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慰禮}}}[* 한자 뜻 그대로만 해석한다면 위(慰)는 편안하다는 뜻이고, 예(禮)의 본 의미는 제삿상(示)에 음식을 풍성(豊)하게 담아 제사 지낸다는 뜻이라 풍요를 기원하는 지명이라 추측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례성]]이 수도였던 [[한성백제]] 시대에 [[한강]]을 '욱리하(郁里河)' 또는 '아리수(阿利水)'라고 불렀다는 기록이 전해져, '위례(慰禮)' 또한 이들과 어원이 같은 단순 음차 표기일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목차] == [[대한민국]]의 [[고대]] [[도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례성)] == 1에서 명칭을 따온 [[신도시]]와 그 관할 [[행정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례신도시)]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례동)] 현대 [[서울]]과 [[경기도]]의 행정 및 교통에 관련해 이름에 '위례'가 들어간 경우는 대개 이 신도시와 관계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경우가 많다. * [[서울 경전철 위례선]] * [[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 * [[위례과천선]] * [[위례광장로]] * [[위례대로]] * [[위례서로]] * [[위례중앙로]] * [[위례중앙역]] == 게임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 등장하는 [[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위례성(바람의 나라))]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