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분류:레알 마드리드 CF]][[분류:스타드 드 랭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러피언컵/1955-56 시즌)]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결승전)] ||<-5><#ffffff>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60]] || ||<-5><#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 {{{#ffffff 결승전}}}''' || ||<#ffffff><:> 창설 이전 ||<:> {{{+1 →}}} ||<#ffffff><:> '''[[유러피언컵/1955-56 시즌|{{{#00008B {{{+1 1955-56}}}}}}]]''' ||<:> {{{+1 →}}} ||<#ffffff><:> [[유러피언컵/1956-57 시즌/결승전|{{{#000000 1956-57 시즌}}}]] || ||[[파일:유러피언컵 1956 결승.jpg|width=100%]]|| ||<:>{{{+5 '''European Cup Final Paris 1956'''}}}|| [목차] == 개요 == 1956년 6월 13일 [[파리(프랑스)|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 CF]]와 [[스타드 드 랭스]]의 최초의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 결승전. == 진출 팀 == === [[레알 마드리드 CF]] === 1954-55 시즌 [[라리가]] 우승팀 자격으로 유러피언컵에 참여하게 된 레알 마드리드는 16강부터 [[스위스]]의 [[세르베트 FC]]를 합산 스코어 7-0으로 때려부수며 수비와 공격 모두에서의 강인함을 과시했다. 4강에서는 이탈리아의 압도적 강호 [[AC 밀란]]을 합산 스코어 5-4로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한다. 하지만 이런 유러피언컵에서의 선전과는 달리 레알은 리그에서 9점차 밀린 3위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었으므로 다음 시즌 유러피언컵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승리가 절실했다. === [[스타드 드 랭스]] === 구단 역사상 최고의 감독인 [[알베르 바토]]와 [[쥐스트 퐁텐]], [[레몽 코파]], [[미셸 이달고]] 등의 화려한 선수진을 보유한 랭스는 1950년대 당시 [[리그 1]]을 말그대로 씹어먹고 있었다. 대진운까지 좋은편이었기에 아주 손쉽게 랭스는 결승에 도달했고, 레알보다 랭스의 승리를 예상하는 사람들도 꽤 있을정도였다. 하지만 16강, 8강, 4강을 거쳐오면서 8점을 실점한 랭스였기에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프란시스코 헨토]] 등의 막강한 공격진을 보유하고 있는 레알을 잘 막아세우는 것이 관건이었다. == 선발 라인업 == [[파일:1956 유러피언컵 결승전 라인업.svg|width=50%]] || {{{#fff '''팀''' }}} || {{{#fff '''이름''' }}} || {{{#fff '''비고''' }}} || {{{#fff '''팀''' }}} || {{{#fff '''이름''' }}} || {{{#fff '''비고''' }}} || ||<|11> [[레알 마드리드 CF]] || 후안 알론소 || GK ||<|11> [[스타드 드 랭스]] || 르네장 자케 || GK || || 앙헬 아티엔사 || || 시몽 짐니 || || || 라파엘 레스메스 || || 라울 지로도 || || || [[미겔 무뇨스]]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미셸 르블롱 || || || [[마르퀴토스]] || || 로베르 종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호세 마리아 사라가 || || 로베르 시아카 || || || 호세이토 || || [[미셸 이달고]] || || || 라몬 마르살 || || 레옹 글로바츠키 || ||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 [[레몽 코파]] || || || 엑토르 리알 || || 르니 블리아르 || || || [[프란시스코 헨토]] || || 장 탕플랭 || || == 경기 내용 == ||<-6><#3385d6><:>[[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fff '''1955-56 유러피언컵 결승'''}}}|| ||<-6><#3385d6> '''{{{#ffffff 1956. 06. 13 / 파르크 데 프랭스 (프랑스, 파리)}}}''' || ||<-2>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width=200]][br][br]'''{{{#004890 레알 마드리드 CF}}}''' ||<-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150]] |||| [[파일:스타드 드 랭스 올드 로고 (1931-1991).svg|width=150]][br][br]'''{{{#f01e23 스타드 드 랭스}}}''' || ||<-6> '''{{{+2 {{{#ffffff 4 - 3 }}}}}}''' || ||<-3> '''{{{#000000 14'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br]30', 79' [[엑토르 리알]][br]67' [[마르퀴토스]]}}}''' || ||<-3> '''{{{#000000 6' [[미셸 르블롱]][br]10' [[장 탕플랭]][br]62' [[미셸 이달고]]}}}''' || [youtube(GcFBtRMgpsI, width=100%, height=500)] 전반 초반부터 랭스의 공세는 치열했다. 전반 6분 랭스의 미드필더 미셸 르블롱이 빠른 속도로 중앙을 돌파, 선제골을 기록하였고 전반 10분에는 탕플랭이 레알의 골키퍼 알론소를 맞고 나온 세컨볼을 침착하게 집어넣으며 순식간에 두 골차로 격차를 벌린다. 하지만 공격진에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운게 당시 레알. 두번째 골을 먹힌지 4분이 채 지나지 않은 전반 14분, 중앙 침투패스를 받은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마무리하며 빠르게 한 골을 만회한다. 전반 30분에는 엑토르 리알이 골을 집어넣으며 전반이 종료되기전 다시 균형을 맞춘다. 후반전 초반 공세는 역시 급해진 랭스가 가져간다. 계속해서 레알의 골문을 두드린 끝에 62분 [[미셸 이달고]]가 흘러나온 롱볼을 헤더로 맞춰 득점에 성공, 이대로 첫 유러피언컵 트로피는 랭스가 챙기는가 했으나... 여기서 끝날 레알이 아니었다. 5분이 지난 67분 [[마르퀴토스]]의 동점골과 79분, 엑토르 리알이 환상적인 턴 후 깔끔한 마무리로 역전골이자 멀티골을 성공. 총 7골이 나오는 난타전 끝에 레알 마드리드가 '''초대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 우승'''을 하는 영광을 차지한다. == 결과 == ||[[파일:레알 1956 우승.jpg|width=100%]]|| || '''{{{#ffffff {{{+2 1955-56 유러피언컵 우승}}}}}}''' || ||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width=225]] || ||<:><#543C94> '''[[레알 마드리드 CF|{{{#fff {{{+1 레알 마드리드 CF}}}}}}]]'''[br]{{{+5 {{{#c8ab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