것 아니냐는 불만도 있었지만, 대통령 임기 첫해 중에 3대 대못으로 꼽히는 [[분양가상한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안전진단에 대한 개편안을 모두 발표하면서 진전이 있었다. === 단점 === * '''빈약한 지역 기반''' : 본인의 지역 기반인 [[제주도]]의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지역기반이 빈약한 편이며, 이는 전국단위 선거에서 [[대경권|TK]], [[부울경|PK]], [[전라도|호남]], [[충청도|충청]] 등 타 지역 출신 대권주자들에 비해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 : 범여권 내에서 [[안철수]], [[오세훈]], [[유승민]], [[이준석]], [[한동훈]], [[홍준표]] 등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편이며 크게 화제에 오르는 인물도 아니다. 일단 인지도가 낮다 보니 대권주자로의 각인도 상대적으로 안 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