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1889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운동가|{{{#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br] {{{#ffffff '''{{{+1 유기영}}}'''[br]'''柳璣永'''}}}}}} || ||<|2> '''출생''' ||[[1889년]] [[2월 16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예안면 구룡리 || ||<|2> '''사망''' ||[[2005년]] [[12월 6일]] || ||[[경상북도]] [[안동시|안동군]]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유기영은 1889년 2월 16일 경상북도 안동군 예안면 구룡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21일 임동면 중평동 편항 장날을 이용하여 [[유연성(독립운동가)|유연성]]·[[유동수(1887)|유동수]]·이강욱(李康郁)·홍명성(洪明聖)·[[박재식]]·[[유교희]]·박진선(朴晋先)·유곡란(柳谷蘭)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여 편항주재소를 파괴하고 경찰관의 사택을 방화하고 면사무소를 습격하는 등 군중의 격렬힌 시위에 동참했다. 이 일로 체포된 그는 1919년 8월 18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소요·건조물 손괴·가택 침입·상해 및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후 안동에서 조용히 지내다 2005년 2월 16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유기영에게 대통령표창을 수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