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허베이성의 행정구역)] ||[[파일:울주성.jpg|width=385]]||[[파일:위현 중국.jpg|width=515]]|| |||| 주요 볼거리인 구도심의 위주고성 전경 |||| [[파일:위현 고성.jpg]] 명대의 위주서 (위주 관아) 일대의 전경 [[파일:서전자량 2.jpg]] 장자커우의 그랜드 캐년이라 불리는 서전자량 [목차] == 개요 == {{{+1 蔚县 }}} [[영어]] Yu County [[허베이성]] [[장자커우시]]의 현. 인구는 약 47만명이다. 과거 대 (代)라고 불리던 지역으로, 중국 역사상 4차례[* 전국시대 2번, 진한교체기 1번, 오호십육국 시대 1번] 있었던 [[대나라]] 및 [[한나라]]의 제후국인 대국의 수도이자 대군의 치소였다. 현재의 시가지는 [[명나라]] 대에 세워진 위주고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으로, 성내에는 옛 관아와 사찰 등 많은 유적이 남아있어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동북쪽 8km 지점에 한대의 대왕성 (代王城) 유적이 남아있다. == 역사 == [[전국시대]] [[북적]] 계열의 [[대나라]]가 있었는데, 기원전 457년 [[진나라]] (晉)의 권신 [[조양자]]에 의해 멸망하였다. 조양자 가문은 후일 [[조나라]]를 세웠고, 기원전 305년경 [[누번]]과 [[임호]]에 맞서던 [[조무령왕]]이 일대에 대군 (代郡)을 설치하였다. 기원전 228년 [[진나라]] (秦)가 조나라를 멸하자, 왕자 [[조가]]는 잔당을 이끌고 대군으로 향하여 대왕 (代王)을 칭하였다. 이 대나라 역시 기원전 228년 진나라에 정복되었고, 일대에는 대현 (代縣)이 설치되어 대군의 치소가 되었다. 그러다 기원전 206년 [[항우의 18제후왕 분봉]] 당시 조나라 왕실의 후예인 [[조헐]]이 대왕으로 봉해져 대나라가 재차 세워졌으나, 불과 2년 후 조헐이 [[정형 전투]]에서 [[한신]]의 배수진에 해하고 전사하며 --또다시-- 허망히 멸망하였다. === [[한나라]]의 제후국 === [[파일:대왕성 유적.png|width=700]] 대왕성진 (代王城镇)에 남아있는 한나라 대의 대왕성 성벽 유적 [[전한]] 건국 후 기원전 200년 [[유방]]은 형 [[유중(전한)|유중]]을 대왕에 봉하였고, 이렇게 설립된 제후국 대나라는 [[백등산 전투]]로 강성해진 [[흉노]]의 위협에 맞서는 중책을 담당하였다.[* 여담으로 유중의 아들이 [[오초칠국의 난]]의 주동자 중 하나인 [[유비(전한)]]이다] 다만 유중은 얼마후 흉노가 침공하자 봉국을 버리고 도주하였고, 따라서 유방은 자신의 차남 [[유여의]]를 대왕에 봉하였다. 다만 기원전 198년 조왕 [[장오]]가 폐위된 후 유여의가 조왕이 되자 당시 6세였던 막내 동생 [[유항]]이 계승하였다. 다만 기원전 197년 진희 (陳豨)의 반란군이 대에 이르렀기에 유항은 3년 후에야 봉국을 접수할 수 있었다. 유방 사후 [[여후]]의 폭정 시기 숨죽이며 있던 유항은 기원전 180년 여후가 사망하고 [[후소제(전한)|후소제]]가 폐위되자 백관들의 지지를 받아 황제에 즉위하니, [[문경지치]]의 시작을 알린 [[한문제]]였다. 한문제는 기원전 178년, 차남 유무를 대왕에 봉했으나 2년 후 회양왕으로 전임시키고 삼남 유찬을 대왕에 봉하였다. 유무는 후일 (유중의 아들 [[유비(전한)|유비]]가 일으킨) [[오초칠국의 난]]의 진압에 있어 활약한다. 유잔은 이후로 대왕 직을 유지하다 기원전 161년에 사망하였고, 아들 유등은 31년간 재위한 후 기원전 132년 아들 유의에게 물려주었다. [[한무제]]는 군국제의 약화를 위해 유씨 황족들을 경계하였고, 기원전 114년 대왕의 권력을 축소시켜 청하왕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기원전 94년 유의가 사망한 후 대군은 [[군현제]]의 일환으로 재차 대군으로 편성되었다. [[후한]] 건국 후 [[광무제]]는 양한교체기에 한무제의 증손이자 황제를 칭했던 [[노방]]이 투항하자 서기 40년 그를 대왕에 봉하였다. === [[후한]] ~ [[서진]]의 군현 === 이로써 한세기 반만에 대국이 부활했으나 불과 2년 후 노방은 광무제를 의심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배하여 흉노에 귀순하였다. 이로써 (한나라 하의) 대왕직은 완전히 철폐되었고, [[유주]] 하의 대군으로 편성되었다. 동시에 대군의 치소는 후한 들어 고류 (高柳, 현 양가오현)로 이전되었으나 [[조위]] 시절 대현으로 돌아왔다. 진한대 대군은 산서 ~ 하북에 걸쳐 11 ~ 18개의 현을 통솔하였고 5만 7천 가구의 28만 인구를 거느렸다. === [[북위]]의 전신 === [[서진]]의 쇠퇴를 틈타 310년 대공 (代公)을 칭한 선비족 [[탁발부]]의 지도자 탁발의로는 5년 후, [[영가의 난]]으로 망해가던[* 중원을 잃고 관중과 강남 일대만 남은 상태였다] [[진민제]]에게서 대왕으로 봉해졌다.[* 따라서 북위는 자신들이 적법한 진 왕조의 분봉왕으로써 한족 정권의 후예라 믿었다] 이렇게 세워진 [[대(오호십육국시대)|대나라]][* 다만 정식 국호는 없었다]는 376년 탁발십익건의 치세에 [[전진]]의 [[부견]]에게 정복되어 일시 멸망했으나, [[비수대전]] 이후의 혼란을 틈타 탁발십익건의 손자 [[탁발규]]가 386년 재차 대왕을 칭하여 세력을 회복했다. 이로써 대나라가 다시 이어지나 했지만, 중흥 후 불과 1년이 지난 387년 탁발규는 국호를 위로 정하고 대군의 서북쪽 끝에 해당하는 성락 ([[후허하오터]])을 수도로 삼았다. === [[수나라]]부터의 주현 === ||[[파일:위현 탑.jpg|width=451]]||[[파일:남안사탑.jpg|width=449]]|| |||| 요나라 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남안사탑 |||| 388년 탁발규는 대군을 폐지하였고, 이후 10년 간의 전쟁을 통해 [[후연]]을 격파하며 하북을 정복하였다. 520년대 쇠퇴기에 접어든 [[북위]]는 [[육진의 난]] 전후로 대군을 재설치하였는데, 기존 대현 쪽이 아닌 서북쪽 평성 ([[다퉁]]) 인근에 치소를 두었다. 585년 [[수문제]]는 대군을 대주 (代州)로 개편하며 치소를 대현의 서남쪽 150km 지점인 현재의 [[다이현]]에 두었다. 대현 일대에는 대신 현 지명의 기원인 울주 혹은 위주 (蔚州)로 편성되었고[* 따라서 산서-하북 북부에 있던 대군은 수나라 대부터 산수 북부는 대주, 하북 북부는 울주 (혹은 위주)로 갈라지게 되었다], [[후주]]의 [[석경당]]이 [[요나라]]에 넘긴 [[연운 16주]] 중 하나였다. [[명나라]] 대에 울주는 [[만리장성]]의 여러 변방 요새 도시 중 하나였고, 옛 대왕성의 서남쪽에 세워진 당시의 성벽이 현존하고 있다. 중대사가 많았던 고대와 달리 근대에 들어서 일대는 역사에 별다른 족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 볼거리 == [[파일:서고보.jpg]] 서쪽 10km 지점의 서고보 (西古堡) [[파일:샤타이.jpg]] 샤오[[우타이산]] (小五台山) === 위주고성 === ||[[파일:웨이저우.png|width=404]]||[[파일:위현 4.jpg|width=499]]|| || 위주고성 위성 사진 || 고성 내의 옛 건축물의 내부 || [[파일:위현성문.jpg]] 위주성 남문 [[https://m.tuniu.com/trips/30191423|위주 고성 답사기]] [[파일:위현 5.jpg]] ||[[파일:위현고성3.jpg|width=506]]||[[파일:옥황루 3.jpg|width=395]]|| |||| 고성의 주요 누각 중 하나인 옥황루 일대의 성벽 |||| ==== 옥황각, 고루, 문묘 ==== [[파일:옥황각.jpg]] [[파일:옥황각 1.jpg]] ||[[파일:옥황각 2.jpg|width=395]]||[[파일:옥황각 1ㅈ.jpg|width=506]]|| |||| 명나라 건축의 대표 양식 중 하나인 옥황각 (玉皇阁) [[https://k.sina.cn/article_1867082024_p6f49692802700s5ex.html?from=history|방문기]] |||| [[파일:고루 위현.jpg]] [[파일:고루 위현 1.jpg]] 위주 고루 [[파일:위현 문묘.jpg]] 위주 문묘 ==== 성내의 사찰 ==== [[파일:석가사 중국.jpg]] [[파일:위현 사원.jpg]] 시내의 고찰인 석가사 (释迦寺) [[파일:영엄사.jpg]] [[파일:영엄사 1.jpg]] 시내의 고찰인 영엄사 (灵严寺) === 대왕성 === [[파일:대왕성 2.jpg]] [[파일:대군.jpg]] [[파일:대왕성 1.jpg]] 대왕성 유적 === 서전자량 === [[파일:서전자량.jpg]] [[파일:서전자량 1.jpg]] [[파일:서전자량 4.jpg]] [[파일:서전자량 3.jpg]] 위현 남쪽의 서전자량 (西甸子梁) [[분류:허베이성의 현]][[분류:중국의 도시]][[분류:중국의 옛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