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면라이더 리바이스/변신 장비]] [INCLUDE(틀:레이와 라이더 벨트)] ||<:><-2>'''{{{+1 위켄드라이버[BR]ウィークエンドライバー/WEEK ENDRIVER}}}''' || ||<:><-2><#FFF> [[파일:위켄드라이버.png|width=50%]] || ||<-2><:> '''위켄드라이버!''' - 드라이버 기동음 '''Subvert up! Wow! Just Believe in myself! 가면라이더 Ah! 아길레라!''' - 퀸 비 게놈 변신음 '''Subvert up! Don't believe in myself! 가면라이더 아길레라! Dark!''' - 다크 아길레라 변신음 '''Subvert up! Wow! Kamen Rider! ○○○[*A [[바이스탬프]]에 담긴 생물 이름.][* 즉 장수풍뎅이 바이스탬프를 장착하면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카부토!]], 쥬우가 바이스탬프를 장착하면 [[가면라이더 쥬우가]]! 라고 한다.]!''' - 다른 바이스탬프 공통 변신음 '''리스타일!''' - 게놈 체인지 기동음 '''Buki! Buki!''' - 게놈 체인지 대기음[* 무기를 뜻하는 일본어(武器)의 발음과 똑같다.] '''리버디 업! Yeah! ○○○![*A] Wow! wow! wow! wow!''' - 게놈 체인지 음성 '''○○○![*A] 스탬핑 브레이크!''' - 필살기 발동음 '''필살 승인!''' - 스탬프 필살기 준비음 '''○○○![*A] 스탬핑 디스트로이!''' - 스탬프 필살기 발동음 || [목차] == 개요 == >이는 대디가 고안한 범용형 드라이버다. 즉 이것만 있으면 가면라이더를 양산할 수 있다는 거지… 다만 변신자의 적성에 따른 성능 차이는 부인할 수 없지만. 악마를 바이스탬프의 능력과 융합해 무기로 변화시키는 기능은 그대로, 부대행동에 의해 전력을 끌어올리는 W 링크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고 한다. 꽤 괜찮은 드라이버인데 내가 구축한 시스템에 자기 주장을 담는 부분은 대디답다.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여성 가면라이더]]인 [[가면라이더 아길레라]]와 [[다크 라이더]] 겸 [[여성 가면라이더]]인 [[가면라이더 다크 아길레라]]가 사용하는 [[변신벨트]]. 키 아이템은 [[바이스탬프]]. [[리베라 드라이버]]의 양산형으로 개발된 벨트. == 사용법 == [[리베라 드라이버]]의 양산형이기에 구조가 같아 사용법은 동일하다. == 완구 ==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으로 2022년 5월 23일부터 예약을 시작했다. 배송일은 2022년 11월. 리베라 드라이버에 비해 음질이 제법 개선되었지만, 애초에 가성비, 품질 문제 등 혹평이 많았던 리베라 드라이버의 재탕인데다가, 당시 [[리바이스 레거시 가면라이더 베일]]이 완결된 즈음이라 시청자들이 기대하던 DX [[베일 드라이버]]를 밀어내고 나와서 미운털이 단단히 박혔고, 결정적으로 '''변신체인 [[가면라이더 아길레라]]의 평판이 바닥을 기는 탓에''' 반응은 매우 안 좋다. 설정과 전혀 다른 극중 모습은 덤. 위켄드의 전투원을 위한 양산형 변신벨트라더니 '''정작 위켄드에서 이걸 쓰는 사람은 하나밖에 없고''' 실제로 양산되어 구성원들에게 지급된 건 데몬즈 드라이버였다.[* 거기다 디자인도 양산형에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평이 많다. 지금까지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양산형 변신 아이템은 대체로 수수하면서도 기존 키 아이템과 사용해도 그럭저럭 맞아떨어지도록 디자인되었는데, 위켄드라이버는 다른 색과 조화를 이루기 쉽지 않은 짙은 빨간색에다, 리플렉트 오프너가 흘러내리는 벌꿀이 돼서 퀸 비 외에는 어울리는 바이스탬프가 손에 꼽힌다. 반면 사실상 사쿠라 전용인 리베라 드라이버의 리플렉트 오프너는 철창이라서 갇혀 있던 생물이 풀려나는 모습이 되기에 코브라 바이스탬프가 아니어도 제법 어울린다.] 초기 기획에 의하면 곰 바이스탬프를 사용한 양산형 라이더가 등장할 예정이었으며, 벌과 곰의 공통 요소로서 꿀 형태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양산형 라이더 계획은 폐기되고 아길레라만 등장하게 되면서 양산형이라면서 양산되지 않은 모순된 벨트가 되었다.[* 데몬즈 드라이버의 해킹을 통해 곰 스탬프의 존재도 확인되었지만 위켄드라이버의 초기 계획이 엎어지면서 이쪽도 더미 데이터로 남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 각 부위 설명 == ||<-2> [[파일:위켄드라이버 맵.png|width=300]] || ||<#000000> {{{+1 {{{#FFFFFF 01}}} }}} || '''바이스탬프 슬롯[br](バイスタンプスロット)''' || ||<-2> [[바이스탬프]]를 장전하는 슬롯.[br]압인식 정보 임력 장치 '압인젝터'에 찍음과 동시에 바이스탬프를 세트, 롤 조작으로 커맨드를 입력한다.[br]이것에 의해 게놈 승인 시퀀스를 거쳐 변신이 개시된다.[br]변신 후에는 필살기 발동이나 악마를 무장으로 변화시키는 등 다채로운 공격의 기점이 된다. || ||<#000000> {{{+1 {{{#FFFFFF 02}}} }}} || '''테일 그립[br](テールグリップ)''' || ||<-2> 위켄드라이버의 그립.[br]바이스탬프 슬롯을 조작할 때 등에 오른손으로 이곳을 쥐어 동작을 안정시킨다. || ||<#000000> {{{+1 {{{#FFFFFF 03}}} }}} || '''압인젝터[br](オーインジェクター)'''[* 압인+injector의 합성어. injector는 주사기, 주입기 등을 뜻하는 단어고 jector라는 단어는 사전에 없으므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것이 맞다.] || ||<-2> 위켄드라이버의 압인식 정보 입력 장치.[br][[바이스탬프]]의 특수 정보 전달 코드 '바이스탬프 코드'의 압인에 의한 입력을 받아 다양한 생물종의 정보를 수신한다. || ||<#000000> {{{+1 {{{#FFFFFF 04}}} }}} || '''W 링크 밴드[br](Wリンクバンド)''' || ||<-2> 위켄드라이버의 밴드 부분.[br]드라이버의 세트와 동시에 전개되어 변신자의 허리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br]또한 뒤쪽에는 부대 행동의 효율을 높이는 'W 링크 시스템'을 탑재해 연계 공격을 최대화한다. || ||<#000000> {{{+1 {{{#FFFFFF 05}}} }}} || '''게놈 리플렉터[br](ゲノムリフレクター)''' || ||<-2> 위켄드라이버에 내장된 동력원.[br]바이스탬프에 보존된 유전자 정보에서 생명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고순도 에너지를 추출해 복사 증폭, 본래의 '게놈 파워'에 비해 변신자의 부담이 적은 '글로벌 게놈 파워'를 발생시킨다. || ||<#000000> {{{+1 {{{#FFFFFF 06}}} }}} || '''리플렉터 오프너[br](リフレクターオープナー)''' || ||<-2> 위켄드라이버의 승인 장치.[br]압인젝터에 바이스탬프가 찍히면 승인 시퀀스를 실행한다.[br]압인이 승인되었을 경우, 게놈 리플렉터를 해방한다. || ||<#000000> {{{+1 {{{#FFFFFF 07}}} }}} || '''[[바이스탬프]][br](バイスタンプ)''' || ||<-2> 가면라이더로 변신하고 각종 능력을 발동할 때 사용되는 도장형 아이템. || ||<#000000> {{{+1 {{{#FFFFFF 08}}} }}} || '''바이스탬프 홀더[br](バイスタンプホルダー)''' || ||<-2> [[바이스탬프]]를 휴대하는 홀더.[br]위켄드라이버의 좌우에 배치되어 각각 바이스탬프를 꽂아둘 수 있다.[* 설명은 이런데, 정작 홀더가 벨트의 왼쪽에 하나밖에 없다.] || == 기타 == * 36화에서 [[훌리오(가면라이더 리바이스)|타마키 고우]]가 이 드라이버와 버팔로 바이스탬프를 사용해 변신을 시도했으나 베일이 스탬프를 빼앗아가 실패했다. 그리고 42화에서 [[카리자키 마스미]]가 이 드라이버와 트리케라 바이스탬프를 통해 변신을 시도했으나 베일이 또 스탬프를 빼앗아가 실패했다.[* 다만 마스미의 경우는 처음부터 베일이 자신이 지닌 트리케라 바이스탬프를 뺏어서 쓰게 하는게 목적이었다. 애초에 마스미는 모종의 이유로 [[시크(가면라이더 리바이스)|내면의 악마]]가 없어진 상태라 위켄드라이버로 변신이 불가능했다.] * [[리베라 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바이스탬프 홀더가 벨트의 좌측에 하나밖에 없다. * 영문 스펠링을 보면 원래 의도된 작명은 '위크 엔드라이버' 였던 모양이지만, 이름의 유래인 조직 [[위켄드(가면라이더 리바이스)|WEEKEND]]가 한국에선 위켄드로 굳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위켄드라이버가 정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