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3458> '''{{{#white {{{+1 월러 테이즈웰 패튼}}}[br]Waller Tazewell Patton}}}'''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000128349.jpg|width=100%]]}}} || ||<#003458><|2> {{{#white '''출생'''}}} ||<(> [[1835년]] [[7월 15일]] || ||<(> [[미국]]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 || ||<#003458><|2> {{{#white '''사망'''}}} ||<(> [[1863년]] [[7월 21일]] (향년 28세) ||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게티즈버그 || ||<#003458> {{{#white '''복무'''}}} ||<(> [[아메리카 연합국#s-8|아메리카 연합군]] || ||<#003458> {{{#white '''최종 계급'''}}} ||<(> 아메리카 연합군 중령 || ||<#003458> {{{#white '''복무 기간'''}}} ||<(> 1861~1864(남부 육군) || ||<#003458> {{{#white '''학력'''}}} ||<(> [[버지니아 군사대학]]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군인. == 생애 == 버지니아주 프레더릭스버그에서 남부의 변호사이자 정치가였던 존 M. 패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고 리치먼드에서 성장했다. 1852년 버지니아 군사대학을 졸업했고 민병대를 지휘했다. 한편으로 변호사시험에 합격해 버지니아주 컬페퍼에서 변호사로 일하기도했다. [[남북전쟁]]당시 남군소속이였으며 소령으로 제7버지니아보병연대의 대대장으로 참가했다. 1862년 전투인 2차 매너서스 전투에서 총상을 입었다. 하지만 회복하고 여러 전투에 참가해 중령으로 진급했다. 1863년 남부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나 거부하고 군에 집중했다. [[게티즈버그 전투]]당시 7월 1일 이후로 남군은 세메리티 언덕을 차지하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었고 반면 북군은 피해를 입었지만 언덕을 확보하고 빠르게 보충하고 재편성해 기세가 올라있던 상황이였다. 이에 [[로버트 E. 리]]는 조지 피켓에게 돌격을 명령했고[* 피켓의 돌격이라 불린다.] 당시 패튼은 우익에서 돌격하고 있었다. 하지만 북군이 3면을 둘러싸고 언덕을 활용해 총과 화포로 남군을 거의 학살했으며 패튼 역시 북군이 쏜 포탄 파편에 턱의 일부가 날아가는 중상을 입었다. 후송되었으나 3주 뒤 사망했다. 이후 사망한 형 [[조지 S. 패튼 시니어]]와 함께 스톤월 묘지에 안장되었다. == 여담 == * 작은아들로 캘리포니아주 샌마리노 시장을 역임한 조지 S. 패튼이 있었으며[* 본래 조지 S. 패튼 주니어야 하나 아버지와 똑같이 미들네임을 빼고 바꿨다.] 작은손자로 [[조지 S. 패튼]][* 본래는 3세여야만 하나 아버지 패튼이 미들네임을 빼버려 패튼 주니어가 되었다.], 작은증손자로 조지 S. 패튼 4세가 있다. 아들을 제외한 손자, 증손자는 군인으로 공을 세워 장성까지 올랐다. * 당시 사촌이였던 루이스 B. 윌리엄스도 피켓의 돌격당시 전사했다. [[분류:남북전쟁/군인]][[분류:남북전쟁/사망자]][[분류:미국의 군인]][[분류:1835년 출생]][[분류:1863년 사망]][[분류:프레더릭스버그(버지니아) 출신 인물]][[분류:버지니아 군사대학 출신]][[분류:폭발물에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