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랑천의 교량)] ||<-5> '''[[교량/목록|중랑천의 교량]]''' || || 상류 방면 ||<|3> {{{+1 ← }}} || 이름 ||<|3> {{{+1 → }}} || 하류 방면 || ||<|2> [[녹천교]] || '''월계1교''' ||<|2> [[한천교]] || || [[월계로]]·[[한글비석로]] || ||<-5> [[서울특별시도|{{{#white '''서울특별시도'''}}}]] || ||<-5> [[동부간선도로|{{{#ffffff '''동부간선도로'''}}}]] || || [[녹천교|{{{#gray 의정부}}}]] {{{#gray 방면}}}[br][[녹천교|{{{#000000,#e5e5e5 녹천교}}}]] || {{{+1 ←}}} || {{{#000000,#e5e5e5 '''월계1교'''}}} || {{{+1 →}}} || [[복정교차로|{{{#gray 성수/송파}}}]] {{{#gray 방면}}}[br][[월릉교|{{{#000000,#e5e5e5 월릉교}}}]] || {{{+1 月溪一橋 / Wolgye1(il)gyo }}} ||<-2> {{{+2 '''월계1교'''}}} || ||<-2> '''다국어 표기''' || || [[영어]] || Wolgye1(il)gyo || || [[한자]] || 月溪一橋 || ||<-2> '''관리기관''' || || 월계1교 ||<|2> [[서울특별시]] || || [[동부간선도로]] || || [[동부간선도로]] 개통일 || [[1992년]] || ||<-2> '''접속도로''' || ||<-2> [[월계로]]·[[한글비석로]] ||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있는 [[중랑천]]의 교량. 해당 교량에 [[동부간선도로]]의 [[나들목]]도 설치되어 있다. 명칭은 소재지인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서 유래했다. 이 다리 바로 남쪽에 월계1교보다 먼저 지어진 옛 [[경춘선]] 철교[* 선형 개량 이전의 [[경춘선]] 이야기. [[광운대역|성북역]]을 출발한 열차가 이 철교를 통해 [[중랑천]]을 건너 공릉동 지역을 둥글게 돌아간 뒤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 방향으로 갔다.]가 있는데 이 철교의 이름이 '월계교'였던 탓에 이와 구분하기 위해 '월계1교'라는 명칭이 붙었다. ~~그럼 철교 이름을 월계철교로 바꿨으면 됐잖아?~~ 서울지역에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한강의 수위를 파악할 때 [[한강대교]]나 [[반포대교#s-3|잠수교]]가 등장하는 것처럼 이 다리도 집중호우 때마다 심심찮게 등장한다. 특히 [[중랑천]]이 범람할 위기 상황이 되면 어김없이 이 다리의 이름이 등장한다. 이는 이 다리의 교각에 중랑천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는 눈금이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월계1교 지점의 수위가 16m를 넘으면 위험, 17m를 넘어서면 [[동부간선도로|천변 도로]]와 중랑천 둔치 침수, 18m를 넘으면 범람 수위가 된다. 해수면을 기준으로 한 수위다 보니 이를 잘 모르는 사람들은 중랑천이 그렇게 깊었나 하고 착각하기 쉽다. == 구조 == === [[복정교차로|성수 / 송파]] 방향 === * 진출 가능: [[월계로]] [[인덕대학교]] 방향 * 진입 가능: [[한글비석로]] [[하계역]] 방향 === [[수락지하차도|의정부]] 방향 === * 진출 가능: [[한글비석로]] [[하계역]] 방향 * 진입 가능: [[월계로]] [[인덕대학교]] 방향 == 역사 == * [[1980년]] [[월계로]]가 개통하면서 개통하였다. == 교통 == * [[서울 버스 100]] * [[서울 버스 111]] * [[서울 버스 172]] * [[서울 버스 N51]] * [[서울 버스 1131]] * [[서울 버스 1137]] * [[서울 버스 1140]] * [[서울 버스 노원09]] * [[서울 버스 노원15]] == 기타 == * 동부간선도로 때문에 '''엄청나게 막힌다.''' 동부간선도로 확장을 위해 창동~월계 구간을 아예 지하로 설계해놔서 나가는 출구를 막아버린 탓에 거의 도심으로 가는 모든 차들이 강제로 월계1교까지 나가야 돼서 합류 지점인 이곳에서 정체가 심한 것이다. 게다가 [[서울 경전철 동북선]] 공사 때문에 다리 하나 건너는 데만 최대 10분 가까이 소요될 정도. 하계역 사거리부터 시작해서 인덕대까지 쭉 심하게 막히는 경우가 다반사다. 따라서 이곳을 통해 [[월계동(서울)|월계동]] 남부 지역으로 갈 경우, 차라리 [[공릉역]]까지 내려가서 [[한천교]]를 건너는 게 시간적으로도 더 이득이다. 물론 이쪽도 왕복 2차선인지라 꽤 막히긴 하지만 최소한 여기보단 덜하다. == 관련 항목 == * [[동부간선도로]]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동부간선도로의 구간)] [[분류:서울특별시도]][[분류:대한민국의 나들목]][[분류:중랑천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