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UEFA 챔피언스 리그]][[분류:레알 마드리드 CF]][[분류:스타드 드 랭스]]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유러피언컵/1958-59 시즌)] [include(틀: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결승전)] ||<-5><#ffffff>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60]] || ||<-5><#00008B><:> '''[[UEFA 챔피언스 리그|{{{#ffffff UEFA 챔피언스 리그}}}]] {{{#ffffff 결승전}}}''' || ||<#ffffff><:> [[유러피언컵/1957-58 시즌/결승전|{{{#000000 1957-58 시즌}}}]] ||<:> {{{+1 →}}} ||<#ffffff><:> '''[[유러피언컵/1958-59 시즌|{{{#00008B {{{+1 1958-59}}}}}}]]''' ||<:> {{{+1 →}}} ||<#ffffff><:> [[유러피언컵/1959-60 시즌/결승전|{{{#000000 1959-60 시즌}}}]] || ||[[파일:유러피언컵 1959 결승전.jpg|width=100%]]|| ||<:>{{{+5 '''European Cup Final Stuttgart 1959'''}}}|| [목차] == 개요 == 1959년 6월 3일 [[슈투트가르트]]의 [[메르세데스-벤츠 아레나|네카어슈타디온]]에서 열린 [[레알 마드리드 CF]]와 [[스타드 드 랭스]]의 네번째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 결승전. == 진출 팀 == === [[레알 마드리드 CF]] === 이미 앞선 3번의 대회에서 모조리 우승하며 유럽의 제왕으로 군림한 레알 마드리드가 또 다시 결승전에 진출하며 대회 4연패를 노린다. 이 시즌 레알의 강점은 더욱 강화된 수비진이었다. 지난 시즌인 1957-58 시즌 레알은 단 5실점을 기록했지만, 이 시즌 레알의 수비진은 더욱 견고해져 '''16강에서 4강까지 고작 4실점을 하는 기염을 토한다.''' 그렇다고 공격진이 약해진 것도 아니었다. 여전히 전방에서는 [[프란시스코 헨토]]와 엑토르 리알이 버티고 있었으며,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도 여전한 실력을 뽐냈다. 게다가 이 시즌 그 유명한 전설의 질주하는 소령, [[페렌츠 푸스카스]]를 영입하며 화력을 더욱 높혔는데, 아쉽게도 부상으로 결승전에 출장하지는 못하였다. 다만 문제가 될게 있다면 체력 이슈였다. 당시에는 [[원정 다득점 원칙]]이나 승부차기가 존재하지 않아 연장까지 무승부로 끝날 경우 재경기를 치뤘는데, 레알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의 4강에서 합산 스코어 2-2로 끝났기 때문에 한 경기를 더 치른 상황이었다. 물론 결승까지의 시간도 꽤 있었지만 이 경기에서 푸스카스가 부상을 당하는 등 손실도 있었다. 레알은 이 시즌 라리가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므로 무관으로 시즌을 마치지 않기 위해서 승리가 절실했다. 여담으로 [[레몽 코파]]는 자신의 친정팀을 준우승시킨 팀으로 와 친정팀을 상대하는 기묘한 상황이 되었다. === [[스타드 드 랭스]] === [[유러피언컵/1955-56 시즌/결승전|유러피언컵 초대 시즌 결승]]에 진출했지만 레알에게 패해 준우승의 고배를 마신 랭스가 또 다시 결승에 진출해 레알을 상대로 리벤지 매치를 벌인다. 사실 랭스의 전력은 1955-56 시즌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했을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감독도 여전히 [[알베르 바토]]였고, 502경기를 랭스에 뛴 전설적인 주장 로베르 종케와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에서 '''무려 13골을 득점하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 [[쥐스트 퐁텐]]도 여전했다. 이들을 바탕으로 랭스는 [[리그 1]]을 지배하고 있었으며, 이 시즌 유러피언컵에서 23득점을 뽑아내는 미친 득점력을 자랑하기도 했다.[* [[쥐스트 퐁텐]]이 혼자 10골을 집어넣긴 했다...] 하지만 이들또한 [[OGC 니스]]에게 리그 우승을 내준 상황인터라, 우승이 절실한 상태였다. == 선발 라인업 == [[파일:1959 유러피언컵 결승전 라인업.svg|width=50%]] || {{{#fff '''팀''' }}} || {{{#fff '''이름''' }}} || {{{#fff '''비고''' }}} || {{{#fff '''팀''' }}} || {{{#fff '''이름''' }}} || {{{#fff '''비고''' }}} || ||<|11> [[레알 마드리드 CF]] || 로젤리오 도밍게스 || GK ||<|11> [[스타드 드 랭스]] || 도미니크 콜론나 || GK || || [[마르퀴토스]] || || 브루노 로드지크 || || || [[호세 산타마리아]] || || 로베르 종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 호세 마리아 사라가 || [[파일:주장 아이콘.svg|width=20]] || 라울 지로도 || || || 후안 산티스테반 || || 아르망 팡베른 || || || 안토니오 루이스 || || 미셸 르블롱 || || || [[레몽 코파]][* 친정팀을 상대한다.] || || 로베르 라마르텡 || || || 엔리케 마테오스 || || 르네 블리아르 || ||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 [[쥐스트 퐁텐]] || || || 엑토르 리알 || || 로제 피앙토니 || || || [[프란시스코 헨토]] || || 장 뱅상 || || == 경기 내용 == ||||||<-6><#3385d6><:>[[UEFA 챔피언스 리그|[[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height=50]]]][br]{{{#ffffff '''1958-59 유러피언컵 결승'''}}}|| ||<-6><#3385d6> '''{{{#ffffff 1959. 06. 03 / 슈투트가르트 네카어슈타디온 (서독, 슈투트가르트)}}}''' || ||||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width=200]][br][br]'''{{{#004890 레알 마드리드 CF}}}''' ||||<#fff>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height=150]] |||| [[파일:스타드 드 랭스 올드 로고 (1931-1991).svg|width=150]][br][br]'''{{{#f01e23 스타드 드 랭스}}}''' || ||<-6><#3385d6> '''{{{+2 {{{#ffffff 2 - 0 }}}}}}''' || ||<-3> '''{{{#000000 2' [[엔리케 마테오스]][br]47'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3> '''{{{#000000 -}}}''' || [youtube(VBCNKMJfR0k, width=100%, height=500)] 경기는 예상 외로 레알에게 쉽게 흘러갔다. [[페렌츠 푸스카스]]가 4강에서 당한 부상으로 결장한터라 공격진에서의 화력이 부족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정말 큰 오산이었다. 전반 2분이 채 흐르기도 전에 엔리케 마테오스가 측면으로 돌파한후 그대로 마무리해 선제골을 득점한 것이었다. 급작스러운 아웃프런트 슈팅이라 컷백을 줄 줄 알았기 때문에 골키퍼가 반응하기 어려운 슈팅이었다. 이른 시간 선제골을 먹힌 랭스는 갈팡지팡하기 시작했고 레알은 그 점을 노리고 계속해서 밀어붙이기 시작한다. [[프란시스코 헨토]]를 비롯한 공격진들은 드리블로 랭스의 수비진을 흔들어놓으려 노력했지만 로베르 종케를 필두로 한 랭스의 수비진도 쉽게 뚫리지는 않았다. [[쥐스트 퐁텐]]도 피앙토니와 블리아르와의 연계로 레알을 뚫으려 애썼지만 소용없었다. 그렇게 치열한 공방전이 이어지고 있던 순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페널티 박스 안쪽에서 라울 지로도의 태클에 걸려 넘어져 PK를 얻어낸다! 하지만 콜론나 키퍼의 선방으로 추가골의 기회를 놓치고 만다. 키퍼의 페널티 선방으로 기세를 탄 랭스는 더욱 공격적으로 나서려고 애쓴다. 그러나 랭스의 고군분투가 무색하게 후반이 시작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47분,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가 입이 떡 벌어지는 프리킥 중거리포를 꽂아 넣어 다시 경기를 레알의 쪽으로 기울게한다. 이후 퐁텐과 랭스의 공격진들은 레알의 골문을 계속해서 겨냥하지만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고 결국 경기는 그대로 2-0으로 종료, '''[[레알 마드리드 CF]]가 역사적인 유러피언컵 4연패를 이룩한다.'''[* [[UEFA 챔피언스 리그]]로 개편된 이후 레알은 또 다시 [[UEFA 챔피언스 리그/2015-16 시즌/결승전|3]][[UEFA 챔피언스 리그/2016-17 시즌/결승전|연]][[UEFA 챔피언스 리그/2017-18 시즌/결승전|패]]를 달성하지만 4연패 이상의 기록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있다.] == 결과 == ||[[파일:1959 레알 우승.webp|width=100%]]|| || '''{{{#ffffff {{{+2 1958-59 유러피언컵 우승}}}}}}''' || ||<#fff>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width=225]] || ||<:><#543C94> '''[[레알 마드리드 CF|{{{#fff {{{+1 레알 마드리드 CF}}}}}}]]'''[br]{{{+5 {{{#c8ab37 ★★★★}}}}}} ||