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국제학교]][[분류:2011년 개교]][[분류:산둥성]][[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국제반]] [include(틀:교육기관)] [[파일:대광화 국제학교 국제부 마크.png]] || {{{#black '''개교''' }}} || [[2011년]] || || {{{#black '''유형''' }}} || [[국제학교]] || || {{{#black '''성별''' }}}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 [[사립]] || || {{{#black '''교장''' }}} || 김춘명 || || {{{#black '''교직원 수''' }}} || 약 20명 || || {{{#black '''재학생 수''' }}} || 약 120명 || || {{{#black '''소재지''' }}} || [[중국]] [[웨이하이]] || ||<-2> '''[[https://whdghis.org/|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영어로는 Daguanghua international school이다.[[중국]] [[웨이하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주로 [[한국인]]과 [[중국인]]이 있다. 초등학생들은 대광화국제학교 중국부와 같이 수업을 하고 중,고등학생들은 국제부끼리만 수업을 한다.학생들은 모두 학년별로 수업을 한다. 고등학교 2학년부터는, CAP (중국어 중심 수업), EAP (영어 중심 수업)으로 나누어 수업을 듣는다. [* CAP와 EAP는 고등학교 2학년 1학기부터, 학생들이 선택해서 수강할 수 있다. ] 교육 커리큘럼으로는 [[SAT]]와 [[IELTS]]를 모두 배울 수 있다. == 학교 연혁 == * 2003년 6월 : 중국 위해대광화국제학교 설립인가 및 개교, 위해 유일의 중국 인문계 사립 국제학교 * 2003년 9월 : 제1회 중국부 신입생 입학 * 2004년 9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한국부 설립(2011년 폐지) * 2011년 7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설립 * 2011년 7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김춘명 이사장 취임 * 2012년 6월 : 신현주 국제부 교장 부임(전 [[북일고등학교|북일고]], [[북일여자고등학교|북일여고]] 교장 역임) * 2013년 3월 : 중국 산둥대 위해분교와 MOU 체결(한국 [[국민대학교|국민대]], [[경희대학교|경희대]], [[인천대학교|인천대]], 중국 [[저장대학|절강대]]) * 2014년 6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1회 졸업 * 2015년 6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2회 졸업 * 2016년 6월 17일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3회 졸업 * 2017년 6월 16일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4회 졸업 * 2018년 6월 15일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5회 졸업 * 2019년 6월 6일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 6회 졸업 * 2020년 6월 :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 7회 졸업[* 코로나 19 사태로 온라인으로 졸업식이 진행되었다.] * 2021년 6월 4일: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 8회 졸업 * 2022년 6월 10일: 위해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 제 9회 졸업 == 여담 == * 선생님들 중에는 중국인 선생님이 정말 많다,영어(원어민) 선생님도 소수 존재한다,한국인 선생님은 총 4명(교장 선생님 제외,국어 선생님 두 명,미술 선생님 한 명,일본어 선생님 한 명)이다,학생들 대부분이 한국인인 걸 고려하면 의외인 부분.[* 다만 최근 들어 중국인이.많이 들고 있다.또한 이 곳에 들어오는 중국인들은 모두 한국어 또는 일본어를 공부한다.] * 매년 12월 말에는 학교 축제가 있다,행사들이 굉장히 많은데 바자회 부터 공연까지 굉장히 많다.[* 특히 2019년 축제에는 협찬사(!!)까지 있었다.] * 원래 초등부는 거의 모든 수업들을 중국부와 같이 하였으나 2019년 부터 일부 수업만 중국부와 같이 하고 많은 수업들은 국제부에서 따로 한다. * [[HSK]], [[IELTS]], [[SAT]]를 모두 야간 특강으로 배울 수 있는 학교이다. * 매년 9월에 중국부와 같이 하는 체육 대회가 있다,다만 대회 진행 방식이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와 비슷해서 중국 학교들의 체육 대회처럼 진행하기 위해,[* 한국 학교의 체육 대회에 있는 축구,농구 등 구기 종목은 '''없다'''.] 한국 학생들에게는 조금 지루하지만, 매년 5월에 국제부가 따로 개최 하는 체육 대회가 존재한다. 하지만, 체육 대회라 치기는 [[무한도전|게임]][[런닝맨|들이...]][* 여기 체육 대회에서 나온 종목들을 보면 마시멜로 입안에 많이 넣기,밀가루 안에 사탕 찾기 등이다.] 다만 계주는 항상 포함 되어있는 종목이다.하지만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 19]] 사태로 국제부의 체육대회가 진행되지 않있으며 2020년의 중국부와 같이 하는 체육대회 역시 취소되었다. * 학교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야간 자습이 있다 자습 외에도, 학교밖에서 진행하는 야간 특강은 선택제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 시간에서 [[IELTS]], [[SAT]], [[HSK]]를 배울 수 있다.다만 1교시~8교시 까지는 관련 수업은 없으며 만약 야간 특강을 하게 되면 7시 20분에 귀가,썸머 타임[* 썸머 타임은 5월부터 9월 까지로 중국 학교들은 이 기간에 점심 시간에는 낮잠을 잔다.낮잠 시간은 대부분 30분~1시간이다.]때는 7시 50분에 귀가한다. * 2020학년도 봄학기는 [[코로나 19]] 사태로 개학이 '''무기한 연기 되었다.'''[* 원래 중국의 상태가 안 좋아 원래 개학일인 2월 17일에서 2주 연기해서 3월 2일에 개학을 계획하였지만, 2월 후반에는 오히려 한국의 상황이 안 좋아져 [[웨이하이]]시가 한국에서 입국 시 14일 격리조치를 필수로 받도록 결정되어, 어쩔 수 없이 개학을 무기한 연기했다.] 이 기간에는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했다.[* 당시 한국에 거주했던 학생들은 대부분이 2020년 9월~10월에 중국으로 출국했다.그러므로 2020년의 가을학기까지는 온라인 수업과 현장 수업이 동시에 이루어졌고 2021년의 봄학기부터는 온라인 수업이 아예 없어졌다.] * 2021년 12월에 학교의 공식 명칭이 위해 대광화'''국제학교''' 국제부에서 위해 대광화'''학교''' 국제부 변경되었다.[[하나의 중국|이유는.....]] * 2021년에 열린 중국부와 같이 하는 체육대회는 트위치를 통해 생중계되기도 했다.대광화 국제부 학생들이 준비했으며 중계 캐스터와 해설위원 역시도 있었다![* 한국어 중계로 편성되었고 개회식[* 여담으로 이때 대광화 국제부 학생들의 공연을 앞두고 중계진은 자막으로 '잠시 후:대광화 국제부 학생 공연'으로 어그로를 끌기도 했다.아마 [[베이스볼 S|여기]][[베이스볼 투나잇|서]] 배운 듯하다] 및 육상 중계 위주로 편성되었다.] 당시 중계는 학부모들에게 굉장히 신선하다,중계 캐스터와 해설의 질이 나쁘지 않다라는 평을 들었던 바가 있다.하지만 당시 중계의 전체적인 제작을 담당했던 학생이 졸업했기에 2022년에는 진행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