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fff 유건에오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건에.jpg|width=90%]]}}} || || '''{{{#fff 명칭}}}''' || 유건에오름 || || '''{{{#fff 별칭}}}''' || 유건악(儒巾岳), 이근악 || || '''{{{#fff 표고}}}''' || 190m || || '''{{{#fff 분화구 둘레}}}''' || 약 1,000m || || '''{{{#fff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2,302 || [목차] == 개요 == 남동쪽의 주봉 외에 북쪽 · 서쪽 봉우리의 3개 봉우리로 이루어지고, 둘레 약 1,000m의 등성마루에 에워싸여 산상의 원형 분화구가 우묵하게 패어 있다. == 명칭 == 『탐라지도병서』와 『해동지도』(제주삼현) 에 '이기내(伊只乃)', 『제주삼읍전도』에 '이근악(伊近岳)', 『제주군읍지』의 「제주지도」에는 '유건악(儒巾岳)', 『정의읍지』의 「정의지도」에는 '이근악(貍近岳)', 『1872년지방지도』(정의)에는 '이근내악(伊近乃岳)' 등으로 표기했다. '이그내오름', '이기내오름'을 한자로 표기한 것인데, '이기내/이그내'의 의미는 알 수 없다. 오름의 모습이 선비들이 쓰는 유건(儒巾)과 같아서 '유건에오름'이라 했다는 설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 여담 == 네이버지도에서는 '우건에오름' 이라고 표기되어있다. 간단한 등산로와 둘레길이 있다. 오름규모가 작아서 간단하게 산책 할 수 있는 정도 [[분류:성산읍]][[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