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러시 듀얼/악마족]][[분류:유희왕/러시 듀얼/레전드 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偉大魔獣 ガーゼット(LGP1).jp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레전드=, 한글판명칭=위대한 마수 가젯트, 일어판명칭=偉大(グレート)魔獣(まじゅう) ガーゼット, 영어판명칭=Great Maju Garzett (미발매),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조건=없음, 지속 효과=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때에 릴리스한 몬스터 1장의 원래 공격력] × 2 올린다.)] [[위대한 마수 가젯트]]의 [[유희왕 러시 듀얼]] 버전. OCG와 마찬가지로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에 따라 공격력이 좌우된다.[* 다만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두배가 되는 OCG판과는 달리,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두배만큼 강화하는 효과로 미묘하게 달라졌다.] 하급 1300 정도만 릴리스해도 최상급 기준치인 2500을 넘기고, 하급 어태커 라인인 1500을 릴리스하면 최상급 레전드 카드인 [[푸른 눈의 백룡(유희왕 러시 듀얼)|푸른 눈의 백룡]]에 필적하는 3000 타점이 된다. 하급 어태커 최고 타점인 1600이라면 그 백룡도 능가하는 3200이 되며, 상급 이상을 릴리스한다면 더욱 파격적인 능력치를 얻게 된다. 이를 통틀어 보자면 높은 공격력을 원하는 관점에서 볼 때 현 시점에서 레전드 전체를 따져도 1, 2위를 다투는 성능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능력치가 낮은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나온다면 웬만한 상급한테조차 발리는 몬스터가 되어버린다. 하급 몬스터를 어태커에서 준 어태커급으로 고정해놓는다면 해소할 수 있는 문제지만, 그런 몬스터만 채용했다간 덱 회전에 지장이 생기니 정작 이 카드를 마련하기가 힘들어진다. 또한 1장밖에 채용할 수 없는 이 카드 하나 때문에 덱 전체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것도 도박 요소가 크며, 총합적으로 볼 때 이런 식의 덱 구축이 강하다고 단언하기도 힘들다. 하급 어태커와 비 하급 어태커의 비율 조정이 더욱 세심히 요구될 것이다. 그래도 애초에 시너지 고려할 것 없이 이 카드 하나 채용만 해도 충분히 제 몫을 해주는 범용성을 자랑하므로, 이 카드를 주축으로 삼기보다는 레전드 몬스터 자리가 남았다면 피니셔용으로 채용해봐도 좋을 것이다. 특히 높은 공격력을 가진 퓨전 몬스터나 맥시멈 몬스터를 써먹기 곤란한 덱이라면 귀중한 전력이 되어줄 것이다. 레벨이 같으며 손쉽게 전개할 수 있는 [[엑스큐티]]와 같이 쓴다면 높은 공격력을 적은 소모로 얻을 수 있다. 특히 [[엑스큐티 릴리우스]]라면 특소 조건을 채우지 못했더라도 그냥 어드밴스 소환한 뒤 소재로 쓰면 공격력이 단숨에 5000이 된다. 종족과 속성이 같으므로 받을 수 있는 서포트도 겹친다. 악마족 덱에서 쓴다면 [[로얄데먼즈 에코]]와 특히나 상성이 좋으며, 해당 카드의 효과로 [[로얄데먼즈 인베이전]]을 소생시키면 추가 효과로 이 카드를 샐비지시킬 수 있고, 인베이전을 릴리스하고 나오면 4600의 공격력을 얻게 된다. 그밖에도 [[로얄데먼즈 펑크]]를 통한 샐비지나 [[로얄데먼즈 페이저]]를 이용한 릴리스 확보도 가능. 러시 듀얼에 등장한 [[가젯트]] 몬스터 전반의 해당 사항이지만, [[콜랩스 체어]] 같은 카드와 시너지가 썩 좋지 않으므로 [[레더라이프 드래곤]] 처럼 공격력 0 덱에 써먹기는 힘들다. OCG와 마찬가지로 상승하는 것은 공격력 뿐이니 표시 형식 변경에 취약하다. 효과 내성도 없으니 가급적 사전에 리버스 카드를 제거해두고, 최소한 이 카드를 꺼낸 턴에 끝장을 봐두는 편이 좋을 듯 하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23-03-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RD/LGP1-JP019 | '''[[레전드 각성 팩|レジェンド覚醒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관련 카드 == === [[합성마수 가젯트(유희왕 러시 듀얼)|합성마수 가젯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