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4년 개봉한 호러 영화, rd1=위자(영화))] 衛玆 (? ~ 190)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의 [[후한]] 말의 인물이며 자는 자허(子許)로 [[위진#s-1]]의 아버지다. [[연주(중국)|연주]] 진류군 양읍현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같은 고을의 권문생(圈文生)과 함께 덕이 있다고 칭송받았으며, [[곽태]]가 두 사람과 시장에 가서 물건을 살 때 위자는 값을 그대로 치르고 샀지만 [[수전노|권문생은 흠집이 있는 것이라고 고함쳐 반드시 값을 깎았다]](...). 곽태가 위자에 대해서 욕심이 적고 권문생은 욕심이 많아 이 두 사람은 부자지간이라면 몰라도 형제지간은 될 수 없다고 평했는데, 나중에 권문생은 부정한 재물로 덕망을 잃었지만 이 일로 위자의 덕은 더욱 알려지면서 장렬한 절개로 명예를 이뤘다. 진류에서 [[효렴]]으로 [[천거]]되었으며, 위선을 장려하는 행동을 하지 않고 세속의 명성을 추구하지 않았다. 사려는 명료하면서도 심연하고 계략은 광대하고 무한했으며, 거기장군 [[하묘]]와 [[사도(관직)|사도]] [[양표]]가 초빙했지만 모두 거부했다. [[조조]]가 처음 진류군에 이르자 위자가 [[천하]]를 [[포신(삼국지)|평정할 수 있는 사람은 이 사람이라고 했으며]], 조조와 여러 차례 대사를 논의했다. 조조에게 [[난세|오랫동안 혼란이 계속되어]] 오로지 군사력만이 이것을 평정할 수 있다면서 군사를 일으켜 흥하는 자가 지금부터 나올 것이라고 했으며, [[물주|위자가 3천명의 군사를 모으자 또한 조조에게 가산을 대주었고]] 이에 그 무리가 5천명이 되어 조조는 [[장막(삼국지)|장막]]과 함께 [[동탁]]을 [[토벌]]하는 군사를 일으켰다([[반동탁 연합군]]). 190년 장막의 부장으로 참전하면서 병사들을 거느리고 서쪽으로 진군해 성고를 차지하려고 했는데, 장막이 위자를 조조에게 파견해 뒤따르게 했다. 형양군의 변수에 도착해 [[서영(삼국지)|서영]]과 만나 싸웠지만 불리해 죽거나 다친 장졸들이 많았는데, 이 때 위자는 [[포도(삼국지)|포도]]와 함께 전사했다. 조조는 진류 경내를 지날 때마다 반드시 사자를 보내 그를 제사지냈다. [[포신(삼국지)|포신]]과 같이 생존해 있었다면 그 식견 및 조조를 알아보고 후원한 [[물주]]로써의 행적으로 조조 및 [[위(삼국시대)|조위]] [[왕조]]에서 거물로써 [[고관대작]]의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을 것이니 후한 말 [[붕괴 후 혼란기]]에서 일찍 비명횡사한 것이 아까운 인물인 셈이다. [[세설신어]]에서도 곽태, 권문생과 함께 물건을 산 일화가 실려있다. == [[삼국지연의]] == [[삼국지연의]]에서는 [[위홍]](衛弘)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조조가 [[조숭]]에게 의병을 일으킬 계획을 말하자 조숭이 그에 대해 소개하면서 재물을 가볍게 알고 의로움을 귀중히 여기는 사람이라고 했다. 조조가 찾아오자 선뜻 집안 재산을 털어 군사를 일으키도록 도와줬다. 이름이 [[개명]]되었지만 [[포도(삼국지)|포충]]과는 달리 전사하는 장면은 나오지 않아서 나름 [[삼국지연의/수혜자|삼국지연의의 수혜자가 되었다.]] == 대중 매체에서의 위자 == === [[삼국지 시리즈]] === || [[파일:위자.jpg|width=400]] || || [[삼국지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38, 지력 62, 정치 73, 매력 71이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황권]]을 재활용했다. 개성은 명성, 모집, 부호, 절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치료,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5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모두 내정용 개성이라 땅 색칠하기, 병사 모으기 등 다방면에 쓰인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전략애니판위홍.png]] 여기서도 위홍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여 조조에게 흔쾌히 군자금을 건넨다.[* 조조는 만약 그가 거절하면 '''[[여백사|그 자리에서 바로 처치할 생각이었다.]]'''] === [[영웅조조]] === 조조에게 군사를 일으킬 수 있도록 금을 지원하고 조조가 [[포신(삼국지)|포신]]과 함께 서영을 공격하러 나갈 때 나서는데, 조조가 장막과 같이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하자 내 돈 들여 모집한 병사를 가지고 자신을 떼놓고 가냐고 농담을 던진다. 이후 변수에서 포신의 군대를 지원하러 갔다가 포충과 함께 전사했다고 언급된다. === [[비열한 성자 조조]] === 동탁을 치기 위한 의병을 일으키기 위한 준비를 하면서 조조에게 재물을 털어 군사를 모집하는 것을 지원하면서 양읍에 예주에서 온 유민이 많다면서 진류 대신 양읍으로 군영을 옮겨 그 곳에서 군사를 모집하는 것을 건의해 조조가 3천 명의 장정을 모았다. [[분류:후한의 인물]][[분류:190년 사망]][[분류:전쟁 사망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