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997년 태풍)] [목차] == 개요 == 1997년 제13호 태풍 '위니'(Winnie)는 [[중국]] 화둥 지방[* [[저장성]], [[푸젠성]], [[장쑤성]], [[산둥성]]]을 강타하여 약 200여년 만에 중국 사상 최악의 피해를 안긴 [[태풍]]이다. == 1997년 제13호 태풍 == || [[틀:1997년 태풍|{{{#fff '''1997년 태풍'''}}}]] || || 제12호 빅터 → '''제13호 위니''' → 제14호 율[* 동태평양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온 것이다.] || |||||| '''{{{+5 {{{#!html 1997년 제13호 태풍 위니}}}}}}''' || ||<#3594D3> {{{#ffffff 위성사진}}} |||| [[파일:800px-Winnie_aug_13_1997_1051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 [[파일:Winnie_1997_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 1997년 8월 9일 12시 ~ 1997년 8월 20일 0시 || ||<#3594D3> {{{#ffffff 영향 지역}}}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20]] [[미크로네시아 연방]][br][[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20]] '''[[북마리아나 제도]]'''[br][[파일:괌 기.svg|width=20]] '''[[괌]]'''[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 '''도서 지역'''[* '''[[오가사와라 제도]]''', '''[[류큐 제도]]'''], [[홋카이도]], [[도호쿠]][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 전역'''[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 '''화둥'''[* '''[[푸젠성]]''',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화북|화베이]][* [[허베이성]], [[베이징시]], [[톈진시]]], 둥베이[* [[랴오닝성]], [[지린성]]][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제주도]], [[호남 지방]][br][[파일:북한 국기.svg|width=20]] [[북한]] [[평안도]], [[함경도]][br][[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0]] [[러시아]] [[연해주]], [[사할린 섬]] || || {{{#white 태풍 등급}}} ||<-2><:> {{{#000 '''5등급'''}}}[*JTWC] || || {{{#white 10분 등급}}} ||<-2><:> {{{#000 '''매우 강한 태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Brown '''초대형(직경 {{{#7500eb 2,400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15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72m/s''' || ||<:>10분 평균 || '''51m/s''' || ||<#3594D3><:><|4>{{{#ffffff 피해}}}||<:>사망자|| '''372명''' || ||<:>피해총액|| '''32억 달러'''[* 1997 USD] [br]'''({{{#Brown 51억 달러}}}'''[* 2019 USD]''')''' || ==# 진로 경과 표 #== || 발표 시각 || 1분풍속 || 10분풍속 || SSHS || JMA || || 8월 5일 9시 ||<|4> 15kn ||<|18> - ||<|17><#5ebaff> TD ||<|5><#fff> 미발생 || || 8월 5일 15시 || || 8월 5일 21시 || || 8월 6일 3시 || || 8월 6일 9시 ||<|8> 20kn || || 8월 6일 15시 ||<|13><#5ebaff> TD || || 8월 6일 21시 || || 8월 7일 3시 || || 8월 7일 9시 || || 8월 7일 15시 || || 8월 7일 21시 || || 8월 8일 3시 || || 8월 8일 9시 ||<|2> 25kn || || 8월 8일 15시 || || 8월 8일 21시 ||<|3> 30kn || || 8월 9일 3시 || || 8월 9일 9시 || || 8월 9일 15시 || 35kn ||<|3><#00faf4> TS || || 8월 9일 21시 || 45kn || 35kn ||<|3><#00faf4> 약 || || 8월 10일 3시 || 55kn || 40kn || || 8월 10일 9시 || 65kn || 45kn ||<|2><#ffffcc> C1 || || 8월 10일 15시 || 75kn || 50kn ||<|3><#ccffff> 중 || || 8월 10일 21시 || 85kn || 55kn ||<|2><#ffe775> C2 || || 8월 11일 3시 || 95kn || 60kn || || 8월 11일 9시 || 100kn || 65kn ||<|2><#ffc140> C3 ||<|3><#fdaf9a> 강 || || 8월 11일 15시 || 105kn || 75kn || || 8월 11일 21시 || 115kn || 80kn ||<|2><#ff8f20> C4 || || 8월 12일 3시 || 125kn || 85kn ||<|23><#ffc140> 매우 강 || || 8월 12일 9시 ||<|5> 140kn || 90kn ||<|5><#ff6060> '''C5''' || || 8월 12일 15시 || 95kn || || 8월 12일 21시 ||<|4> 100kn || || 8월 13일 3시 || || 8월 13일 9시 || || 8월 13일 15시 ||<|2> 135kn ||<|5><#ff8f20> C4 || || 8월 13일 21시 ||<|3> 95kn || || 8월 14일 3시 || 130kn || || 8월 14일 9시 ||<|2> 115kn || || 8월 14일 15시 ||<|2> 90kn || || 8월 14일 21시 || 110kn ||<|3><#ffc140> C3 || || 8월 15일 3시 ||<|2> 105kn ||<|11> 85kn || || 8월 15일 9시 || || 8월 15일 15시 || 95kn ||<|5><#ffe775> C2 || || 8월 15일 21시 ||<|2> 90kn || || 8월 16일 3시 || || 8월 16일 9시 ||<|2> 85kn || || 8월 16일 15시 || || 8월 16일 21시 ||<|2> 80kn ||<|10><#ffffcc> C1 || || 8월 17일 3시 || || 8월 17일 9시 ||<|7> 75kn || || 8월 17일 15시 || || 8월 17일 21시 ||<|2> 80kn ||<|6><#fdaf9a> 강 || || 8월 18일 3시 || || 8월 18일 9시 ||<|3> 75kn || || 8월 18일 15시 || || 8월 18일 21시 || || 8월 19일 3시 || 65kn || 70kn || || 8월 19일 9시 || 55kn || 60kn ||<|3><#00faf4> TS ||<|2><#ccffff> 중 || || 8월 19일 15시 || 45kn || 50kn || || 8월 19일 21시 || 35kn || 45kn ||<|2><#00faf4> 약 || || 8월 20일 3시 ||<|9> 30kn || 40kn ||<|14><#5ebaff> TD || || 8월 20일 9시 ||<|13> - ||<|13><#fff> {{{#000 '''소멸'''}}} || || 8월 20일 15시 || || 8월 20일 21시 || || 8월 21일 3시 || || 8월 21일 9시 || || 8월 21일 15시 || || 8월 21일 21시 || || 8월 22일 3시 || || 8월 22일 9시 ||<|4> 25kn || || 8월 22일 15시 || || 8월 22일 21시 || || 8월 23일 3시 || || 8월 23일 9시 || 20kn || || 8월 23일 15시 ||<-4><#fff> {{{#000 '''소멸 및 감시 종료'''}}} || == 요약 == 이 태풍이 유명한 이유는 다름아닌 태풍 [[팁(태풍)|팁]]을 능가하는 엄청난 크기이다. JMA 베스트트랙 기준 이 태풍은 강풍역직경 2,350~2,400km를 기록해 팁의 2,200km를 넘겼다. 게다가 눈의 크기 역시 1960년 태풍 카르멘(CARMEN) 이후 최고 기록인데, 무려 370km에 달하는 눈을 갖고 있었다. [[하이선]]과 [[크로사]]가 크기로는 장난아니지만 위니에 비해서는 약과다. == 대비 및 피해 == [[중국]] 당국에서는 총 백만 명에게 대피령을 내렸고, 수만 가구에 상당하는 주택과 넓은 면적의 농지가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다. 특히 [[저장성]]에서는 무려 총 300km 길이의 제방이 무너지거나 범람해서 침수 면적이 매우 넓었고, 중국에서 '위니'로 인해 발생한 사망자의 상당수가 저장성에서 발생했다. [[장쑤성]]과 [[안후이성]]에서도 6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위의 진로도에서 보면 알겠지만, 정말 중국 동부 지역을 깊숙이 지나갔다. 심지어 베이징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난징시와 상하이시, 칭다오시도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사이즈가 [[팁(태풍)|팁]]을 능가하는 역대 최대급이었던 탓에 [[한반도]]도 호남지방 일부가 직접영향권에 들었을 정도였다. [[대만]] 역시 피해가 만만찮아서 9명 이상이 사망하는 피해가 발생했다. [[대한민국|한국]]에서는 하필이면 태풍 위니가 중국에 상륙한 시기와 더불어 '''백중사리 기간이 겹치는 바람에'''(!) 인천 앞바다의 해수면이 '''10.08m'''까지 상승해서[* 현재까지도 깨지지않은 기록이다. 인천 말고도 서해안 각지에서 해수면높이 최고기록을 깼다.] 수백억원 상당의 침수피해를 입었다. [[분류:1997년 태풍]][[분류:태풍/중국]][[분류:슈퍼 태풍]][[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